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197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영수
金泳秀
출생 1978년 4월 7일
서울, 대한민국
국적 대한민국
분야 화학생물학
박사 교수 Kim D. Janda

김영수(金泳秀, 1978년 4월 7일 ~)는 대한한국화학자(화학생물학)이며 대학교수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1][2]의 부교수이다.

학력[편집]

그는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2001년 생화학 학사(지도교수: 장영태)를 받은 후 미국 캘리포니아 라호야 소재 스크립스 연구소(Scripps Research)에서 Kim D. Janda 교수의 지도하에 생유기화학을 공부하고 2006년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고등학교는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불어과를 졸업하였다.

경력[편집]

한국과학기술연구원[편집]

그는 2006년 1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연구원(2006~2010)으로 입사하여 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2010~2016), 책임연구원(2016~2017) 및 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UST) 생명화학과 부교수(2010~2017) 역임 후 2017년 2월 퇴사하였다.

연세대학교[편집]

2017년에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의 융합과학공학부(ISED) 바이오융합전공(Bio-Convergence)과 약학대학 약학과의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20년 3월 약학대학 약학과 부교수가 되었다.

현재 연세대학교의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의 융합과학공학부(ISED) 바이오융합전공(Bio-Convergence, BC), 제약산업학 협동과정 Archived 2019년 9월 20일 - 웨이백 머신바이오융합 협동과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포항공과대학교(연세대-POSTECH 개방∙공유 캠퍼스)[4]의 겸임 교수이다.

기업활동[편집]

아밀로이드솔루션(주)의 공동설립자이며 Chief Science Officer이다.

학술활동[편집]

그는 현재 Scientific Reports의 Editorial Board Member(2015~)[5], PLOS ONE의 Academic Editor(2018~)[6], Experimental Neurobiology의 Executive Editor(2020~)[7],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DND)의 Editorial Board Member(2018~)[8],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의 임원(2019/2020 총무이사, 2021 재무이사, 2022 학술이사)[9]로 활동하고 있다. Alzheimer Associa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대한화학회, 대한약학회,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 대한치매학회,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한국유기합성학회 회원이다.

주요수상[편집]

  • 2022년 대한약학회 차세대선도약학자상
  • 2019년 BRIC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 5[10][11]
  • 2019년 보건의료기술진흥유공자 복지부장관상[12]
  • 2019년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사이언스펠로(11기)[13]
  • 2018년 연세대학교 우수강의교수상
  • 2017년 KIST인 대상
  • 2016년 BRIC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 5[14][15]
  • 2016년 과총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16]
  • 2016년 이달의 KIST인 상
  • 2016년 이달의 KIST인 상

연구[편집]

김영수 교수는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이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화학생물학연구실 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화학생물학을 도구로 사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치료법 및 진단기술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를 단량체로 되돌리는 합성신약의 개발[17][18]과 혈중 아밀로이드베타 올리고머를 검출하는 알츠하이머병 혈액진단기술의 개발[19][20][21][22][23]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연구수행 당시 소속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2016년[24]과 2017년[25] 로이터가 선정한 글로벌 혁신적 연구기관에 선정되는 데에 기여하였다. 혈액진단기술의 기술이전 비용은 당시(2016년 2월 기준)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이전 중 역대 최대 규모였으며 관련 기사는 2016년 2월 2일자 조선일보 1면에 게재되었다[26][27]. 김영수 교수팀의 2019년 EMM 논문[28]은 Springer Nature의 2019 Research Highlights[29]에 선정되었다. 관련된 대표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각주[편집]

  1.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2019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2. “연세대학교 교원정보 시스템: 약학과”.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3. “TSRI Kellogg School's Entering Class in 2002”. 
  4. “POSTECH-연세대 개방∙공유 캠퍼스”.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5. “Editorial Advisory Panel and Editorial Board”. 《Scientific Reports》. 
  6. “PLOS ONE Editorial Board - Academic Editors”. 
  7. “Experimental Neurobiology” (영어). 2022년 10월 28일에 확인함. 
  8.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Editorial Board” (영어).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9.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0. “BRIC”. 《연구자가 선정한 2019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1. “BRIC이 만난 사람들”. 《핏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정확도 최대 90%》.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2. “데일리메디, 2019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3. “제 11기 포스코사이언스펠로”.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4. “BRIC”. 《연구자가 선정한 2016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 발표》.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5. “BRIC이 만난 사람들”. 《물에 타 먹으면 알츠하이머병 유발 Aβ응집체를 분해, 제거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EPPS) 개발》.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16.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6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7. “EPPS rescues hippocampus-dependent cognitive deficits in APP/PS1 mice by disaggregation of amyloid-β oligomers and plaques”. 《Nature Communications》. 2015. 
  18. “Taurine in drinking water recovers learning and memory in the adult APP/PS1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Scientific Reports》. 2014. 
  19. “Correlations of amyloid-β concentrations between CSF and plasma in acute Alzheimer mouse model”. 《Scientific Reports》. 2014. 
  20. “Age-dependent inverse correlations in CSF and plasma amyloid-β(1–42) concentrations prior to amyloid plaque deposition in the brain of 3xTg-AD mice”. 《Scientific Reports》. 2015. 
  21. “Abnormalities of plasma cytokines and spleen in senile APP/PS1/Tau transgenic mouse model”. 《Scientific Reports》. 2015. 
  22. “Early Dementia Diagnosis Based on Blood Test to Become Possible in 2019”. 《Business Korea》. 2016. 2016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8일에 확인함. 
  23. “Comparative analyses of plasma amyloid-β levels in heterogeneous and monomerized states by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sensor system”. 《Science Advances》 (영어) 5 (4): eaav1388. 2019. doi:10.1126/sciadv.aav1388. 
  24.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6”. 《Reuters》. 
  25.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7”. 《Reuters》. 
  26. "그간 600조 가치 창출… 다음 50년도 MIRACLE". 조선일보. 2016년 1월 29일.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27. “치매 조기진단, 3년내 상용화”. 조선일보. 2016년 2월 2일. 201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28.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tilizing amyloid and tau as fluid biomarkers”.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영어) 51 (5): 1–10. 2019년 5월. doi:10.1038/s12276-019-0250-2. ISSN 2092-6413. 
  29. “Springer Nature”. 《2019 Research Highlights》. 2020년 3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0. “Molecule clears Alzheimer's plaques in mice”. 《BBC》. 2015. 
  31. “Taurine-like chemical restores cognitive function in mice with Alzheimer's”. 《The Guardian》. 2015. 
  32. “Rapid and sustained cognitive recovery in APP/PS1 transgenic mice by co-administration of EPPS and donepezil”. 《Scientific Reports》. 2016. 
  33. “Nec‐1 alleviates cognitive impairment with reduction of Aβ and tau abnormalities in APP/PS1 mic”. 《EMBO Molecular Medicine》. 2017. 2019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