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수봉
출생 1960년(63–64세)
국적 대한민국
수상 제1회 서울대학술연구상, 서울대학교 (2008)
Asahi Prize 공동수상, 아사히신문문화재단 (1999)
Bruno Rossi Prize 공동수상, 미국천체학회 (1989)
Asahi Prize 공동수상, 아사히신문문화재단 (1988)
분야 입자물리실험
소속 서울대학교

김수봉(1960년~)은 물리학자이자, 교수이다.

중성미자 변환과 질량에 관한 연구[편집]

  • 초신성 폭발의 중성미자 최초 관측 (1987)
  • 태양중성미자의 실시간으로 방향과 에너지를 측정 (1989)
  • 대기중성미자의 변환 발견 (1998)
  • 태양중성미자와 대기중성미자의 변환 현상 관측 (1995~)
  • 가속기로 만든 중성미자 빔으로 중성미자 변환을 관측하고 중성미자의 질량 존재를 확고히 규명 (1998~2005)
  • 미 측정됐던 중성미자 변환상수 발견을 위해 세종대학교 김영덕교수 등과 함께 원전중성미자실험(영어: Reactor Experiment for Neutrino Oscillations, 줄여서 RENO))을 시작하여 한빛원자력발전소(옛이름: 영광원자력발전소) 부근에 국내 최초의 중성미자 검출시설을 성공적 구축한 뒤 실험 수행 중 (2006~ ).
  • 2013년 4월 3일 원전중성미자실험에서 중성미자 3번째 섞임각을 측정하였다고 발표[1]

톱쿼크 발견과 질량 측정에 관한 연구[편집]

  • 톱쿼크 질량 측정 (1995)
  • 톱쿼크 발견 (1995)

과거부터 현재까지 참여 실험[편집]

같이 보기[편집]

  • 총 연구논문 편수 및 인용회수: 총 500 여편 / 약 25,000 여회의 인용회수
  • 인용회수 100회가 넘는 논문 39편(2000회 이상 1편, 500회 이상 7편, 300회 이상 10편, 100회 이상 21편)으로 국제학계에서 인정받는 연구업적 다수 보유
  • ISI에서 모든 학문분야의 HCR(Highly Cited Researchers) 세계 5,000인에 선정되었음.

각주[편집]

  1. RENO Collaboration (2012년 4월 3일). “Observation of electron-antineutrino disappearance at RENO”. 《Physical Review Letters》 108 (18): 191802. arXiv:1204.0626. Bibcode:2012PhRvL.108s1802A. doi:10.1103/PhysRevLett.108.19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