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위안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위안홍에서 넘어옴)

리위안훙
黎元洪
중화민국제3대 대총통
임기 1916년 6월 7일~1923년 6월 13일
부통령 펑궈장
전임: 위안스카이(2대)
후임: 펑궈장(4대)

신상정보
출생일 1864년 10월 19일
출생지 청나라 후베이성
거주지 청나라, 중화민국
사망일 1928년 6월 3일(1928-06-03)(63세)
사망지 중화민국 톈진
정당 무소속
부모 아버지 리위안셩
배우자 홍씨
자녀 22남 8녀
리위안훙
출생지 청나라 후베이성
사망지 중화민국 톈진
복무기간 1877년 ~ 1940년
최종계급 중화민국의 총통
지휘 중화민국 제 2, 3대 총통
주요 참전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리위안훙(중국어: 여원홍(黎元洪), 병음: Lí Yuánhóng, 1864년 10월 19일 ~ 1928년 6월 3일)은 청나라의 군인이자, 중화민국의 혁명가이다. 또한 중화민국의 제2, 3대 대총통을 지낸 정치인이다. 위안스카이의 후배이자 리유엔저우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후베이성 출신이다.

생애[편집]

초기 이력[편집]

1864년 10월 19일에 후베이성에서 태어났다. 1883년 톈진 북양수사학당(北洋水師學堂,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89년 졸업하였다. 졸업 이후, 광둥성에서 복무하였다.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북양함대의 일원으로 참전하였으나, 일본군에게 전투함이 격침되어 바다에서 표류하던 중 구출되었다.

이후 양무운동의 실력자였던 장즈둥(張之洞)에게 발탁되어 신군을 조련하였고, 일본에 파견되어 군사학을 배웠다. 1906년 신군의 제21혼성협협통(混成協協統, 현재 제도로는 여단장급)이 되어 후베이성 우창에 주둔하였다.

신해 혁명[편집]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고 그가 지휘하던 신군이 혁명에 가담하자 리위안훙은 친구의 집에 몸을 숨겼다. 지휘관을 찾던 신군의 혁명당원은 리위안훙에게 후베이성 군정부 도독을 맡으라고 강요하여 떠밀려서 그자리를 맡았다. 그 뒤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할 때 그는 혁명당원에 의해 임시 부총통에 선출되었다. 1912년 남경에 중화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리위안훙은 다시 부총통을 맡았다.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스스로 황제에 오른 이후, 리위안훙을 왕에 봉하려고 하였으나, 리위안훙은 이에 반감을 느끼고 고사하였다.

총통 재직[편집]

첫 번째 임기[편집]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6월 7일 리위안훙은 대총통에 취임하였고, 돤치루이(段祺瑞)는 총리에 취임하였다. 1917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는 문제로 리위안훙과 돤치루이는 권력투쟁을 벌였다. 리위안훙 돤을 해임했고, 돤치루이는 자신을 따르는 각 성의 군벌들에게 중앙정부에 대해 독립을 선포하라고 시켰다. 리위안훙은 급히 장쉰(張勳)에게 병력을 이끌고 베이징으로 와서 화해를 주선하도록 요구했지만, 장쉰은 이를 기회로 베이징에서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의 복위를 꾀했다. 장쉰은 리위안훙에게 국회를 해산하라고 명령했지만, 리위안훙 이를 거절하고 일본대사관으로 도피했다.

돤치루이는 군사를 모아 장쉰을 토벌했고, 12일후 선통제 복벽사건은 소동으로 끝나고 말았다. 이후 리위안훙의 총통직무는 부총통이었던 펑궈장(馮國璋)이 대리하게 되었다. 이후 쉬스창(徐世昌)이 총통직에 오른다.

두 번째 임기[편집]

1922년 직계 군벌봉계 군벌 사이의 전쟁인 직봉전쟁이 터지자 쉬스창은 하야하였고, 리위안훙이 다시 쉬스창을 이어 두 번째로 총통직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1923년 6월 부정한 선거운동을 펼친 차오쿤(曹锟)에게 선거(국회에서 뽑는 간선제였다)에서 졌고, 차오쿤이 차기 총통에 당선되었다.

이후[편집]

이후, 리위안훙은 톈진 조계에서 머무르면서 사업으로 큰 재산을 모았다. 그리하여 만년에 풍족한 생활을 보냈고, 교육사업에 많은 기부를 하였다. 1928년 톈진의 영국 조계에서 사망하였다. 1935년 중화민국 정부는 그에게 국장을 거행해주었다. 자녀로 아들 리유엔저우 등을 두었다.

