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의 반응성
보이기
금속의 반응성은 금속 원자가 산화되어 양이온이 되려는 성질이다. 금속의 반응성은 특정 금속의 산이나 물과의 반응성, 단순치환반응, 광석으로부터 제련하는 법 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금속의 반응성 순서를 보면 아연은 구리보다 반응성이 크다. 따라서 고체상태의 금속 아연을 황산구리(CuSO4) 수용액에 넣으면 아연과 구리가 치환되는 다음과 같은 단순치환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 Zn(s) + CuSO4(aq) -> Cu(s) + ZnSO4 (aq)
즉, 실험을 해보지 않아도 이론적으로 붉은색의 구리(Cu)가 석출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순서
[편집]다음은 금속의 반응성이 큰 순에서 작은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한 것이다.[1][2][3]
금속 | 이온 | 반응성 | 제련법 |
---|---|---|---|
K | K+ | 물과 반응함 | 전기 분해 |
Na | Na+ | ||
Li | Li+ | ||
Sr | Sr2+ | ||
Ca | Ca2+ | ||
Mg | Mg2+ | 산과 반응함 | |
Al | Al3+ | ||
(C) | |||
Zn | Zn2+ | 산과 반응함 | 코크스와 함께 용광로에서 녹임 |
Cr | Cr2+ | ||
Fe | Fe2+ | ||
Cd | Cd2+ | ||
Co | Co2+ | ||
Ni | Ni2+ | ||
Sn | Sn2+ | ||
Pb | Pb2+ | ||
(H2) | H+ | ||
Cu | Cu2+ | 산화력이 매우 강한 물질하고만 반응 |
열 또는 물리적 방법 |
Hg | Hg2+ | ||
Ag | Ag+ | ||
Pt | Pt2+ | ||
Au | Au3+ |
6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금속의 성질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 반응성 증가
-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쉽다.
- 부식되거나 변색되기 쉽다.
-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 환원성이 높아진다. (강한 환원제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olin France (2008), 《The Reactivity Series of Metals》
- ↑ J. G. R. Briggs (2005), 《Science in Focus, Chemistry for GCE 'O' Level》, Pearson Education, 172쪽
- ↑ Lim Eng Wah (2005), 《Longman Pocket Study Guide 'O' Level Science-Chemistry》, Pearson Education, 1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