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보이기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 |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위치한 광주광역시청사 | |
약칭 | 광주상수도사업본부 |
---|---|
설립일 | 1990년 |
전신 | 광주직할시 상하도국 |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
상급기관 | 광주광역시청 |
산하기관 | 2 정수사업소, 5 지역사업소, 시설관리소, 수질연구소 |
웹사이트 | http://water.gwangju.go.kr/index.do |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光州廣域市 上水道事業本部)는 광주광역시의 수돗물의 안정적 공급과 급수서비스의 향상을 기하고 상수도사업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청 산하에 설치된 사업소이다.[1]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2]
연혁
[편집]- 1954년 8월: 광주시 건설과 수도계 설치
- 1963년 2월: 광주시 수도과로 승격
- 1969년 9월: 광주시 수도국으로 승격
- 1986년 11월: 광주직할시 수도국으로 승격
- 1987년 4월: 광주직할시 상하수국으로 변경
- 1990년 2월: 광주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로 변경
- 1995년 1월: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로 변경
조직
[편집]- 본부장
- 경영부
- 기술부
산하기관
[편집]수질연구소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수질연구소장은 지방보건연구관이나 지방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2]
명칭 | 사진 | 주소 | 관할구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서구 상무대로 1131 | 광주광역시 전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남구 덕남1길 27 | 광주광역시 전역, 수원지 전역 |
정수사업소
[편집]용연정수사업소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덕남정수사업소장은 지방공업사무관이나 지방환경사무관으로 보한다.[2]
명칭 | 사진 | 주소 | 관할구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용연정수사업소 | 동구 선교로 84-10 | 동복·제2·제4수원지, 동복취수장, 용연·지원·각화정수장, 각화·각화2배수지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덕남정수사업소 | 남구 덕남1길 27 | 덕남·남면·송정정수장, 송정·황룡취수장, 송하·소촌·봉산배수지 |
지역사업소
[편집]지역사업소장은 지방행정사무관이나 지방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2]
명칭 | 사진 | 주소 | 관할구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동부사무소 | 동구 양림로 105-6 | 광주광역시 동구 전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서부사업소 | 서구 화정로 149 | 광주광역시 서구 전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남부사업소 | 남구 봉선로 13 | 광주광역시 남구 전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북부사업소 | 북구 용봉로 111 | 광주광역시 북구 전역 | |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광산사업소 | 광산구 우산로 81 |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역 |
각주
[편집]- ↑ “광주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1월 1일. 2016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광주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1월 24일. 2016년 12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광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대한민국의 행정기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