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의 행정 구역
보이기
군포시의 행정 구역은 12개동, 327통, 2,243반으로 구성된다. 군포시의 인구는 2012년 3월말을 기준으로 104996세대, 287167명이다. 면적은 경기도의 0.36%에 해당하는 36.36km2이다.[1]
행정 구역
[편집]행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명) | 행정구역도 |
---|---|---|---|---|
군포1동 | 軍浦一洞 | 3.84 | 34,588 | |
군포2동 | 軍浦二洞 | 5.89 | 47,421 | |
산본1동 | 山本一洞 | 0.72 | 22,911 | |
산본2동 | 山本二洞 | 1.36 | 30,866 | |
수리동 | 修理洞 | 2.73 | 23,243 | |
궁내동 | 宮內洞 | 1.82 | 28,462 | |
광정동 | 光亭洞 | 1.89 | 29,286 | |
금정동 | 衿井洞 | 1.26 | 20,884 | |
재궁동 | 齋宮洞 | 0.87 | 26,205 | |
오금동 | 五禁洞 | 1.18 | 26,276 | |
대야동 | 大夜洞 | - | - | |
송부동 | 松富洞 | - | - |
행정동 | 법정동 | 설명 |
---|---|---|
군포1동(軍浦洞) | 당정동(堂井洞) | 1914년 봉성리를 병합하여 시흥군 남면 당정리가 되었다. 1979년 5월 1일 군포읍 당정리로 되었다.[2]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당정동이 되었다.[3] |
당동(堂洞) |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남면 당리(堂里)와 용호동(龍虎洞) 지역이었다. 1914년 시흥군 남면 당리로 바뀌었고, 1979년 5월 1일 군포읍 당리로 되었다.[2]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당동이 되었다.[3] 일부는 군포2동이 관할한다. | |
군포2동 | ||
부곡동(富谷洞) | 1914년 장간리 일부를 병합해 부곡리가 되었다. 1979년 5월 1일 군포읍 부곡리로 되었다.[2]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부곡동이 되었다.[3] | |
산본1동 | 산본동(山本洞) |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남면 지역이었다. 1914년 궁안·도장골·둔전·광정·골안을 병합하여 산본리라고 불렸다.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산본동이 되었다.[3] |
산본2동 | ||
수리동(修理洞) | ||
궁내동(宮內洞) | ||
광정동(光亭洞) | ||
오금동(五禁洞) | ||
금정동 | 금정동(衿井洞) |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남면 금정리와 괴곡리(槐谷里) 지역이었다. 1914년 시흥군 남면 금정리로 바뀌었고, 1979년 5월 1일 군포읍 금정리가 되었다.[2]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금정동으로 되었다.[3] |
재궁동(齋宮洞) | ||
오금동 | ||
대야동(大夜洞) | 대야미동(大夜味洞)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북방면 대야미리였다. 1895년 안산군에 편입된 뒤, 1914년 갈티·뒷뱅이를 병합해 대야미라 해서 수원군 반월면 관할이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하면서 화성군 반월면(半月面) 관할이 된 뒤, 1994년 12월 26일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이 되었다.[4] |
둔대동(屯垈洞)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북방면 둔대리였다. 1895년 안산군에 편입된 뒤, 1914년 수원군 관할이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하면서 화성군 관할이 된 뒤, 1994년 12월 26일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이 되었다.[4] | |
속달동(速達洞)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북방면 속달리였다. 1895년 안산군에 편입된 뒤, 1914년 수원군 관할이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화성군 반월면(半月面) 관할이 되었다가, 1994년 12월 26일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이 되었다.[4] | |
송부동(松富洞) | 대야미동(大夜味洞)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북방면 대야미리였다. 1895년 안산군에 편입된 뒤, 1914년 갈티·뒷뱅이를 병합해 대야미라 해서 수원군 반월면 관할이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하면서 화성군 반월면(半月面) 관할이 된 뒤, 1994년 12월 26일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이 되었다.[4] |
도마교동(渡馬橋洞)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북방면 도마교리였다. 1895년 안산군에 편입된 뒤, 1914년 송정(松亭)과 샛골을 병합해 도마교리라 하여 수원군 반월면(半月面) 관할이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하면서 화성군 반월면 관할이 된 뒤, 1994년 12월 26일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이 되었다.[4] | |
부곡동(富谷洞) | 1914년 장간리 일부를 병합해 부곡리가 되었다. 1979년 5월 1일 군포읍 부곡리로 되었다.[2] 1989년 1월 1일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되면서 부곡동이 되었다.[3] |
역사
[편집]- 6행정동 - 군포1동, 군포2동, 당정동, 산본1동, 산본2동, 금정동
법률 제4050호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시흥군 군포읍 당리, 당정리, 부곡리, 산본리, 금정리 군포시 당동, 당정동, 부곡동, 산본동, 금정동
- 1992년 5월 1일 금정동을 금정동과 재궁동으로 분동하였다.[6] (7행정동)
- 1993년 1월 14일 재궁동을 재궁동과 오금동으로 분동하였다.[7] (8행정동)
- 1993년 6월 8일 산본2동을 산본2동과 수리동으로 분동하였다.[8] (9행정동)
- 1994년 7월 19일 산본2동을 산본2동과 궁내동으로 분동하였다.[9] (10행정동)
- 1994년 12월 26일 화성군 반월면 일부를 군포시로 편입하였다.[4] 행정동 대야동을 설치하였다.[10] (11행정동 9법정동)
대통령령 14434호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 대야미리, 속달리, 도마교리 군포시 대야동 둔대동, 대야미동, 속달동, 도마교동
- 1995년 2월 28일 산본2동을 산본2동과 광정동으로 분동하였다.[11] (12행정동)
- 1998년 10월 1일 군포1동과 당정동을 군포1동으로 합동하였다.[12] (11행정동)
- 2015년 4월 1일 : 군포1동, 군포2동, 대야동을 관할로 책임읍면동제를 도입하여, 군포1동 주민센터에 종래 본청(시청)에서만 처리하던 민원업무를 처리하는 군포1·2·대야 행정센터가 설치되었다.
- 2021년 7월 1일 : 송부동이 대야동, 군포2동에서 분동하였다. (12행정동)
각주
[편집]- ↑ 군포시의 월별인구현황 Archived 2014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4일 확인
- ↑ 가 나 다 라 마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대통령령 14434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4년 12월 22일) 제5조 제3항
- ↑ 군포시 조례 제23호 (1989년 1월 1일)
- ↑ 군포시 조례 제281호 (1992년 4월 28일)
- ↑ 군포시 조례 제298호 (1993년 1월 14일)
- ↑ 군포시 조례 제308호 (1993년 6월 8일)
- ↑ 군포시 조례 제347호 (1994년 7월 19일)
- ↑ 군포시 조례 제364호 (1994년 12월 29일)
- ↑ 군포시 조례 제381호 (1995년 2월 28일)
- ↑ 군포시 조례 제520호 (1998년 10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