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 효과
“ |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 ” |
— 마태복음 25장 29절
|
이 문구를 따서 로버트 머튼은 저명한 연구자가 더 많은 혜택(지원금 등)을 가져가고,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자는 그렇지 못함으로써 점점 두 사이에 격차가 벌어지는 현상을 두고 마태 효과(馬太效果)라 칭했다.[1] 매튜 효과(--效果) 또는 마태복음 효과(馬太福音效果)라고도 한다. 이러한 효과는 주로 사회학이나 교육학 분야에서 언급된다.
교육학[편집]
케이트 스타노비치 Keith Stanovich는 이를 학생의 읽기 문제에 적용하였다.[2] 읽기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진급하면서 점점 더 독해에 어려움을 겪고, 언어는 도구과목으로써 기능하기 때문에 다른 교과목에서도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