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동 (청주시)
(내곡동 (청주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서1동 | |
---|---|
江西1洞 Gangseo 1-dong | |
![]() | |
면적 | 30.7 km2 |
인구 | 22,658명 (2017년 6월 30일) |
인구밀도 | 738 명/km2 |
세대 | 10,503가구 (2017년 6월 30일) |
법정동 | 강서동, 석곡동, 휴암동, 신전동, 현암동, 동막동, 수의동, 지동동, 서촌동, 비하동, 석소동, 정봉동, 신촌동 |
통 | 48 |
반 | 204 |
동주민센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로수로 1164 |
홈페이지 | 강서1동 주민센터 |
강서2동 | |
---|---|
江西2洞 Gangseo 2-dong | |
면적 | 16.85 km2 |
인구 | 3,851명 (2017년 6월 30일) |
인구밀도 | 229 명/km2 |
세대 | 2,405가구 (2017년 6월 30일) |
법정동 | 신성동, 평동, 신대동, 남촌동, 내곡동, 상신동, 원평동, 문암동, 송절동, 화계동, 외북동, 향정동 |
통 | 16 |
반 | 63 |
동주민센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내곡로 26 |
홈페이지 | 강서2동 주민센터 |
강서동(江西洞)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의 동이다. 행정동은 강서1동과 강서2동으로 나뉜다.
역사[편집]
- 조선시대 충청도 청주군 서강내일상면(四江內一上面)·서강내일하면(四江內一下面)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청주군[1]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청주군[2]
- 1914년 4월 1일 서강내일상면·서강내일하면을 강서면으로 통합하였다.[3] (21리)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 구역 신 행정 구역 청주군 서강내일하면 강서면 서촌리, 지동리, 비하리, 용정리, 휴암리, 수의리, 신전리, 현암리, 동막리 청주군 서강내일상면 강서면 신대리, 평리, 신성리, 향정리, 상신리, 남촌리, 외북리, 내곡리, 화계리, 원평리, 문암리, 송절리
- 1946년 6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강서면[4]
- 1973년 7월 1일 청원군 남이면 석곡리를 강서면에 편입하였다.[5] (22법정리)
-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강서면 일원, 강내면 석소리를 청주시로 편입하고,[6] 행정동 강서1동, 강서2동으로 개편하였다. (강서1동: 11법정동, 강서2동: 12법정동)
청주시 조례 제1051호 신 행정 구역 청주시 강서1동 강서동(구 용정리), 석곡동, 휴암동, 신전동, 현암동, 동막동, 수의동, 지동동, 서촌동, 비하동, 석소동 청주시 강서2동 신성동, 평동, 신대동, 남촌동, 내곡동, 상신동, 원평동, 문암동, 송절동, 화계동, 외북동, 향정동
- 1987년 1월 1일 청원군 강내면 정봉리, 신촌리를 청주시에 편입하여[7] 강서1동 관할에 두었다.[8] (강서1동: 13법정동)
- 1995년 1월 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9]
하위 행정 구역[편집]
강서1동[편집]
법정동 | 통 | 비고 |
---|---|---|
강서동 | 1~4, 30~32, 47통 | 동주민센터 |
석곡동 | 5~6통 | |
휴암동 | 7통 | |
신전동 | 8통 | |
현암동 | 9~10통 | |
동막동 | 11~12통 | |
수의동 | 13~14통 | |
지동동 | 15~16, 22통 | |
서촌동 | 17~19통 | |
비하동 | 20~21, 23~25, 27, 32~46, 48통 |
|
석소동 | 26통 | |
정봉동 | 28통 | |
신촌동 | 29통 | |
13법정동 | 48통 |
강서2동[편집]
법정동 | 통 | 비고 |
---|---|---|
신성동 | 1통 | |
평동 | 2통 | |
신대동 | 3~4통 | |
남촌동 | 5통 | |
내곡동 | 6통 | 동주민센터 |
상신동 | 7통 | |
원평동 | 8~9통 | |
문암동 | 10통 | |
송절동 | 11~12통 | |
화계동 | 13통 | |
외북동 | 14통 | |
향정동 | 15~16통 | |
12법정동 | 16통 |
교육 기관[편집]
각주[편집]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년 5월 23일)
-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3조
- ↑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년 12월 23일)
- ↑ 청주시 조례 제1254호 (1986년 12월 31일)
- ↑ 청주시 조례 제1795호 (1994년 12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