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광주 요금소
보이기
동광주 요금소(東光州料金所, E.Gwangju TG)는 광주광역시 북구 호남고속도로 70 (장등동)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본선 상의 요금소이다. 명칭은 소재지인 광주광역시에 따왔으며, 문흥 분기점에서 대구 방향으로 약 2.1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1978년 6월 1일 호남고속도로 및 남해고속도로의 전주 ~ 마산 구간이 유료화가 되면서 설치된 요금소이며, 1996년 12월 17일 동광주 ~ 순천 구간이 개방식에서 폐쇄식 요금소로 변경되면서 폐쇄식 요금소로 바뀌었다. 2009년 12월 17일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6~8차선으로 확장되면서 기존 북구 망월동에 있었던 요금소를 광주 방향으로 1.1km 떨어진 장등동으로 이전하였다. 2015년 12월 22일에는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광주대구고속도로와의 노선 공용 구간으로 지정되면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본선 상 요금소의 역할도 하게 되었다.[1] 2020년 1월 23일 요금소 내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연혁
[편집]- 1978년 6월 1일 : 호남고속도로 유료화에 따른 요금소 설치[2]
- 1986년 7월 10일 : 요금소 개축을 위해 전라남도 광주시 북구 망월동 3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96년 12월 17일 : 동광주 ~ 순천 구간이 폐쇄식 요금 징수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폐쇄식 요금소로 변경[4]
- 2009년 12월 17일 :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 6, 8차선 확장으로 인해 요금소를 광주 방향으로 1.1km 떨어진 곳으로 이전 및 영업 개시
- 2015년 12월 22일 :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광주대구고속도로와의 노선 공용 구간으로 지정되면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본선요금소도 됨.
- 2020년 1월 23일 :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5]
교통량 정보
[편집]요금소 | 통행량 (대/일) | 각주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동광주 (폐쇄식) | 20,846 | 20,959 | 20,228 | 19,084 | 18,943 | 19,017 | 18,587 | 17,551 | 18,929 | 20,507 | [6] |
요금소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동광주 (폐쇄식) | 21,017 | 20,824 | 20,251 | 20,155 | 21,017 | 22,306 | 22,651 | 22,704 | 23,632 |
각주
[편집]-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81호, 2015년 12월 22일.
- ↑ 6월부터 有料化(유료화), 매일경제, 1978년 5월 31일 작성.
- ↑ 건설부고시 제300호, 1986년 7월 10일.
- ↑ 호남고속도 광주~순천 내일부터 통행료 인상, 한겨레, 1996년 12월 16일 작성.
- ↑ 도로공 광주전남본부, 설 연휴 고속도로 특별교통대책 시행, 중도일보, 2020년 1월 23일 작성.
- ↑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논산 방향(하행선)
[편집]-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2차로
- 일반 진출차로 : 3,4,5,6,7,8,9,10,11,12,13차로
순천 방향(상행선)
[편집]-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2,6차로
- 일반 진출차로 : 3,4,5,7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