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궐 제2제국
돌궐 제2제국 | ||||
---|---|---|---|---|
𐱅𐰇𐰼𐰜:𐰃𐰠 | ||||
| ||||
![]() 돌궐 제2카간국의 최대 강역 | ||||
수도 | 외튀켄(여름 수도) 야르간 유르티(겨울 수도) | |||
정치 | ||||
정치체제 | 세습 군주제 | |||
카간 682년~691년 691년~716년 716년 716년~734년 744년 | 일테리쉬 카간 카파칸 카간 이넬 카간 빌게 카간 외즈미쉬 카간 | |||
타르칸 682년~716년 716년~731년 | 톤육쿡 퀼 테긴 | |||
역사 | ||||
• 건국 | 682년 | |||
• 멸망 | 744년 | |||
인문 | ||||
공용어 | 고대 튀르크어 | |||
종교 | ||||
국교 | 텡그리교 |
돌궐 제2제국 또는 돌궐 제2카간국(Second Turkic Khaganate, 𐱅𐰇𐰼𐰰:𐰃𐰠, Türük el)[1], 후돌궐(後突厥)은 682년부터 744년에 위구르족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존재한 유목제국으로, 돌궐 제국의 후신이다. 바인 촉토 비문(Bain Tsokto inscription)에는 '튀르크 빌게 카간 국가(𐱅𐰇𐰼𐰝:𐰋𐰃𐰠𐰏𐰀:𐰴𐰍𐰣:𐰃𐰠𐰭𐰀, Türük Bilgä Qaγan eli, Turk Bilge Qaghan country)'로 기록되어 있다.[2]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에 세워진 카간국(khaganate)으로 돌궐 제국의 지배가문이었던 아시나 가문(Ashina clan)이 세웠다. 제2카간국[3][4][5]은 오르콘강(Orkhon River) 상류에 있는 외튀켄(Ötüken)에 있었다. 후에는 속국인 토쿠즈 오구즈 연맹이 이를 계승하여 위구르 카간국이 되었다.
동돌궐이 멸망한 지 몇십 년 후인 679년, 아쉬나 니슈푸(Ashina Nishufu)가 가한(Qaghan)으로 선포되었으나 곧 당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6] 그러나 680년, 그는 배행건에게 그는 패배하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6] 니슈푸가 죽은 후, 같은 왕족 계열인 아쉬나 푸니안(Ashina Funian)이 새로운 가한으로 추대되었으며, 동돌궐은 다시 한 번 당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7] 반란 초반에는 푸니안이 몇 차례 승리를 거두었으나 결국 배행건에게 다시 패배하였다.[7] 토뉴쿠크(Tonyukuk)에 따르면, 당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가한을 세우려는 시도는 정당한 행위였으며, 니슈푸를 폐위하고 살해한 것은 백성들의 잘못이었고, 그들이 다시 당나라에 복속된 것은 스스로 자초한 일이었다.[8]
일릭 카간(Illig Qaghan)의 손자인 쿠틀룩은 681년에 반란을 일으켰고, 682년 고비사막으로 후퇴하였다. 쿠틀룩은 그의 형제 뵈귀초르(Bögü-chor) 및 그의 가장 가까운 전우였던 토뉴쿠크와 함께 인산산맥에 거점을 마련한 후 대부분의 돌궐인들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 682년부터 687년까지 산시(山西) 지역에서 당 군대에 대해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하였다. 687년, 일테리쉬 가한은 인산을 떠나 전투에서 단련된 군대를 이끌고 현대 몽골 중부와 북부에 해당하는 옛 돌궐 제국의 심장부를 정복하기 위해 나섰다. 687년부터 691년 사이, 그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토쿠즈 오구즈(Toquz Oghuz)와 위구르(Uyghur) 세력은 패배하고 굴복당했다. 그들의 수장인 아부즈 가한(Abuz Kaghan)은 전사하였다. 이후 돌궐 제2제국의 중심지는 오르혼(Orkhon), 셀렝가(Selenga), 톨라강과 외튀켄산맥으로 이동하였다.[9]
군주 목록
[편집]카간(가한)
[편집]카간(가한) | 통치기한 | 부친, 조부 |
왕호(한자) | 이름(한자, 원어) |
---|---|---|---|---|
일테리쉬 카간(Ilterish Qaghan) | 682–691 | 에트미쉬 벡(Etmish Beg), 미상 |
힐질리시가한(頡跌利施可汗) | 아사나골독록(阿史那骨篤祿) Āshǐnà Gǔdǔlù |
카파간 카간(Qapaghan Qaghan) | 692–716 | 에트미쉬 벡(Etmish Beg), 미상 |
천산가한(遷善可汗) | 아사나묵철(阿史那默啜) 아사나괴(阿史那瓌) 뵈귀촐(Bögü-Çor, 𐰋𐰇𐰏) |
