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의 음역자와 구결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자의 음역자에서 넘어옴)

다음은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한자 중, 음역자와 구결자들의 목록이다.

유니코드에 없는 한자는 파자하여 나타내었다. /는 같은 글자이나 음이 다른 것을 나타낸다.

음역자[편집]

한자 음 및 음역자 외의 의미[1] 강희자전 부수와
각 부수별 획수
총획수 유니코드 번호 유사하지만 다른 글자
각/덕 力부(部) 4획 6획 3516 叱叱叱叱叱
갈, 까치 乙부 5획 6획 3413 乫 㠰
갈, 땅이름 乙부 5획 6획 4E6B 㐓 㠰
갈/덜 己부 5획 8획 3830 㐓 乫
口부 7획 10획 3599
강/덩 力부 4획 6획 3514
⿱介乙 乙부 4획 5획 (없음)
口부 6획 9획 358B
갯(동자) 口부 6획 9획 358E
걱/꺽, 사람이름 工부 3획(4획) 6획(7획) 5DEA
걸, 걸다 乙부 5획 6획 4E6C
乙부 19획 20획 3426
것, 땅이름 口부 7획 10획 551F
⿱古乙 乙부 5획 6획 (없음) 㐔 㐣
乙부 5획 6획 3414 ⿱古乙 㐣
乙부 10획 11획 3423 㐔 㐣
高부 10획 14획 4BE9 𰅶
𰅶 9획 30176
艹부 9획 13획(12획) 848A 廤 㖛
广부 12획 15획 5EE4 蒊 㖛
口부 7획 10획 359B 蒊 廤
곳(약자) 口부 7획 10획 359C
乙부 2획 3획 3407 㐝 ⿱句乙
乙부 8획 9획 341D 㐇 ⿱句乙
⿱句乙 乙부 5획 6획 (없음) 㐇 㐝
굿 口부 6획 9획 358C
글, 乙부 4획 또는
文부 1획
5획 340E
乙부 8획 9획 341E
乙부 8획 9획 341F
359D
乙부 5획 6획 3410
乙부 6획 7획 3417
놈, 耂부 5획 9획 3588
늦, 늦다 艹부 7획 11획(10획) 83BB
⿱月乙 달/월, 乙부 4획 또는
月부 1획
5획 (없음)
⿱代乙 乙부 5획 6획 (없음)
⿱付乙 댈(속자) 乙부 5획 6획 (없음)
돌, , 사람이름 乙부 5획 또는
石부 1획
6획 4E6D
3411
口부 15획 18획 360F
둑, 斗부 1획 5획 3AB2
豆부 1획 8획 4733
乙부 4획 5획 4E67 㐙 㐈
乙부 7획 8획 3419 乧 㐈
乙부 2획 3획 3408 㐙 乧
口부 6획 9획 358D
斗부 1획 5획 3AB3
똥, 35B0
똥(약자), 35AF
뜰, 뜨다 3422 ⿱叱乙
⿱叱乙 乙부 5획 6획 (없음)
𪜑 乙부 5획 6획 2A711 ⿱馬乙
⿱馬乙 乙부 10획 11획 (없음) 𪜑
乙부 4획 또는
木부 1획
5획 6730 𰀴
𰀴 乙부 4획 또는
毛부 1획
5획 30034
묠, 봉호, 땅이름 乙부 5획 6획 4E6E
⿱未乙 乙부 5획 6획 (없음)
뱀/얌 35B1
볼/폴, 땅이름 4E76
⿱夫乙 (없음) ⿱火乙 𰀲
⿱火乙 불/활, (없음) ⿱夫乙 𰀲 𰀹
𰀲 30032 ⿱夫乙 ⿱火乙
359A
비롯 35E0
[2] 54DB
[2] 뿐, 뿐 517A
⿱角乙 (없음)
삽, 삽살개 48C9
살, 충주[3] 4E77
340A
4E74 㐥, 𰀽
3425 乴, 𰀽
𰀽 乙부 6획 또는
襾부 1획
3003D 乴, 㐥
솔, , 땅이름 4E7A ⿱松乙·㐒·⿱小乙·⿱少乙
⿱松乙 솔, 소나무 (없음) 乺·㐒·⿱小乙·⿱少乙
솔/졸 乙부 5획 6획 3412 乺·⿱松乙·⿱小乙·⿱少乙, 㐍
⿱小乙 乙부 3획 또는
小부 1획
4획 (없음) 乺·⿱松乙·㐒·⿱少乙
⿱少乙 乙부 4획 또는
小부 2획
5획 (없음) 乺·⿱松乙·㐒·⿱小乙
357E
쌀, 3418
씻, 씻다 3612
3AC7
4E7B
엇, 시조이름 65D5 ⿱菸叱
⿱菸叱 艹부 13획 16획(17획) (없음)
35B3
35B2
340F 乯 㐚
4E6F 㐏 㐚
341A 㐏 乯
591E
341B 𠃗 ⿱右乙
𠃗 200D7 㐛 ⿱右乙
⿱右乙 乙부 5획 6획 (없음) 𠃗
3415
3420
35E1
439E
잘, 봉호, 땅이름 4E7D
35EF
3409
졸/뜰(약자), 뜨다 340D
줄, 4E7C
35DF
55ED
4E72
340B ⿱吐乙
⿱吐乙 (없음)
5DFC
⿱坪乙 (없음)
55B8
4E64
⿱呼乙 (없음)
𰀹 乙부 5획 또는
禾부 1획
6획 30039 ⿱火乙
𬼝 (음을 알 수 없음) 乙부 5획 6획 2CF1D

생성 원리[편집]

발음이 초성으로 올 때[편집]

  • ㄸ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예: 㖰 똥
  • ㅃ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예: 哛 뿐
  • ㅆ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예: 㘒 씻

발음이 종성으로 올 때[편집]

  • ㄱ 받침은 ㄱ 그대로 쓴다. 예: 㔖 각
  • ㄴ 받침은 ㄴ 그대로 쓴다. 예: 䜳 둔
  • ㄹ 받침은 乙이나 己(원래는 ㄹ으로 대치해야 하지만, 己가 ㄹ을 닮았으므로 대치해서 쓴다.)로 대치해서 쓴다. 예: 㐓 갈
  • ㅁ 받침은 ㅁ 그대로 쓴다. 예: 㖈 놈
  • ㅂ 받침은 邑이나 巴로 대치해서 쓴다. 예: 䯩 곱
  • ㅅ, ㅈ 받침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예: 㖙 갓, 莻 늦
  • ㅇ 받침은 ㅇ 그대로 쓴다. 예: 㪳 둥

구결자[편집]

한자 구결자 외의 의미[1] 강희자전 부수와
각 부수별 획수
총획수 유니코드 번호 병음
나/라 人부(部) 1획 3획 4EBD ji
란(난)/역 亠부 5획 7획 4EAA
爫부 10획 14획 7233
厶부 3획 5획 53BC
弓부 5획 8획 38B1
一부 1획 2획 4E06 han
산, 땅이름 斗부 9획 13획 5381
士부 2획 5획 58ED
乙부 0획 1획 4E5B yi
𠃌 야(본자) 乙부 0획 1획 200CC
人부 2획 4획 4ED2 bing
丶부 1획 2획 4E37 ba
八부 2획 4획 516F jie
丿부 2획 3획 4E4A yi
乙부 3획 4획 4E65

각주[편집]

  1. 叱이 위로 간 것은 보통 음역자이고, 叱이 아래로 간 것(兺)은 이두에서 쓰인 '-뿐'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다.
  2. 원래의 뜻은 없으나 살미면만 사용하는 한자이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