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다 규이치
도쿠다 규이치
徳田球一 | |
---|---|
![]() 1952년의 도쿠다 규이치. | |
![]() | |
임기 | 1946년 4월 11일-1950년 6월 6일 |
지역구 | 도쿄도 제3구 (중선거구) |
선수 | 3 |
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서기장 | |
임기 | 1945년 12월 3일-1953년 10월 14일 |
전임 | 사카이 토시히코 |
후임 | 노사카 산조 |
신상정보 | |
출생일 | 1894년(메이지 27년) 9월 12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오키나와현 나고 |
사망일 | 1953년(쇼와 28년) 10월 14일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학력 | 니혼대학 |
정당 | 일본 공산당 |
도쿠다 규이치(徳田球一 (1894년 9월 12일 ~ 1953년 10월 14일)는 일본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일본 공산당의 공동 창립자이다.
생애[편집]
1894년 오키나와현 나고에서 태어나 1920년 니혼대학을 졸업한 뒤 법조인이 되었다.[1] 1922년 가타야마 센과 함께 일본 공산당을 창당하고 코민테른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2] 1928년 3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18년동안 수감되었으며, 1945년 10월 석방되었다.[1][2] 감옥살이 동기가 시가 요시오였다.[3] 석방된 된 이후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해산된 일본 공산당을 재창당하고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 전선에 투신했으며, 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도쿠다 규이치는 천황제와 제국주의에 강력히 반대하였다.[4]
1946년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48년에는 연설 중 다이너마이트를 묶은 병이 투척되는 암살기도를 겪었으나 살아남았다.[5] 1950년 도쿠다는 일공당 당내 2인자로서 일곤 공산당 의장 노사카 산조를 지지했다.[3] 미국이 군정을 세운 이후 일본 공산당 간부 및 당원들과 함께 추방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망명하였으며, 그곳에서 사망하였다.[1]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다 “Tokuda, Kyuichi”. 《www.ndl.go.jp》 (영어).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Milorad M. Drachkovitch (1986년 12월 1일).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Comintern. Hoover Institution Press. 472–473쪽.
- ↑ 가 나 “JAPAN: Red Schism”. 《Time》. 1950년 5월 8일. ISSN 0040-781X.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Remove Hirohito" Is Cry Of Freed Jap Communists”. 《Toronto Daily Star》. 1945년 10월 10일.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Pressure From Left Increases in Japan”. 《The Lewiston Daily Sun》. 1948년 7월 20일.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