가족관계[편집]

자녀 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간혹 생년월일이 같은 자녀들도 있을 정도. 그들은 동인인물로 추정된다. 여러 차례 개명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입적되어 길러진 듯하다.참고로 후실 박씨는 조선인이다.

  • 정실 부인 홍씨 - 2남
    • 적장남 여원주(黎垣柱, 1886년 10월 17일~?) - 전 (주)원(won)의 회장. 아명은 여하랑.
    • 적차남 여찬주(黎讚柱, 1889년 5월 10일~?) - 아명은 여양양
  • 후실 박씨 - 2남
  • 후실 윤씨 - 2남
  • 후실 이씨 - 2남
  • 후실 박씨 - 8남
    • 서자 여경수(1862년 4월~?))
    • 서자 여현수(1865년 8월~?)
    • 서자 여창재(1869년 2월 27일~?)
    • 서자 여승재(1871년 1월 10일~?)
    • 서자 여주성(1871년 9월 12일~?)
    • 서자 여주민(1875년~?)
    • 서자 여주원(1886년 10월 17일~?)
    • 서자 여주찬(1889년 5월 10일~?)
  • 후실 홍씨 - 2남 1녀
  • 후실 홍씨 - 4남 4녀
    • 서녀 여수빈(1876년~?)
    • 서자 여유빈(1878년~?)
    • 서녀 여지우(1886년 3월 27일~?)
    • 서녀 여연우(1886년 3월 27일~?)
    • 서자 여박원(1886년 10월 17일~?)
    • 서자 여박찬(1889년 5월 10일~?)
    • 서자 여규빈(1893년 2월 7일~?)
    • 서녀 여소이(1899년 3월 14일~?)
  • 후실 신씨 - 2녀
  • 후실 정씨 - 1녀
  • 손자 여주원(1926년 10월 17일~2013년) - 장남 여원주의 장남.(참고로 여원주의 후손 중 맏이는 모두 10월 17일생이다. ) 여원주의 뒤를 이은 (주)원(won)의 회장.
    • 증손자 여원(1954년 10월 17일~) - (주)원(won)의 재설립 이후 초대 회장. 현재는 명예회장.
      • 고손자 여홍원(1982년 10월 17일~) - 현 (주)원(won) 회장.
        • 고고손자 여하원(2010년 10월 17일~) - 여홍원의 장남. (주)원(won)의 회장직 후계자.
  • 손자 여주찬(1929년 5월 10일~2010년) - 차남 여찬주의 아들.

기타[편집]

  • 중화민국 역사상 훌륭한 총통 중 한명으로 꼽힌다.
  • 리위안훙의 장남 리유안저우(黎垣柱)가 1926년 10월에 설립한 기업 (주)원(won)은 1953년 5월에 폐지되었으나 2010년 10월, 리유엔저우의 손자 리유엔(黎垣)이 다시 설립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참고로 아들 리유엔저우는 이름의 원(원)자로 '담 원(원)'자를 쓰지만 아버지 리위안훙이 '으뜸 원(원)'자를 쓰기 때문에 음뜸 원(위안)자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리유엔저우의 후손들은 모두 담 원(유엔)자를 쓴다고 2016년 인터뷰에서 리유엔저우의 증손자(리위안훙의 고손자) 리훙유엔(현 (주)won 회장)이 직접 밝혔다. 해당 인터뷰에서 두 발음의 차이를 설명 할때 "위우예에~엔", "유우웨에~엔" 이라고 발언한 일화가 나름 유명하다.

같이 보기[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11년 선거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 1대 무소속 0% 0표 3위 낙선
1911년 선거 중화민국 임시 부총통 1대 무소속 100% 17표 1위
1913년 선거 중화민국 부총통 1대 진보당 83.59% 601표 1위

외부 링크[편집]

전임
(초대)
제1대 중화민국의 임시 부총통
1912년 1월 1일 ~ 1913년 10월 10일
후임
(북양정벌 부총통)리위안훙
전임
(임시 부총통)리위안훙
제1대 중화민국의 부총통
1913년 10월 10일 ~ 1916년 6월 6일
후임
펑궈장
전임
위안스카이
제2대 중화민국 대총통
1916년 6월 7일 ~ 1917년 7월 17일
후임
펑궈장
전임
저우지치
제2대 중화민국 대총통
1922년 6월 11일 ~ 1923년 6월 13일
후임
가오린웨이
전임
위안스카이
중국의 국가 원수
1916년 6월 7일 ~ 1917년 7월 17일
후임
펑궈장
전임
리위안성
리(여)가의 종주
1864년 10월 19일 ~ 1886년 10월 17일
후임
리유엔저우
전임
저우지치
중국의 국가 원수
1922년 6월 11일 ~ 1923년 6월 13일
후임
가오린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