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그네슘혈증
![]() | |
---|---|
![]() | |
마그네슘 | |
진료과 | 내분비학, disorder of magnesium metabolism ![]() |
고마그네슘혈증(高-血症, Hypermagnesemia)은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높은 전해질 이상이다.[1] 1.1 mmol/L 이상일 경우에 진단된다.[2] 증상에는 약화, 혼란, 저호흡, 심정지를 포함한다.[2]
증상[편집]
비정상 심박 및 무수축은 심장과 관련된 고마그네슘혈증의 잠재적인 합병증이다. 마그네슘은 생리학적 칼슘 차단제의 역할을 하여 심장의 전기 전도 이상을 유발한다.
병인[편집]
마그네슘 상태는 위장관, 뼈 , 콩팥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고마그네슘혈증은 종종 이 세 장기의 문제에 기인하며 대부분이 위장관과 콩팥 때문에 발생한다.[3]
소인적 조건[편집]
- 용혈 반응
- 신장 부전증(Kidney insufficiency)
- 기타 중등도 고마그네슘혈증에 대한 소인적 조건으로는 당뇨병케톤산증, 부신기능부전, 갑상선기능저하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리튬 음주가 있다.
신진대사[편집]
마그네슘 항상성과 신진대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저마그네슘혈증을 참고할 것.
치료[편집]
고마그네슘혈증의 예방은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중등도의 경우 마그네슘 공급을 철회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 심각한 정도의 경우 다음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고마그네슘혈증의 확고적인 치료법은 다음을 통해 신장 마그네슘 배출의 증가를 필요로 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hypermagnesemia" - 돌란드 의학사전
- ↑ 가 나 Soar, J; Perkins, GD; Abbas, G; Alfonzo, A; Barelli, A; Bierens, JJ; Brugger, H; Deakin, CD; Dunning, J; Georgiou, M; Handley, AJ; Lockey, DJ; Paal, P; Sandroni, C; Thies, KC; Zideman, DA; Nolan, JP (October 2010).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8. Cardiac arrest in special circumstances: Electrolyte abnormalities, poisoning, drowning, accidental hypothermia, hyperthermia, asthma, anaphylaxis, cardiac surgery, trauma, pregnancy, electrocution.”. 《Resuscitation》 81 (10): 1400–33. doi:10.1016/j.resuscitation.2010.08.015. PMID 20956045.
- ↑ Jahnen-Dechent W, Ketteler M (2012). “Magnesium basics” (PDF). 《Clin Kidney J》 5 (Suppl 1): i3–i14. doi:10.1093/ndtplus/sfr163.
외부 링크[편집]
- (영어) BJMU: Causes and treatment of hypermagnesemia
- (영어) Magnesium – a versatile and often overlooked element: new perspectives with a focus on chronic kidney disease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