모르겐슈테른 (무기)

모르겐슈테른(독일어: Morgenstern→금성)은 중세 시대 무기의 하나이다. 영어명인 모닝스타(Morning star)라고도 한다. 모르겐슈테른은 메이스와 흡사한 무기로, 가시 박힌 곤봉이라고 할 수 있다. 곤봉 대가리 끝에 특히 긴 하나의 가시가 있고, 대가리 주위로 보다 짧은 가시―스파이크―가 많이 박혀 있다.[1][2] 이 스파이크가 모르겐슈테른의 특징으로, 징이나 작은 혹 정도의 보강물만 달려 있는 메이스와 구분해주는 기준이 된다. 모르겐슈테른은 보병과 기병이 모두 사용했는데, 기병용의 경우에는 철툇자루가 보병용보다 짧았다.[1] 메이스는 전통적으로 기사들의 무기였기 때문에 기·보병 겸용인 모르겐슈테른과는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전체가 금속제가 되었고 대가리 형태도 여러 가지로 다양해졌으나, 모르겐슈테른은 특유의 스파이크가 유지되었고 철툇자루는 보통 목제가 사용되었으며 특히 보병들이 쓴 양손으로 사용하는 것의 경우에는 자루의 길이가 6피트 이상이 되기도 했다.

모르겐슈테른은 14세기 독일에서 처음 널리 사용되었다.[2] 목제 자루에 사슬로 철구나 철을 씌운 나무를 사슬로 연결한 플레일을 모르겐슈테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3] 그러나 이런 볼 앤 체인 무기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에, 플레일로서의 모르겐슈테른은 드물었다고 볼 수 있다.[2]
모르겐슈테른을 민중들이 주로 사용한 막 만든 급조무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옳지 않다. 모르겐슈테른은 3가지 종류가 있었고, 그 질이나 기술이 제각기 모두 달랐다. 첫 번째 것은 직업 군인들이 사용한 군용 무기로, 마을 무기고에 갖춰 두기 위해 전문적인 무기장이들이 만들었다. 두 번째는 소작농 민병대들이 사용한 것으로 자신들이 구한 나무를 가지고 지역의 대장장이들에게 부탁해 못과 가시를 박아 넣어 만들었다. 자루와 대가리는 보통 한 몸이었지만 가끔 대가리에 철을 둘러 보강하기도 했다. 마지막 유형은 장식용으로, 대표적인 예로 런던의 월리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16세기의 철퇴가 있다. 이것은 강철로 만들어졌으며 금은으로 화려하게 상감기법 양식으로 된 장식이 되어 있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Demmin, Auguste (1894). 《An illustrated history of arms and armour: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번역 Charles Christopher Black. George Bell. 420–423쪽.
- ↑ 가 나 다 Newman, Paul B. (2001). 《Daily life in the Middle Ages》 2판. McFarland. 227쪽. ISBN 0786408979.
- ↑ Cowper, Henry Swainson (1906). 《The art of attack: Being a study in the development of weapons and appliances of offe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age of gunpowder》. Ulverston: W. Holmes, ltd., Printers. 80쪽.
- ↑ Collection reference A986 [1]―박물관 홈페이지에는 Mace라고 되어 있지만 형태상 Morning star로 보는 것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