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면 삼각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면삼각법에서 넘어옴)

구면 삼각형

수학에서 구면 삼각형(球面三角形, 영어: spherical triangle)은 위의 세 대원호에 둘러싸인 구면 위 도형이다. 유클리드 기하학평면 삼각형구면 기하학 버전이다. 구면 삼각형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를 구면 삼각법(球面三角法, 영어: spherical trigonometry)이라고 한다.

정의[편집]

원점을 중심으로 하며, 1을 반지름으로 하는 (2차원) 볼록 구면 다각형(-球面多角形, 영어: convex spherical polygon)은 다음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이다.[1]

  • 반구 의 유한 교집합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즉, 내부점을 가진다.
  • . 즉, 대척점쌍을 포함하지 않는다.

각 반구 에 대응하는 반공간 들의 교집합 볼록추를 이루는데, 이 의 모서리와 의 교점을 꼭짓점(-點, 영어: vertex)이라고 하며, 의 면과 의 교선을 (邊, 영어: edge)이라고 한다. 꼭짓점의 수가 3일 경우 (볼록) 구면 삼각형((-)球面三角形, 영어: (convex) spherical triangle)이라고 한다.

성질[편집]

위의 세 점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다.

  • 는 구면 삼각형을 이룬다.
  • -선형 독립이다.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편집]

구면 삼각형 의 변의 길이 는 두 꼭짓점 사이에 놓인 대원호의 길이로 정의되며, 이는 그 두 꼭짓점을 지나는 반지름 사이의 각도와 같다.

구면 삼각형 의 각의 크기 는 한 꼭짓점에서 남은 두 꼭짓점을 향하는 두 접선 사이의 각도로 정의되며, 이는 그 한 꼭짓점을 지나는 두 변과 원점이 결정하는 두 평면 사이의 이면각과 같다.

극삼각형[편집]

구 위의 (대원이 아닐 수 있는) 원의 (極, 영어: pole)은 그 원이 놓인 평면과 수직인 지름의 두 끝점이다.

구면 삼각형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의 대원의 두 극 가운데 와 같은 쪽에 있는 하나이며, 의 대원의 두 극 가운데 와 같은 쪽에 놓인 하나이며, 의 대원의 두 극 가운데 와 같은 쪽에 있는 하나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구면 삼각형을 이루며, 이를 극삼각형(極三角形, 영어: polar triangle)이라고 한다. 즉, 이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이다.

극삼각형의 극삼각형은 자기 자신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구면 삼각형 의 극삼각형이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각각 변 의 극이므로, 는 모두 4분원호다. 따라서, 는 변 의 극이다. 또한, 의 같은 쪽에 있으므로, 는 4분원호보다 작으며, 따라서 의 같은 쪽에 있다. 이로써 원하는 명제를 얻는다.

구면 삼각형 의 극삼각형 의 변 및 각 은 원래의 삼각형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의 교점을 , 의 교점을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각 는 대원호 와 같다. 또한, 는 모두 4분원호이므로, 는 반원호와 같다. 이로써 원하는 명제를 얻는다.

사인 법칙과 코사인 법칙[편집]

구면 삼각형에 대한 사인 법칙은 다음과 같다.

구면 삼각형 에 대한 제1 코사인 법칙은 다음과 같다.

구면 삼각형 에 대한 제2 코사인 법칙은 극삼각형에 제1 법칙을 적용한 결과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항등식은 코사인 법칙 및 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기타 항등식[편집]

반각과 반변[편집]

구면 삼각형의 반각 및 반변의 삼각 함수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이다.

이에 따라 구면 삼각형의 각과 변의 삼각 함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네이피어 동류식[편집]

다음과 같은 4개의 항등식을 네이피어 동류식(-同類式, 영어: Napier's analogies)이라고 한다.

들랑브르 동류식[편집]

다음과 같은 4개의 항등식을 들랑브르 동류식(-同類式, 영어: Delambre's analogies) 또는 가우스 정리(-定理, 영어: Gauss's theorems)이라고 한다.

넓이와 구과량[편집]

구면 다각형 구과량(球過量, 영어: spherical excess) 또는 구면 과잉(球面過剩)은 다음과 같다.

특히, 구면 삼각형 의 구과량은 다음과 같다.

구면 다각형 의 넓이는 그 구과량과 같다.

특히, 구면 삼각형 의 넓이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따라 구면 삼각형의 내각합은 항상 180도보다 크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구면 다각형은 여러 개의 구면 삼각형으로 쪼갤 수 있으므로, 구면 삼각형에 대하여 증명하는 것을 족하다. 변이 놓인 대원호를 경계로 하며 를 한 점으로 포함하는 반구를 생각하자. 이는 네 가지 구역으로 나뉘는데, 첫째는 구면 삼각형 , 둘째는 각 만큼 벌어진 구면 이각형에서 구면 삼각형 를 제외한 부분, 셋째는 각 만큼 벌어진 구면 이각형에서 구면 삼각형 를 제외한 부분, 마지막 넷째는 각 만큼 벌어진 구면 이각형에서 대척점 이 이루는 구면 삼각형을 제외한 부분이다. 구의 넓이가 이며, 구면 이각형의 넓이는 벌어진 각에 비례하며, 구면 삼각형 의 넓이가 와 같다는 사실에 주의하면, 반구의 넓이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증명하려던 공식을 얻는다.

다음 항등식은 시몽 륄리에가 제시하였다.

여기서 이다.

응용[편집]

구면 삼각법은 천문학, 측지학항법에서 계산에 매우 중요하다.

역사[편집]

그리스 수학에서 구면 삼각법의 기원과 이슬람 수학의 주요 발전은 중세 이슬람의 삼각법과 수학의 역사에서 논의된바있다. 이 주제는 존 네이피어(John Napier) , 장 밥티스트 조제프 델람브레(Delambre) 및 다른 사람들의 중요한 발전으로 초기 근대에 실현되었으며 19세기 말 토드헌터(Todhunter)가 저술한 전문서적인 대학 및 학생을 위한 구면 삼각법의 출판으로 본질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었다.[2] 이 책은 현재 웹에서 쉽게 퍼블릭 도메인구텐베르크 프로젝트로부터 사용할 수 있다. 그 이후로 중요한 발달로는 정리의 도출과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기위한 컴퓨터의 사용을 위한 벡터 방법의 적용이 있어왔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erger, Marcel (1987). 《Geometry II》. Universitext (영어). 번역 Cole, Michael; Levy, Silvio. Berlin, Heidelberg: Springer. doi:10.1007/978-3-540-93816-3. ISBN 978-3-540-17015-0. ISSN 0172-5939. 
  2. Todhunter, I. (1886). 《Spherical Trigonometry: For the use of colleges and schools》 (영어) 5판. London: Macmillan and Co.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