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이 (항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십자자리 델타에서 넘어옴)

이마이
Imai
남십자자리. 이마이는 델타(δ)이다.
남십자자리. 이마이는 델타(δ)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남십자자리 델타 (δ Cru)
밝은 별 목록 HR 4656[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06490[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39791[1]
소천성표 CD-58 4466[1]
히파르코스 목록 HIP 59747[1]
다른 이름 FK5 455[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남십자자리
적경(α) 12h 15m 08.71673s[2]
적위(δ) –58° 44′ 56.1369″[2]
겉보기등급(m) 2.79[3]
절대등급(M) –3.2[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2.2 km/s[3]
적경 고유운동 -35.81 mas/yr[2]
적위 고유운동 -10.36 mas/yr[2]
연주시차 9.45 ± 0.15 mas[2]
성질
광도 10,000 L[4]
나이 18.1 ± 3.2 (백만 년)[5]
분광형 B2 IV[6]
U-B 색지수 –0.921[7]
B-V 색지수 –0.235[7]
변광성 분류 β Cep[8]
추가 사항
질량 8.9 ± 0.1 M[5]
반지름 8.0 R[9]
표면온도 22,570 ± 1,840 K[10]
표면 중력 (log g) 3.88 cgs[4]
자전 속도 210 km/s[11]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이마이(Imai) 또는 남십자자리 델타(Delta Crucis, δ Cru)는 천구 남반구의 남십자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으로 남십자자리를 구성하는 밝은 별 넷 중 가장 어둡다. 겉보기등급은 2.79이며 2018년 8월 10일 국제천문연맹이 고유 명칭을 부여했다.[12] 이마이는 질량이 크고 뜨거우며 빠르게 회전하는 항성으로 거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다. 연주시차 자료로부터 구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약 345 광년 (106 파섹)이다.

명칭[편집]

남십자자리 델타 Delta Crucis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식 명칭이다. 포르투갈어로 팔리다 Pálida (희미한 것)로 불릴 때도 있다.[13]

이마이 Imai는 현대 에티오피아무르시족이 이 별을 부르는 명칭이다. 무르시족의 말에 따르면 이 별이 저녁 황혼녘 서쪽 하늘에서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될 즈음(8월 말)에 오모강(江)이 범람하여 강변의 이마이 imai 풀을 눕게 한 뒤 다시 물이 빠진다고 한다. 무르시족은 오모강이 계절마다 범람하는 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남반구 하늘의 별 여럿을 이용하고 있다.[14] 2016년 8월 10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남십자자리 델타에 무르시족의 고유 명칭 이마이 Imai를 정식으로 부여하였다.[12][15]

특성[편집]

남십자자리. 이마이는 그림의 십자가에서 3시 방향에 있는 청색 별이다.

이 별의 분광형은 B2 IV로[6]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는 중간 과정에 있으며 먼 미래에 백색왜성으로 생명을 마칠 것이다. 현재 이마이는 외포층의 유효온도인 22570 켈빈에서 태양 광도의 약 1만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여[4] 청백색의 빛을 뿜고 있다.[16] 이마이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유력 후보이다.[8] 자전 속도는 매우 빨라 초당 210 킬로미터에 이른다.[11]

이마이는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무거운 항성들로 구성된 OB 성협으로 이들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뒤 우주 공간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 중이다.) 내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아래쪽(LCC) 구성원이다.[4] 이 성협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OB 성협으로 LCC 구성원인 이마이의 나이는 1600만 ~ 2000만 년 사이이다.[17]

문화[편집]

중화권에서 이마이는 아크룩스, 베크룩스, 가크룩스와 함께 십자가(十字架)를 구성한다. 이들 중 이마이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십자가4(十字架四)이다.[18]

오스트레일리아 중앙부 허만스버그 인근에 거주하는 아란다, 루리차족은 이마이를 포함하여 가크룩스-센타우루스자리 감마-센타우루스자리 델타 넷이 그리는 사각형을 이리트징가 Iritjinga (수리매)로 부른다.[19]

이마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 남십자성의 일부로 등장한다. 브라질의 국기에서는 미나스제라이스주를 상징한다.[20]

각주[편집]

  1. “HD 106490 – Variable Star of beta Cep type”,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5년 11월 5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oeffentlichungen des Astronomischen Rechen-Instituts Heidelberg》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4. de Geus, E. J.; de Zeeuw, P. T.; Lub, J. (June 1989), “Physical parameters of stars in the Scorpio-Centaurus OB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216 (1–2): 44–61, Bibcode:1989A&A...216...44D 
  5.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6. Houk, Nancy; Cowley, A. P. (1978),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Declinations -90 to -53》 1,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75mcts.book.....H 
  7. Gutierrez-Moreno, Adelina; Moreno, Hugo (June 1968), “A phot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corpio-Centaurus association”,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5: 459, Bibcode:1968ApJS...15..459G, doi:10.1086/190168 
  8. Telting, J. H.; 외. (June 2006), “A high-resolution spectroscopy survey of β Cephei pulsations in brigh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2 (3): 945–953, Bibcode:2006A&A...452..945T, doi:10.1051/0004-6361:20054730 
  9. Underhill, A. B.; 외. (November 1979), “Effective temperatures, angular diameters, distances and linear radii for 160 O and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89 (3): 601–605, Bibcode:1979MNRAS.189..601U, doi:10.1093/mnras/189.3.601 
  10. Sokolov, N. A. (May 1995), “The determination of T_eff_ of B, A and F main sequence stars from the continuum between 3200 A and 3600 A”,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10: 553, Bibcode:1995A&AS..110..553S 
  11.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1. Bibcode:1970CoAsi.239....1B. 
  12. “IAU Catalog of Star Name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13. da Silva Oliveira, R.,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Archived 2013년 12월 6일 - 웨이백 머신 보관됨 2013-12-06 - 웨이백 머신,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14.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보도 자료). IAU.org. 
  15.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16.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7. Jilinski, E.; 외. (March 2006),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B stars in the Scorpius-Centaurus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8 (3): 1001–1006, arXiv:astro-ph/0601643, Bibcode:2006A&A...448.1001J, doi:10.1051/0004-6361:20041614 
  18.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19. Raymond Haynes; Roslynn D. Haynes; David Malin; Richard McGee (1996). 《Explorers of the Southern Sky: A History of Australian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521-36575-8. 
  20.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외부 링크[편집]

좌표: 하늘 지도 12h 15m 08.71673s, −58° 44′ 56.1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