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
기독교 |
---|
교부(敎父)는 2세기 이후부터 기독교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이들을 일컫는다. 교부라는 호칭은 후대에 붙인 경칭이며,[1] 이들에 관련된 신학을 기독교에선 교부학, 교부신학이라고 부른다. 종교철학에서는 교부철학으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다. 교부는 2세기에서 8세기에 걸쳐 기독교의 이론을 확립하고 또한 이단과의 열띤 논쟁을 벌여 사도전승을 바탕으로 한 보편교회 신학과 교리를 수호하는 데 앞장섰다.
교부의 자격과 구분[편집]
신학을 연구하였다고 하여서 아무나 교부로 받들어지지 않는다. 교부로 인정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몇몇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 전래의 교회에(antiquitas ecclesiae) 관하여 저술을 써서 인용되는 자.
- 정통교리를(doctrina orthodoxa) 세운 자.
- 성스런 삶을(sanctitas vitae) 꾸린 자.
- 교회로부터 인정을 받은(approbatio ecclesiae) 자.
교부는 그들이 활동한 시대에 따라 크게 세 무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활동한 혹은 출생한 지역에 따라 무슨 무슨 교부라고 부르기도 한다.
2세기의 교부[편집]
- 로마 교구의 클레멘스 : 일부 교회사학자들은 로마교구의 클레멘스 주교를 신약성서의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빌립보서)의 클레멘스로 보기도 한다.[2]
- 폴리캅 : 사도 요한의 제자로 알려진 교부. 순교자.
- 이그나티우스: 2세기에 활동한 동방교회 교부. 이냐시오라고도 한다. 교회역사 최초로 보편교회(Catholic Church)라는 말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교자.[3]
- 이레니우스: 프랑스 리용의 주교. 순교자.
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교부[편집]
알렉산드리아의 교부[편집]
- 오리게네스(오리겐 Origen)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예루살렘의 키릴루스(키릴)
- 디뒤무스 알렉산드리아누스
북아프리카의 교부[편집]
- 키프리아누스(키프리안, Cyprian) : 북아프리카 히포교회 주교. 순교자."부(富)는 그리스도에 대한 충성을 방해한다."는 설교로 재물의 위험성을 경고함.
- 테르툴리아누스(터툴리안)
로마교구의 교부[편집]
- 유스티누스 플라비우스
- 타티아누스
- 히에로니무스(가톨릭 : 성 예로니모)(개신교 : 제롬)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교부[편집]
그리스 교부[편집]
- 아타나시오스(아타나시오)
- 요한네스 크뤼소스토모스(크리소스톰)
- 디오뉘시오스 아레오파기타
- 시네시우스
- 네메시우스
- 그레고리오스 나지안조스
- 그레고리오스 니사
- 에우세비오스
- 에프라임 시리아
라틴 교부[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