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보 (1990년대)
보이기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국가유산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국가유산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한다.
지정 목록 (1990년대)
[편집]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252호 | ![]() |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靑磁 陰刻‘孝文’銘 蓮花文 梅甁) (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Design and Inscription of "Hyomun")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90년 5월 21일 지정 | [1] |
---|---|---|---|---|---|---|
253호 | ![]()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釦 鉢) (Celadon Bowl with Silver Lip, Lotus and Scroll Design in Relief, and Inlaid Peony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0년 5월 21일 지정 | [2] |
254호 | ![]() |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靑磁 陰刻蓮花文 有蓋梅甁) (Celadon Lidded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Design) |
서울 서초구 | 이헌 | 1990년 5월 21일 지정 | [3] |
255호 | ![]() |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傳 德山 靑銅鈴一括) (Bronze Bells from Deoksan (Presumed))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90년 5월 21일 지정 | [4] |
256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一)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 | 경기도박물관 | 1990년 9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5] |
257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九)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29) |
충북 단양군 구인사길 73 (영춘면, 구인사) |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 | 1990년 9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6] |
258호 | ![]() |
백자 청화죽문 각병 (白磁 靑畵竹文 角甁) (White Porcelain Octagonal Bottle with Bamboo Design in Underglaze Cobalt Blue) |
서울 용산구 | 삼성미술관 리움 | 1991년 1월 25일 지정 | [7] |
259호 | ![]() |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粉靑沙器 象嵌雲龍文 立壺) (Buncheong Jar with Inlaid Cloud and Dragon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1년 1월 25일 지정 | [8] |
260호 | ![]() |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粉靑沙器 剝地鐵彩牡丹文 扁甁) (Buncheong Turtle-shaped Bottle with Sgraffito Peony Design in Underglaze Ir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1년 1월 25일 지정 | [9] |
261호 | ![]() |
백자 유개항아리 (白磁 有蓋壺) (White Porcelain Lidded Jar)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91년 1월 25일 지정 | [10] |
262호 | ![]()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White Porcelain Moon Jar)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 용인대학교 박물관 (삼가동) | 용인대학교 | 1991년 1월 25일 지정 | [11] |
263호 | ![]() |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白磁 靑畵山水花鳥文 立壺) (White Porcelain Jar with Landscape, Flower and Bird Design in Underglaze Cobalt Blue)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 용인대학교박물관 (삼가동) | 용인대학교 | 1991년 1월 25일 지정 | [12] |
264호 | ![]() |
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 (Silla Monument in Naengsu-ri, Pohang) |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 342-1 신광면사무소 | 포항시 | 1991년 3월 15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3] |
265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三)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3) |
서울 종로구 | 김종규 | 1991년 7월 12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4] |
266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 七十五)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s 2 and 75)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호림박물관 | 1991년 7월 12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5] |
267호 | ![]() |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初雕本 阿毗達磨識身足論 卷十二) (Abhidharma vijnana kaya pada Sastra (Discourse on Consciousness Body),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2)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호림박물관 | 1991년 7월 12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6] |
268호 | ![]() |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初雕本 阿毗曇毗婆沙論 卷十一, 十七) (Abhidharma vibhasa Sastra (Explanatory of the Abhidharma),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s 11 and 17)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호림박물관 | 1991년 7월 12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7] |
269호 | ![]() |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初雕本 佛說最上根本大樂金剛不空三昧大敎王經 卷六) (Ardhasatika prajnaparamita Sutra,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6)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호림박물관 | 1991년 7월 12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8] |
270호 | ![]() |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靑磁 母子猿形 硯滴) (Celadon Water Dropper in the Shape of Mother and Baby Monkeys)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 간송미술관 | 1992년 4월 20일 지정 | [19] |
271호 | ![]() |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二) (Prakaranaryavaca Sastra (Acclamation of the Holy Teaching),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2)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2년 4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0] |
272호 | ![]()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三十二) (Yogacarabhumi Sastra (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32)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2년 4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1] |
273호 | ![]()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十五) (Yogacarabhumi Sastra (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5)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2년 7월 28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2] |
![]() |
(龜艦別黃字銃筒(1596年造)) |
1992년 9월 4일 지정, 1996년 8월 31일 해제, 해제사유: 모조품 |
[23] | |||
275호 | ![]()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陶器 騎馬人物形 角杯) (Earthenware Horn Cup in the Shape of a Warrior on Horseback)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1993년 1월 15일 지정 | [24] |
276호 | ![]()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五十三) (Yogacarabhumi Sastra (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53) |
