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 | ||||||||||||||||||||
![]() 긴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llocebus trichotis (Günther, 1875) | ||||||||||||||||||||
![]() 긴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의 분포 지역 |
긴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Allocebus trichotis)는 야행성의 여우원숭이로 마다가스카르 섬의 풍토 종이다. 긴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속(Allocebus)의 유일한 종이다. 이 종은 극심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남아 있는 개체 수가 100-1000여 마리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이 섬 북동부의 단일한 지역에 살고 있다.[2]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Andriaholinirina, N.; 외. (2014). “Allocebus trichot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4: e.T868A16111169. doi:10.2305/IUCN.UK.2014-1.RLTS.T868A16111169.en. 2018년 1월 5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영장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