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퍼블릭 데이터 익스플로러
보이기
![]() | |
![]() 애니메이션화된 버블 플롯의 예시.[1] | |
개발자 | 구글 |
---|---|
발표일 | 2010년 3월 8일 |
플랫폼 | 웹 플랫폼 |
언어 | 40개 언어 |
종류 | 협업 소프트웨어, 데이터 시각화 |
웹사이트 | www |
구글 퍼블릭 데이터 익스플로러(Google Public Data Explorer)는 세계은행, OECD, 유로스탯, 덴버 대학교 등 다양한 국제 단체와 학술 기관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개 데이터와 예측을 제공한다.[2][3] 선 그래프, 바 그래프, 단면 교차 플롯으로 표출하거나 지도 위에 표출할 수 있다.[4] 이 제품은 2010년 3월 8일 구글 랩스의 실험적인 시각화 도구로서 시작하였다.[5]
2011년, 퍼블릭 데이터 익스플로러는 누구든지 데이터 집합을 업로드, 공유, 시각화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글은 DSPL(Dataset Publishing Language)이라는 새로운 데이터 포맷을 만들었다. 데이터를 가져오면 데이터셋은 시각화하여 외부 웹사이트에 임베디드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구글 문서도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6]
각주
[편집]- ↑ Edwards, Kerstin. “Visualizing Data from Government Census and Surveys: Plans for the Future” (PDF). U.S. Census Bureau. 2015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Pardee Center for International Futures Data Explorer”. University of Denver. 2015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Data Providers”.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Visualize the data in a dataset”. Google Inc.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Statistics for a changing world: Google Public Data Explorer in Labs”. 2015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Sherman, Chris. “Visualize Your Own Information With Google Public Data Explorer”. Search Engine Land.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