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
(Rock-carved Buddhas at Chilburam Hermitage in Namsan Mountain, Gyeong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2014년 2월
종목국보 제312호
(2009년 9월 2일 지정)
수량7구
시대남북국 시대
위치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남산동 산36-4
좌표북위 35° 46′ 17″ 동경 129° 14′ 08″ / 북위 35.77139° 동경 129.23556°  / 35.77139; 129.23556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
(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해지)
종목보물 제200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2009년 9월 2일 해지)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칠불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상군이다. 2009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1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암벽에 삼존불상이 있고 그 앞 바위에 사방불이 있다. 삼존불은 모두 당당한 체구와 높은 조각법을 보이고 있어 석굴암과 비슷한 시기인 8세기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1] 칠불암 마애불상군은 경주 남산에 있는 수많은 불상 중에서 대표적인 마애불상군이다. 넓은 면의 암벽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본존과 입상의 두 협시보살상을 높은 부조로 표현하였고, 그 앞쪽 사면석주의 각 면에는 비슷한 크기의 불좌상을 부조하여 모두 일곱 구(軀)로 구성되어 있다.[2]

삼존불상[편집]

삼존불은 본존불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협시보살을 두었다. 높이 5미터, 너비 8미터쯤 되는 바위의 동쪽 면에 고부조로 새겨져 있다. 본존불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좌상이며 양쪽 협시보살은 본존을 향해 서 있다.[3] 본존불은 수인이 항마촉지인인데 8세기 들어 유행하는 항마촉지인의 초기적 양식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이다.[4]

협시 보살상의 감각적인 착의형식과 자연스러운 삼굴(三屈) 자세는 8세기 초에 국제적으로 유행하던 양식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삼존상은 절제된 얼굴표정, 적합한 신체 비례와 탄력 넘치는 양감, 그리고 유려한 선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의 웅장하고 아름다운 조각 기술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종교적인 숭고미를 유감없이 보여준다.[2]

사방불[편집]

네모진 기둥 모양의 돌 네 면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는데 모두 연꽃 대좌 위에 보주 모양 두광을 갖추고 가부좌를 튼 좌상이다.[5] 이 형상은 각 방위를 주재하고 있는데, 이곳의 사방불은 이후 전개될 석탑 사방불의 조형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큰 조각사적 의의가 있다.[2]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황수영 (1973년 11월 25일). 《한국미술전집 5 불상》. 동화출판공사. 147쪽. 
  2. 문화재청고시제2009-70호,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및 명칭변경 ,문화재청장, 2009-09-02
  3. 박성상 (2004년 10월 30일). 《한국 고대 마애불상》. 학연문화사. 93~97쪽. ISBN 89-5508-057-3. 
  4. 김리나 (1989년 1월 15일). 《한국고대불교조각사연구》. 일조각. 174~180쪽. 
  5. 진홍섭 (1996년 6월 30일 9쇄). 《한국의 불상》. 일지사. 279~280쪽. ISBN 89-312-0002-1.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