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설
황경 | 절기 | 양력 |
---|---|---|
봄 | ||
315° | 입춘 | 2/4~5 |
330° | 우수 | 2/18~19 |
345° | 경칩 | 3/5~6 |
0° | 춘분 | 3/20~21 |
15° | 청명 | 4/4~5 |
30° | 곡우 | 4/20~21 |
여름 | ||
45° | 입하 | 5/5~6 |
60° | 소만 | 5/21~22 |
75° | 망종 | 6/5~6 |
90° | 하지 | 6/21~22 |
105° | 소서 | 7/7~8 |
120° | 대서 | 7/22~23 |
가을 | ||
135° | 입추 | 8/7~8 |
150° | 처서 | 8/23~24 |
165° | 백로 | 9/7~8 |
180° | 추분 | 9/22~23 |
195° | 한로 | 10/8~9 |
210° | 상강 | 10/23~24 |
겨울 | ||
225° | 입동 | 11/7~8 |
240° | 소설 | 11/22~23 |
255° | 대설 | 12/7~8 |
270° | 동지 | 12/21~22 |
285° | 소한 | 1/5~6 |
300° | 대한 | 1/20~21 |

대설(大雪)은 24절기의 21번째로, 태양 황경이 25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이 무렵 많은 눈이 내린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이는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한국의 경우 눈이 많이 오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도 잦다. 한국에서는 12월보다 오히려 1월이나 2월에 평균적으로 더 많은 눈이 내린다. 아무튼 한국에서는 이때 눈이 많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든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눈이 많이 덮인 보리밭에서는 보온이 잘 되어 보리 싹이 눈 아래에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에 해당한다.
현재 퍼지고 있는 정기법으로는 황도가 255도 때에 12월 7일 경. 역법으로는 그것이 일어나는 날이지만, 천문학으로는 그 순간으로 한다. 항기법으로는 동지로부터 23/24년 (약 350.02일) 다음에 12월 7일 경.
기간으로서의 의미도 있어, 이 날에서 다음 절기의 동지 전날까지이다.
계절[편집]
눈이 격렬하게 내리기 시작하는 무렵. 「역편람」에서는 「눈 드디어 내려 거듭하는 때에 되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방어 등 겨울철 물고기 잡이가 활발하고, 곰이 동면에 들어가고, 남천의 열매가 붉게 물이 드는 무렵이다.
72후[편집]
폭설 기간의 72후는 이하대로.
- 초후
- 폐새성동(閉塞成冬): 천지의 기분이 차 겨울이 된다 (일본)
- 할단불명(鶡鴠不鳴): 할단새가 울지 않게 된다 (중국)
- 차후
- 웅칩혈(熊蟄穴): 곰이 동면을 위해 구멍에 숨는다 (일본)
- 호시교(虎始交): 호랑이가 교미를 시작한다 (중국)
- 말후
- 궐어군(鱖魚群): 연어가 모여 강을 오른다 (일본)
- 여정생(荔挺生): 타래붓꽃이 싹 트기 시작한다 (중국)
전후의 절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
이 글은 시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