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2000년대~2010년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무형유산(國家無形遺産)은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무형의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유산으로 지정한 것을 말한다. 수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은 전통적 공연·예술,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로 나뉘어 있다.

지정 목록

[편집]

2000년대 지정

[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11호 사직대제
(社稷大祭)
(Sajik Daeje (National Rite to Gods of Earth and Grain))
서울 서울전역 사직대제 보존회 2000년 10월 19일 지정 [1]
112호 주철장 (鑄鐵匠)(Jucheoljang (Casting)) 충북 충북전역 [2]성종사 2001년 3월 12일 지정 [3]
113호 칠장
(漆匠)
(Chiljang (Lacquerware Making))
서울 서울전역 2001년 3월 12일 지정 [4]
114호 염장
(簾匠)
(Yeomjang (Bamboo Blind Making))
경남 경남전역 2001년 6월 27일 지정 [5]
115호 염색장
(染色匠)
(Yeomsaekjang (Natural Dyeing))
전남 전남전역 2001년 9월 6일 지정 [6]
116호 화혜장
(靴鞋匠)
(Hwahyejang (Shoe Making))
서울 서울전역 마천동 190-37 2004년 2월 20일 지정 [7]
117호 한지장
(韓紙匠)
(Hanjijang (Korean Paper Making))
기타 . 2005년 9월 23일 지정 [8]
118호 불화장
(佛畵匠)
(Bulhwajang (Buddhist Painting))
경기 경기전역 2006년 1월 10일 지정 [9]
119호 금박장
(金箔匠)
(Geumbakjang (Gold Leaf Imprinting))
경기 경기전역 2006년 11월 16일 지정 [10]
120호 석장
(石匠)
(Seokjang (Stone Masonry))
경기 경기전역 2007년 9월 17일 지정 [11]
121호 번와장
(翻瓦匠)
(Beonwajang (Tile Roofing))
서울 서울전역 2008년 10월 21일 지정 [12]

2010년대 지정

[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1-6호 구례잔수농악
(求禮潺水農樂)
(Gurye Jansu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Jansu, Gurye))
전남 전남전역 구례잔수농악보존회 2010년 10월 21일 지정 [13]
11-7호 김천금릉빗내농악 경북 김천시 개령면 빗내길 118 김천금릉빗내농악 보존회 2019년 9월 2일 지정 [14]
11-8호 남원농악 전북 남원시 술미안길 14-19 남원농악 보존회 2019년 9월 2일 지정 [15]
122호 연등회
(燃燈會)
(Yeondeunghoe (Buddhist Lantern Festival))
서울 종로구 연등회보존위원회 2012년 4월 6일 지정 [16]
123호 법성포단오제
(法聖浦端午祭)
(Beopseongpo Danoje (Dano Festival of Beopseongpo))
전남 전남전역 (사)법성포단오보존회 2012년 7월 23일 지정 [17]
124호 궁중채화
(宮中綵花)
(Gungjung Chaehwa (Royal Silk Flower Making))
경남 양산시 2013년 1월 14일 지정 [18]
125호 삼화사 수륙재
(三和寺水陸齋)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강원 강원전역 . 삼화사 국행수륙대재 보존회 2013년 12월 31일 지정 [19]
126호 진관사 수륙재
(津寬寺水陸齋)
(Jingwan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Jingwansa Temple))
서울 . 진관수 국행수륙재 보존회 2013년 12월 31일 지정 [20]
127호 아랫녘 수륙재
(아랫녘 水陸齋)
(Araennyeok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Gyeongsang-do))
경남 전역 아랫녘 수륙재보존회 2014년 3월 18일 지정 [21]
128호 선자장
(扇子匠)
전북전주시 김동식 2015년 7월 8일지정 [22]
129호 아리랑 2015년 9월 22일지정 [23]
130호 제다
(製茶)
2016년 7월 14일지정 [24]
131호 씨름 2017년 1월 4일지정 [25]
132호 해녀 기타 2017년 5월 1일지정 [26]
133호 김치 담그기 기타 2017년 11월 15일지정 [27]
134호 제염 기타 2018년 4월 30일 지정 [28]
135호 온돌문화 기타 2018년 4월 30일 지정 [29]
136호 낙화장
(烙畵匠)
충북 보은군 보은읍 김영조 2018년 12월 27일 지정 [30],
[31]
137호 장 담그기
(醬 담그기)
2018년 12월 27일 지정 [32],
[33]
138-1호 전통어로방식-어살 2019년 4월 3일 [34],
[35]
139호 불복장작법
(佛腹藏作法)
서울 대한불교 전통불복장 및 점안의식보존회 2019년 4월 30일 [36],
[37]
140호 삼베짜기 2019년 12월 31일 [3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