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덕지
金德摯
신라왕자
부왕 신라 경순왕
이름
김덕지(金德摯)
별호 범공(梵空)
군호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미상
사망일 미상
사망지 미상
성별 남성
왕조 신라
부친 신라 경순왕
모친 죽방부인[1]
형제자매 마의태자
종교 불교

김덕지(金德摯, ?~?)는 신라 제56대 경순왕왕자이다.

개요[편집]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김덕지는 신라 경순왕의 별자(別子)로, 학성부원군에 봉작되어 울산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학성은 울산의 별호이다.

935년(경순왕 9) 10월 경순왕고려신라의 천년사직을 양국하려 하자 그 불가함을 극력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부인과 자식을 버리고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2][3]

이후 화엄종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어 법수사와 해인사에 드나들며 망국의 한을 달랬는데 승명은 범공(梵空)이라 한다.[4][5][6]

김덕지는 왕자의 신분으로 경순왕이 신라의 천년 사직을 고려 태조에 양국하려 할 때 불가함을 극력 간하는 등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형 마의태자와 함께 마지막까지 절조를 지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7]

14세손 김환(金環)이 고려 시대에 삼중대광 광록대부에 이르고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에 따라, 후손들이 본관을 울산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8]

관련 문헌[편집]

  • 삼국유사》 : 경순왕고려 태조에 항복하자, 경순왕의 막내아들은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이름을 범공이라 했는데, 이후 법수사와 해인사에 있었다.[9]
  • 동국여지승람》 : 사서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왕자가 있었는데, 그도 왕에게 항복하지 말 것을 극력 간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으매 처자를 버리고 형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
  • 증보문헌비고》 : 경주 김씨 편에 "경순왕의 별자(別子) 덕지(德摯)는 울산으로 분적하였다. 손자 운발(雲發)은 나주로 분적하였다."라고 하였다. 울산 김씨 편에 "시조 덕지(德摯)는 신라 경순왕의 별자(別子)이다."라고 하였다. 나주 김씨 편에 "시조는 운발(雲發)이다. 신라 경순왕의 계자는 역사에 그 이름이 실전되었고 신라가 멸망하자 머리를 깎고 범공(梵空)이라는 승명으로 해인사에서 살다 죽었다. 입산 전 운발(雲發)이라는 아들을 두었다."라고 하였다.
  • 《해인사지》 :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막내아들 김덕지가 중이 되어 법수사에 들어가 이곳 해인사에도 드나들면서 여생을 보냈다고 하였다.[10]

후세 평가[편집]

  •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마지막까지 절조를 지킨 그의 행동은 조선조에 들어와 유교적 대의 명분론에 비추어 재조명되고 칭찬받았다.
  • 《동사찬요》 : 왕자신라고려에 양국 하는 것에 반대하며 개골산에 들어간 것에 대해 "왕자의 의열은 중국 촉한 멸망 시 북지왕 유심(劉諶)과 더불어 일월의 빛을 다툴 만한데, 이름이 동방의 문헌에 매몰되어 전하지 않으니 애석하다"고 하였다.[11]
  • 동사강목》 : “그 왕자가 없었더라면 천년 군자의 나라가 마침내 남의 비웃음이 되었을 것이니 그 간책을 빛나게 한 것이, 어찌 한때 남면하여 임금 노릇한 영광과 비교되겠는가?” 하였다.[12]

야사[편집]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전설 : 경순왕의 장녀 덕주 공주(德周公主)는 나라가 망함을 슬퍼해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은거하러 가던 도중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부근에 정착하게 되었고 마애불이 있는 이곳에 절을 세웠으니 공주의 이름을 따 덕주사(德周寺)로 불리게 되었다. 덕주 공주가 아니라 경순왕의 별자 덕지라고도 하나 이름이 비슷해 와전된 듯하다.
  • 《김신대(金信臺)》 설화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에 전해져 오는 설화로, 신라 경순왕이 나라를 고려에 넘겨주자 경순왕의 둘째아들은 해인사에 들어가 범공이라는 승려가 된 뒤, 만년에 문수산 남쪽 자락 남암산에 들어와 암자를 짓고 살았는데 이 절의 이름이 '김신암'이다. 또 암자 근처에 ‘김신대라는 돈대를 만들어 망국의 한을 달랬는데 지금은 암자의 흔적과 왕자가 사용했다는 석조만 남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13][14]

주요 후손[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일설에 할머니라 한다.
  2. [1] Archived 2021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정복규의 성씨순례] 새전북신문 2013년 9월 24일
  3. 삼국사기》, 《신증동국여지승람》, 국사편찬위원회
  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덕지(金德摯
  5. 삼국유사》, 《증보문헌비고》, 《해인사지》, 국사편찬위원회
  6. [3] Archived 2020년 6월 30일 - 웨이백 머신 [대전 중구청 효월드] 울산김씨 시조 김덕지(金德摯
  7. [4] [정복규의 성씨순례] - 인촌과 울산김씨 익산신문 2010년 5월 31일
  8. [5] [장성 울산김씨 문정공 하서종가 / 필암서원] 남도일보 2020년 5월 21일
  9. 국사편찬위원회:[6] 《삼국유사》 권2 기이편
  10. [7] [相生의 땅 가야산] (34) - 나라 잃은 왕족들의 원한 매일신문 2008년 3월 3일
  11. 조선시대 문신 오운이 1606년에 저술한 역사서
  12. 조선후기 문신·실학자 안정복이 1756년~1778년 사이에 완성한 단군조선부터 고려 말까지를 다룬 통사적인 역사서
  13. [8] [울산의 설화] 6. 무거와 김신암 울산매일 2014년 10월 8일
  14. 1786년(정조 10) 제작된 울산읍지(蔚山邑誌)에 “문수암(文殊庵) 남쪽 3리에 김신암(金信庵)이라는 절이 있는데, 신라왕의 소창(消暢)이라 한다.”고 하였는바 그때까지 절이 실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