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불버섯
보이기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845.5 kJ (441.1 kcal) |
42 g | |
10.6 g | |
44.9 g | |
무기질 | 함량 %DV† |
구리 | 25% 0.5 mg |
철분 | 42% 5.5 mg |
망간 | 29% 0.6 mg |
아연 | 5% 0.5 mg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2]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3] |
말불버섯(Lycoperdon perlatum)은 말불버섯과에 속하며, 자실체가 공 모양으로 포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산야·길가 또는 공원 같은 곳에서 흔히 발생한다. 몸 전체가 서양배 모양이고 상반부는 커져서 구형이 되며 크기는 높이 3-7cm, 지름 2-5cm이다. 어렸을 때는 백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끝이 황갈색인 사마귀돌기로 뒤덮이며, 후에는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속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펀지상으로 그 내벽면에 포자가 형성된다. 성숙됨에 따라 살이 황색에서 회갈색으로 되고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포자가 먼지와 같이 흩어진다.
각주
[편집]- ↑ Nutritional values are based on chemical analysis of Turkish specimens, conducted by Colak and colleagues at the Department of Chemistry, Karadeniz Technical University. Source: Colak A, Faiz Ö, Sesli E (2009). “Nutritional composition of some wild edible mushrooms” (PDF). 《Türk Biyokimya Dergisi [Turkish Journal of Biochemistry]》 34 (1): 25–31. 2011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말불버섯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