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드라이브
(메가드라이브에서 넘어옴)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9월) |
![]() | |
---|---|
메가 드라이브(위)와 메가 드라이브 2(아래) | |
제조사 | 세가 |
종류 | 비디오 게임 콘솔 |
세대 | 4세대 |
출시일 | ![]() ![]() ![]() ![]() ![]() |
출시 가격 | 21,000엔 |
CPU | 모토로라 68000, 자일로그 Z80 |
사용 매체 | 롬 카트리지 |
온라인 서비스 | 메가 모뎀 |
많이 팔린 게임 |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 |
이전 기종 | 세가 마스터 시스템 |
후속 기종 | 세가 새턴 |
호환 기종 | 테라 드라이브 |
메가 드라이브(Mega Drive, 일본어: メガドライブ 메가도라이부[*])는 세가에서 발매한 16비트 가정용 게임기이다.
상세[편집]

삼성 슈퍼 알라딘보이 II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일본에는 1988년 10월 29일, 미국에는 세가 제네시스(Sega Genesis)라는 이름으로 1989년 8월 14일[1], 유럽에는 1990년 11월 30일에 발매되었다. 일본 발매 당시 정가는 21,000엔. 대한민국에는 1990년 8월에 삼성전자를 통해 슈퍼겜보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슈퍼알라딘보이로 개명하였다.
MC68000(M68k으로도 불림)와 자일로그 Z80의 2개의 CPU로 구성. 자일로그 Z80은 과거 세가의 8비트 기종에 채택된 CPU로, 메가 드라이브에서는 사운드 컨트롤을 맡았다. 검은 본체에 금색으로 16-BIT가 적힌 디자인이 특징이다. 디자인은 각 나라별로 다르며(사진은 일본판 메가 드라이브), 세가 마스터 시스템의 후계 기종으로, 메가 어댑터를 통한 호환성을 가진다.
일본에서는 PC 엔진이나 이후에 발매된 슈퍼 패미컴과 시장 경쟁을 펼쳤지만, 주도권을 잡지 못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킬러 소프트인 소닉 더 헤지혹의 폭발적인 인기에 따라 세가의 하드웨어로서는 최대의 성공을 거두었다. 메가 드라이브는 세계적으로 3,075만대가 판매되었다.
변종 모델[편집]
- 메가 드라이브 2
- 노매드
- 액정 화면의 탑재와 AAA 건전지 6개에 의한 구동을 통한 휴대용 게임기로 개발되었다. 추가의 컨트롤러 단자가 제공되어 2명이 즐길 수 있으며, 별매의 케이블로 텔레비전과 접속이 가능하다. 단, 미국에서는 발매되었지만 일본에선 발매됐다는 공식적인 기록이 없고, 슈퍼32X나 메가 CD와의 접속은 할 수 없다.
관련 문서[편집]
- 메가 드라이브의 게임 목록: 대부분은 세가에서 발매하였지만, 90년까지는 남코, 코나미, 타이토 등에서도 발매했으며, 91년~95년에는 대기업으로부터 독립한 개발자를 서드파티로 손에 넣어, 트레저, 소닉 소프트웨어 플래닝, 클라이막스 등의 기술력 있는 개발 브랜드가 생겨나기도 했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