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이형성증
![]() | |
---|---|
노년의 왼쪽 고관절 이형성. 검은색으로 채워진 화살표는 관골구이며, 채워지지 않은 화살표는 대퇴골두이다. | |
진료과 | 정형외과 ![]() |
고관절 이형성증(股關節異形性症, hip dysplasia)은 고관절의 선천성, 발달성 형성 이상증이다. 노년 보다 어린이에게는 증상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1]
유아의 경우 이 질병 진단을 위해 신체검사를 거치는 것이 권장된다.[1] 고관절 치환의 약 7.5%가 고관절 이형성에서 비롯된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수행된다.[1]
증상[편집]
고관절 이형성증은 증상이 거의 없는 것에서 심각한 이형성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 선천적 형태인 기형이나 축소되지 않는 탈구는 더 복잡한 질병의 일부로서 발생한다.
질병은 양쪽 모두에 발생할 수 있고 한 쪽에만 발생할 수도 있다.
병인[편집]
고관절 이형성증은 다인성 질병으로 간주된다. 즉, 여러 요소가 동반되어 질병을 일으킨다는 의미이다.[2] 이에 대한 구체적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거대아나 둔위에 위치한 태아에게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천성[편집]
일부 연구에 따르면 호르몬적 연결을 주장한다.[3] 즉, 호르몬 릴렉신으로 지적된다.[4]
후천성[편집]
후천성 질병일 경우 유아의 강보(swaddling)[5], 또는 아기의 자리나 이동에 과도하게 제한을 받는 것[6] 등과 종종 관련된다.
각주[편집]
- ↑ 가 나 다 Shaw, BA; Segal, LS; SECTION ON, ORTHOPAEDICS. (December 2016). “Evaluation and Referral for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in Infants.”. 《Pediatrics》 138 (6). PMID 27940740.
- ↑ Lynn T Staheli, Fundamentals of Pediatric Orthopedics, p 13
-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Subcommittee on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105 (4): 896 - AAP Policy”. 2005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 ↑ Forst J, Forst C, Forst R, Heller KD (1997). “Pathogenetic relevance of the pregnancy hormone relaxin to inborn hip instability”. 《Arch Orthop Trauma Surg》 116 (4): 209–12. doi:10.1007/BF00393711. PMID 9128773.
- ↑ Mahan ST, Kasser JR (2008). “Does swaddling influence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Pediatrics》 121 (1): 177–8. doi:10.1542/peds.2007-1618. PMID 18166571.
- ↑ “Baby Carriers, Seats, & Other Equipment - International Hip Dysplasia Institute”. 2020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 개 고관절 이형성증 - 개와 관련된 고관절 이형성증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