인천 연수구 청량로102번길 40-9, 가천박물관 (옥련동) | 가천박물관 | 1993년 4월 27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5] |
277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六)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36) |
강원 원주시 | (주)한솔제지 | 1993년 4월 27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6] |
(太宗十一年李衡原從功臣錄券附函) |
1993년 4월 27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해제, 보물 제1657호로 강등 |
[27] | ||||
279호 |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七十四)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74) |
충북 단양군 | 대*** | 1993년 6월 15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28] |
280호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天興寺銘銅鍾)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Cheonheungsa Temple" in Seonggeosan Mountai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93년 9월 10일 지정 | [29] | |
281호 | ![]() |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White Porcelain Bottle-shaped Ewer)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호림박물관 | 1993년 9월 10일 지정 | [30] |
282호 | ![]()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and Excavated Relics of Heukseoksa Temple, Yeongju)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흑석사,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석포리) | 흑석사, 국립대구박물관 | 1993년 11월 5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31] |
283호 | ![]() |
통감속편 (通鑑續編) (Tonggam sokpyeon (Supplement to the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 1995년 3월 10일 지정 | [32] |
284호 | ![]() |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一百六二, 一百七十, 四百六十三) (Maha prajnaparamita Sutra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s 162, 170, and 463) |
서울 강남구 |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 1995년 3월 1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33] |
285호 | ![]()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85 (대곡리 991번지) | 울주군 | 1995년 6월 23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4] |
286호 | ![]() |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白磁 ‘天’‘地’‘玄’‘黃’銘 鉢) (White Porcelain Bowls with Inscription of "Cheon (天)," "Ji (地)," "Hyeon (玄)," and "Hwang (黃)")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95년 12월 4일 지정 | [35] |
287호 | ![]() |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金銅大香爐)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1996년 5월 30일 지정 | [36] |
288호 | ![]()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Stone Reliquary from Temple Site in Neungsan-ri, Buyeo)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1996년 5월 30일 지정 | [37] |
289호 | ![]()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 | 익산시 | 1997년 1월 1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8] |
290호 | ![]() |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梁山 通度寺 大雄殿 및 金剛戒壇) (Daeungjeon Hall and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Yangsan)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지산리) | 통도사 | 1997년 1월 1일 지정 | [39] |
291호 | ![]() |
용감수경 권3~4 (龍龕手鏡 卷三~四) (Yonggam sugyeong (The Handy Mirror in the Dragon Shrine), Volumes 3 and 4) |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1997년 1월 1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40] |
292호 |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平昌 上院寺 重創勸善文) (Documents of Sangwonsa Temple, Pyeongchang)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 월정사 성보박물관 | 월정사 성보박물관 | 1997년 1월 1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41] |
293호 | ![]()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Gyuam-ri, Buyeo)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1997년 1월 1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42] |
294호 | ![]() |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White Porcelain Bottle with Grass and Insect Design in Underglaze Iron, Copper, and Cobalt Blue)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97년 1월 1일 지정 | [43] |
295호 | ![]() |
나주 신촌리 금동관 (羅州 新村里 金銅冠) (Gilt-bronze Crown from Sinchon-ri, Naju) |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277, 국립나주박물관(신촌리, 국립나주박물관) | 국립나주박물관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4] |
296호 | ![]() |
칠장사오불회괘불탱 (七長寺五佛會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Chiljangsa Temple (Five Buddhas))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칠장리) | 칠장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5] |
297호 | ![]() |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安心寺 靈山會 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Ansim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길 169-28, 안심사 (사동리) | 안심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6] |
298호 | ![]() |
갑사삼신불괘불탱 (甲寺三身佛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Gapsa Temple (Buddha Triad))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갑사 | 갑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7] |
299호 | ![]() |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 (新元寺盧舍那佛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Sinwonsa Temple (Rocana Buddha))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 신원사 (양화리) | 신원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8] |
300호 | ![]() |
장곡사미륵불괘불탱 (長谷寺彌勒佛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Janggoksa Temple (Maitreya Buddha))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장곡사 (장곡리) | 장곡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49] |
301호 | ![]() |
화엄사영산회괘불탱 (華嚴寺靈山會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Hwaeom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화엄사 | 1997년 9월 22일 지정 | [50] |
302호 | ![]() |
청곡사영산회괘불탱 (靑谷寺靈山會掛佛幀) (Hanging Painting of Cheonggok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 |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1440번길 138, 청곡사문화박물관 (갈전리) |
청곡사문화박물관 | 1997년 9월 22일 지정 | [51] |
303호 | ![]() |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Seungjeongwon ilgi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
서울 관악구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1999년 4월 9일 지정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