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노트 혜성
맥노트 혜성 C/2006 P1 | ||
![]() 2007년 1월 23일 촬영한 맥노트 혜성 | ||
발견 | ||
---|---|---|
발견자 | 로버트 맥노트 | |
발견일 | 2006년 8월 7일 | |
명칭 | ||
로마자이름 | Comet McNaught | |
궤도 성질 (역기점 2454113.2961 (2007년 1월 20일)) | ||
궤도 긴반지름(a) | ~2050 AU | |
근일점(q) | 0.17075400 AU | |
원일점(Q) | ~4100 AU | |
주기(P) | ~92,600년[1] | |
궤도 경사(i) | 77.82768004° | |
궤도 이심률(e) | 1.000019[2] | |
근일점 근접일 | ||
최근 접근날짜 | 2007년 1월 12일 | |
다음 접근날짜 | 불명 |
맥노트 혜성(Comet McNaught, 공식 이름 C/2006 P1)은 2006년 8월 7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천문학자 로버트 맥노트(Robert H. McNaught)가 땅꾼자리에서 발견한 비주기 혜성이다.[3]
이 혜성은 2007년 1월 13일, 겉보기등급 -6등급으로 근일점을 통과했다. 이는 공식기록을 작성하기 시작한 1935년 이후 1965년의 이케야-세키 혜성의 -17등급에 이은 2번째로 밝은 기록이다.[4] 대낮에 태양이 가까이 있어도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했다. 북반구에서는 고도가 낮아 관측이 쉽지 않았지만, 남반구에서는 쉽게 관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관측된 연도는 2006년 여름이다.
탐사선 측정[편집]
2007년 2월 3일, 율리시스가 우연히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게 되었는데,[5][6] 이 때에 탐사선은 혜성의 핵으로부터 약 260 km 떨어진 이온 꼬리에서 화학성분과 속도를 측정하였다.
사진[편집]
- 맥노트 혜성 사진 (2007년 1월)
각주[편집]
- ↑ “Comet C/2006 P1 (McNaught) - facts and figures”. Perth Observatory in Australia. 2007년 1월 22일. 2011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일에 확인함.
- ↑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2006 P1 (McNaught)”. 2007년 7월 11일 last obs. 2009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Report on the comet discovery and progress from Robert McNaught's homepage”. 2007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17일에 확인함.
- ↑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Harvard. 2011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A chance encounter with a comet」, Astronomy, 2007.10.2.
- ↑ 《Astrophysical Journal》, 2007.10.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Info and gallery, from skytonight Archived 2007년 1월 9일 - 웨이백 머신
- Comet McNaught in Perth skies
- Current hotshots of comet Archived 2003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태양 및 태양권 관측위성 웹사이트
- Animation of recent images within LASCO C3's FOV
- McNaught in STEREO HI1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ontage McNaught in STEREO HI1a
- Comet McNaught photo gallery from Southern Hemisphere Archived 2007년 2월 3일 - 웨이백 머신
![]() |
이 글은 혜성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