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펩타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리실글리신은 가장 단순한 다이펩타이드이다.

다이펩타이드(영어: dipeptide)는 두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이다. 다이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를 경우에는 서열에 따라 두 가지 이성질체가 가능하다. 여러 다이펩타이드는 생리학적으로 중요하며, 일부는 상업적으로도 중요하다. 잘 알려진 다이펩타이드로는 인공 감미료아스파탐이 있다.[1]

다이펩타이드는 흰색 고체이다. 많은 다이펩타이드들이 모체가 되는 아미노산보다 훨씬 더 수용성이다.[1] 예를 들어 다이펩타이드인 Ala-Gln은 586 g/L의 용해도를 가지며, Gln의 용해도 35 g/L의 10배 이상이다. 또한 다이펩타이드는 가수분해와 관련하여 다양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Gln은 살균 절차를 견디지 못하는 반면, 이것의 다이펩타이드는 견뎌낸다. 다이펩타이드는 가수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영양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2]

[편집]

아스파탐은 인공 감미료로 상업적으로 생산된다.

상업적 가치를 지닌 다이펩타이드[편집]

대략 6가지의 다이펩타이드가 상업적 관심을 끌고 있다.[1]

기타 다이펩타이드[편집]

  • 호모안세린(N-(4-아미노뷰티릴)-L-히스티딘)은 포유류의 뇌와 근육에서 확인되는 다이펩타이드이다.
  • 다이페닐알라닌은 펩타이드 나노기술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단위체이다.
  • 쿄토르핀(L-티로실-L-아르지닌)은 뇌의 통증 조절에 역할을 하는 신경활성 다이펩타이드이다.
  • 발레닌(또는 오피딘)은 (β-알라닐-N τ-메틸 히스티딘)은 여러 종의 포유류(사람 포함)과 의 근육에서 확인되었다.
  • 글로린(N-프로피오닐-γ-L-글루타밀-L-오르니틴-δ-락 에틸 에스터)은 점균류인 폴리스폰딜리움 비오라세움(Polysphondylium violaceum)에 대한 화학주성 다이펩타이드이다.
  • 발레틴(사이클로-[(6-브로모-8-엔-트립토판)-아르지닌])은 해면동물게오디아 바레티(Geodia barretti)에서 발견되는 고리형 다이펩타이드이다.
  • 슈도프롤린
  • 다이알라닌은 일반적으로 분자동역학의 모델로 사용된다.

생성[편집]

합성 다이펩타이드[편집]

다이펩타이드는 아미노산들을 결합시켜 생성한다. 첫 번째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비친핵성이 되고, 두 번째 아미노산의 카복실기는 메틸 에스터로 비활성화된다. 두 개의 변형된 아미노산은 결합제의 존재 하에 결합되어 아마이드 결합의 형성을 촉진한다.

RCH(NHP)CO2H + R'CH(NH2)CO2CH3RCH(NHP)C(O)NH(CHR')CO2CH3 + H2O

이러한 결합 반응에 이어, 아민 보호기 P 및 에스터는 각각 유리 아민 및 카복실산으로 전환된다.[3]

많은 아미노산의 경우 부수적인 작용기들이 보호된다.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아미노기카복실기축합은 일반적으로 카복실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결합제를 사용한다.[4]

베르그만 아즈락톤 펩타이드 합성은 다이펩타이드 제조를 위한 고전적인 유기 합성이다.[1]

생합성[편집]

다이펩타이드는 가수분해효소다이펩티딜 펩티데이스의 작용에 의해 폴리펩타이드로부터 생성된다.[5] 식이 단백질은 다이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소화되고, 다이펩타이드의 흡수는 별도의 메커니즘을 포함하기 때문에 아미노산보다 더 빠르게 흡수된다. 다이펩타이드는 위에서 발견되는 G 세포를 활성화시켜 가스트린을 분비하게 한다.

다이케토피페라진 (고리형 다이펩타이드)[편집]

레토시반[6]은 경구용 약물로 연구되고 있는 고리형 다이펩타이드이다.

다이케톤피페라진은 고리형인 다이펩타이드의 특별한 부류이다. 이들은 펩타이드 합성에서 부산물로 형성된다. 많은 다이케토피페라진들이 비표준 아미노산들로부터 생산되었다.[7]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Yagasaki M, Hashimoto S (November 2008).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dipeptides;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1 (1): 13–22. doi:10.1007/s00253-008-1590-3. PMID 18795289. 
  2. Fürst P, Pogan K, Stehle P (1997). “Glutamine dipeptides in clinical nutrition”. 《Nutrition》 13 (7-8): 731–7. doi:10.1016/S0899-9007(97)83035-3. PMID 9263278. 
  3. Subirós-Funosas AE, Albericio F (2013). “Low-epimerization Peptide Bond Formation with Oxyma Pure: Preparation of Z-L-Phg-Val-OMe”. 《Organic Syntheses》 90: 306. doi:10.15227/orgsyn.090.0306. 
  4. Suppo JS, de Figueiredo RM, Campagne JM (2015). “Dipeptide Syntheses via Activated α-Aminoesters”. 《Organic Syntheses》 92: 296–308. doi:10.15227/orgsyn.092.0296. 
  5. Steane R. “Hydrolysis of a dipeptide”. 《BioTopics》. 2014년 7월 28일에 확인함. 
  6. Borthwick AD, Liddle J (January 2013). 〈Retosiban and Epelsiban: Potent and Selective Orally available Oxytocin Antagonists〉. Domling A. 《Methods and Principles in Medicinal Chemistry: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Drug Discovery》. Weinheim: Wiley-VCH. 225–256쪽. ISBN 978-3-527-33107-9. 
  7. Borthwick AD (July 2012). “2,5-Diketopiperazines: synthesis, reactions, medicinal chemistry, and bioactive natural products”. 《Chemical Reviews》 112 (7): 3641–716. doi:10.1021/cr200398y. PMID 22575049.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