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리안 (종)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아욱목 |
과: | 아욱과 |
속: | 두리안속 |
종: | 두리안 |
학명 | |
Durio zibethinus | |
L. | |
학명이명 | |
두리안의 분포 | |
![]() 원산지 (두리안이 토착종인 곳) 도입지 (두리안이 외래종인 곳)
|
두리안(durian, 학명: Durio zibethinus 두리오 지베티누스[*])은 아욱과의 나무이다.[3] 두리안속 식물 가운데 가장 흔한 종이며, 열매인 두리안은 과일로 먹는다.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의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이다.[2][4]
영양 정보[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615 kJ (147 kcal) |
27.09 g | |
식이 섬유 | 3.8 g |
5.33 g | |
1.47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 44 IU |
티아민 (B1) | 33% 0.374 mg |
리보플라빈 (B2) | 17% 0.2 mg |
나이아신 (B3) | 7% 1.074 mg |
판토테산 (B5) | 5% 0.23 mg |
비타민 B6 | 24% 0.316 mg |
엽산 (B9) | 9% 36 μg |
비타민 C | 24% 19.7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 6 mg |
구리 | 10% 0.207 mg |
철분 | 3% 0.43 mg |
마그네슘 | 8% 30 mg |
망간 | 15% 0.325 mg |
인 | 6% 39 mg |
칼륨 | 9% 436 mg |
나트륨 | 0% 2 mg |
아연 | 3% 0.28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65g |
콜레스테롤 | 0m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사진[편집]
-
두리안 단면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Durio zibethinus L.”.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Durio zibethinus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Linnaeus, Carl von. Systema Vegetabilium. Editio decima tertia 581. 1774.
- ↑ “Durio zibethinus 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7년 9월 19일.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2일에 확인함.
이 글은 아욱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