이넬 카간(Inel Qaghan) | 716–717 | 카파간 카간(Qapaghan Qaghan), 에트미쉬 벡(Etmish Beg) |
탁서가한(拓西可汗) 이녈가한(移涅可汗) 니녈가한(泥涅可汗) |
아사나복구(阿史那匐俱) |
빌게 카간(Bilge Qaghan) | 717–734 | 일테리쉬 카간(Ilterish Qaghan), 에트비쉬 벡(Etmish Beg) |
비가가한(毗伽可汗) | 아사나묵극련(阿史那默棘連) |
욜릭 카간(Yollıg Khagan) | 734–739 | 빌게 카간(Bilge Qaghan), 일테리쉬 카간(Ilterish Qaghan) |
이연가한(伊然可汗) | 아사나이연(阿史那伊然) |
텡그리 카간(Tengri Qaghan) | 739–741 | 빌게 카간(Bilge Qaghan), 일테리쉬 카간(Ilterish Qaghan) |
등리가한(登利可汗) | 아사나골돌(阿史那骨咄) |
오즈미쉬 카간(Ozmish Qaghan) | 742–744 | 판쿨티긴(Pan Kul Tigin), Ashina Duoxifu |
Wūsūmǐshī Kèhán | 아사나오소미시(阿史那烏蘇米施) |
공화시기(741-745)
[편집]카간(가한) | 통치기 | 부친, 조부 |
욍호(한자) | 이름(한자) |
---|---|---|---|---|
쿠틀룩 야브구 카간(Kutluk Yabgu Khagan) (찬탈자) |
741–742 | 미상 (아사나阿史那 가문이 아님) |
N/A | Gǔduō Yèhù |
아사나사(Ashina Shi) (claimant, Basmyl chief) |
742–744 | 우티 벡(Uti beg), Ashina Duoxifu |
Hèlà Píjiā Kèhán | Yīdiēyīshī |
쿨룬 벡(Kulun Beg) (claimant) |
744–745 | 외즈미스 카간(Özmiş Khagan), 판 쿨 티긴(Pan Kul Tigin) |
Báiméi Kèhán | Ashina Gulongfu |
- Later claimants
- Eletmish Kagan 747–759[10] (Son of Ashina Duoxifu)
- Bügü Kagan 759–779[10]
각주
[편집]- ↑ Sigfried J. de Laet, Ahmad Hasan Dani, Jose Luis Lorenzo, Richard B. Nunoo Routledge, 1994, History of Humanity, p. 56
- ↑ Aydın (2017), p. 119
- ↑ Elena Vladimirovna Boĭkova, R. B. Rybakov, Kinship in the Altaic World: Proceedings of the 48th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Moscow 10–15 July 2005, Otto Harrassowitz Verlag, 2006, ISBN 978-3-447-05416-4, p. 225.
- ↑ Anatoly Michailovich Khazanov, Nomads and the Outside World, Univ of Wisconsin Press, 1984, ISBN 978-0-299-14284-1, p. 256.
- ↑ András Róna-Tas, An introduction to Turkology, Universitas Szegediensis de Attila József Nominata, 1991, p. 29.
- ↑ 가 나 사마광, 자치통감 202권 (중국어)
- ↑ 가 나 Pan, Yihong (1997). 〈Chapter 8: China, the Second Turkish Empire and the Western Turks, 679-755〉. 《Son of Heaven and Heavenly Qaghan: Sui-Tang China and Its Neighbors》 (영어). Bellingham, WA: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262쪽. ISBN 9780914584209.
- ↑ Mihaly Dobrovits, TEXTOLOGICAL STRUCTURE AND POLITICAL OF THE OLD TURKIC RUNIC INSCRIPTIONS, p. 151
- ↑ Barfield, Thomas J. The Perilous Frontier: Nomadic Empires and China. Cambridge, Mass.: B. Blackwell, 1989. Print.
- ↑ 가 나 Yu. Zuev (I︠U︡. A. Zuev) (2002) (러시아어), Early Türks: Essays on history and ideology (Rannie ti︠u︡rki: ocherki istorii i ideologii), Almaty, Daik-Press, p. 233, 틀:Listed Invalid ISB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