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 커브

그래프 데이터는 바람이 거의 불지 않아 풍력 발전 전력량이 매우 적었던 2016년 10월 22일 토요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전력 수급 상황이다.[1] 주황 곡선은 해가 지는 오후 5시에서 6시 사이 급증하였는데 이 경우 1시간 이내에 급전 가능 발전원에서 약 5 기가와트(GW)의 발전량을 바로 끌어와야 한다.
덕 커브(Duck curve)는 일일 전력 생산 그래프에서 전력 최대 수요와 재생 가능 에너지의 전력 생산 시간이 서로 차이가 나는 현상을 의미한다.[2] 덕 커브라는 용어는 망 단위 발전 단계에서 사용되며, 2012년 캘리포니아주 독립망 운영체(CAISO)의 카렌 에드슨이 처음으로 명명하였다.[3][4]
설명[편집]
일부 전력망에서는 일몰 이후 태양 에너지로 발전을 하지 못하면 최대 수요 피크를 찍는 경우가 발생한다. 태양 발전소가 일정 이상 설치된 망에서는 태양이나 풍력 발전을 사용할 수 없는 일몰 무렵에 전력 수요가 급증해 저녁 즈음 피크를 이루는, 마치 오리와 비슷한 모양의 그래프가 그려진다.[5][6] 미국 하와이의 경우에는 태양 발전이 전력 공급의 상당수를 차지해 일일 전력 수요 그래프가 마치 "네스호의 괴물 곡선"같이 더욱 급격하고 뾰족한 모양으로 그려진다.[7][8]
에너지 저장장치가 아에 없는 전력망의 경우 낮에는 강력한 태양 발전으로 수요를 커버하지만 일몰 무렵 태양 에너지 발전량이 없어지면 발전량을 다른 형태로 급격하게 전환해야 한다.[9] 덕 커브로 인한 급격한 수요불균형 문제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FES)의 경우 주파수 조절 기능이 매우 뛰어나다.[10] 짧게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도 규모를 매우 크게 만들어 사용한다면 덕 커브를 평평하게 만들고 급격한 수요 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1] 하지만 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 설치 비용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의 주요 제한 요인으로는 비용이 발목잡히게 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alifornia ISO - Renewables Reporting”. 《www.caiso.com》.
- ↑ 한유리 (2018년 1월 2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덕 커브(Duck Curve) 발생 현황과 대응 정책”. 전기저널.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 ↑ Roberts, David (2018년 3월 20일). “Solar power's greatest challenge was discovered 10 years ago. It looks like a duck”. 《Vox》. 2018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Staple, Gregory. “California's Grid Geeks: Flattening the 'duck curve'”. 《Green Biz》. 2021년 5월 9일에 확인함.
- ↑ Paul Denholm, Matthew O’Connell, Gregory Brinkman, and Jennie Jorgenson. "Overgeneration from Solar Energy in California: A Field Guide to the Duck Chart" NREL/TP-6A20-65023.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ovember 2015
- ↑ Wirfs-Brock, Jordan (2014년 10월 2일). “IE Questions: Why Is California Trying To Behead The Duck?”. 《Inside Energy》.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Charting Hawaii's Spectacular Solar Growth”. 《The Energy Collective》. 2018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 “Hawaii's Solar-Grid Landscape and the 'Nessie Curve'”. 2014년 2월 10일. 2017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What the Duck Curve Tells Us About Managing A Green Grid” (PDF). 《caiso.com》. California ISO.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Lazarewicz, Matthew; Rojas, Alex (2004년 6월 10일). “Grid Frequency Regulation by Recycling Electrical Energy in Flywheels”.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2: 2038–2042. doi:10.1109/PES.2004.1373235. ISBN 0-7803-8465-2.
- ↑ Lazar, Jim. “Teaching the "Duck" to Fly” (PDF). RAP.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