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루스 시에베르시
![]() | ||||||||||||||||
![]()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alus sieversii (Ledeb.) M.Roem. | ||||||||||||||||
이명 | ||||||||||||||||
Malus turkmenorum Juz. & Popov |
신강야평과(Malus sieversii)는 장미과 사과나무속의 식물이며 사과의 원생종들 중 한 종이다.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남부가 원산지이다. 현재 멸종위기종이다.
이 나무는 5~12m까지 자라는 활엽수이며, 한국의 사과와 비슷하다. 최대 7cm 지름의 푸밀라와 현대 사과 품종을 제외하면 신강야평과의 열매가 가장 큰 편이다. 가을에는 빨갛게 단풍이 든다.
각주[편집]
- ↑ Participants of the FFI/IUCN SSC Central Asian regional tree Red Listing workshop, Bishkek, Kyrgyzstan (11-13 July 2006) (2007). “Malus sieversi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07: e.T32363A9693009. doi:10.2305/IUCN.UK.2007.RLTS.T32363A9693009.en.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 글은 장미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