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부리도요속
보이기
![]() | |
---|---|
![]() 긴부리도요 (Limnodromus scolopace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도요목 |
과: | 도요과 |
속: | 긴부리도요속 |
학명 | |
Limnodromus | |
Wied-Neuwied, 1833 | |
모식종 | |
Limnodromus griseus Gmelin, 1789 | |
[출처 필요] |
긴부리도요속(Limnodromus)은 도요과에 속하는 속으로 세 가지의 섭금류 종이 포함되어 있다. 긴부리도요속에 속하는 새들은 중간 정도의 크기에 긴 부리를 가지고 있다. 속의 학명은 고대 그리스어의 limne(습지)와 dromos(주자)에서 왔다.[1] 1830년대에 영어로 처음 기록되었다.[2]
Limosa 속과 신체, 부리 모양이 닮았으며 여름에 불그스름한 상체를 가진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긴부리도요속은 다리가 훨씬 짧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세 종 모두 강한 이동성을 보인다.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두 종은 구분하기 어려우며, 수년 간 하나의 종으로 분류되어 왔다. 아시아에 서식하는 큰부리도요는 드물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위 종은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227쪽. ISBN 978-1-4081-2501-4.
- ↑ 〈Dowitcher〉. 《옥스퍼드 영어사전》 온라인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구독 또는 참여 기관 회원가입 필요)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 가장 오래된 용례는 1841년에 등장하였으나, 전체 글을 읽어보면 1830년대 중반에도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외부 링크
[편집]Gilman, D. C.; Thurston, H. T.; Colby, F. M., 편집. (1905). 〈Dowitcher〉. 《신 국제 사전》 1판. New York: Dodd, M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