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옹주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1월) |
고성옹주
| |
---|---|
군주, 옹주 |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왕조 | 조선 왕조 |
부친 | 정종 |
모친 | 미상 |
배우자 | 지중추 김한(知中樞 金澣) |
자녀 | 3남 3녀 김사공(金士恭), 김사온(金士溫), 김사양(金士讓), 민혜(閔憓)의 처, 이수증(李秀增)의 처, 하징(河澄)의 처 |
고성옹주(高城翁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 제2대 정종(定宗, 1357~1419, 재위: 1398~1400)의 서4녀이며, 어머니는 미상이다. 김한(金澣)과 혼인[1] 하여 3남 3녀를 얻었다.
별칭[편집]
- 고성군주(高城郡主)
- 고성옹주(高城翁主)
가족 관계[편집]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부 : 제1대 태조대왕(太祖大王, 1335~1408, 재위: 1392~1398)
- 조모 : 신의왕후 안변 한씨(神懿王后 安邊 韓氏, 1337~1391)
- 아버지 : 제2대 정종대왕(定宗大王, 1357~1419, 재위: 1398~1400)
- 어머니 : 미상
시가 안산 김씨(安山 金氏)
- 시아버지 : 연성군 위정공 김정경(蓮城君 威靖公 金定卿, 1345~1419)
- 시어머니 : 판서 신익지(判書 申翼之)의 딸
- 시어머니 : 신양군 노영(新陽君 盧瑛)의 딸 교하 노씨(交河 盧氏)
- 친시어머니 : 남평군 왕화(南平君 王和)의 딸 개성 왕씨(開城 王氏)[2]
각주[편집]
- ↑ 《성종실록》224권, 20년(1489 기유 / 명 홍치(弘治) 2년) 1월 21일(경진) 1번째기사
- ↑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 김정경
- ↑ 《성종실록》184권, 16년(1485 을사 / 명 성화(成化) 21년) 10월 15일(임진) 6번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