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원선 통근 열차에서 넘어옴)

경원본선
경원선의 위치
백마고지역으로 옮겨세워진 경원선 철도중단점비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용산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백마고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역 수41 (마전신호장 포함)
노선 번호305
개통일1911년 10월 15일(용산~의정부)
1912년 7월 25일(의정부~연천)
1912년 10월 21일(연천~철원)
1913년 7월 10일(철원~복계)
1913년 8월 21일(복계~검불랑)
1913년 10월 21일(고산~룡지원)
1914년 6월 21일(검볼랑~세포)
1914년 8월 16일(세포~고산)
2012년 11월 20일(신탄리~백마고지)
폐지일1950년 6월 24일(신탄리~원산)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1]
차량 기지이문차량사업소
사용 차량KTX-이음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94.3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 수2(용산 ~ 동두천)
1(동두천 ~ 백마고지)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복선 구간용산 ~ 동두천
신호 구간전 구간
신호 방식ATS(연천~청량리/청량리~용산)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경원선 (용산-백마고지)
0.0
용산 한국고속철도 경의·중앙선
1.9
이촌
3.6
서빙고
5.5
한남
7.1
옥수
8.9
응봉
10.3
왕십리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성수지선
12.7
청량리 한국고속철도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14.1
회기 경의·중앙선 경춘선
중앙선(망우역 방면)
14.9
외대앞
망우선(망우역 방면)
15.7
신이문
경춘선(성동역 방면)
우이천
17.1
석계
18.2
광운대 경춘선
19.3
월계
20.7
녹천
21.7
창동
23.4
방학
24.7
도봉
25.9
도봉산
28.2
망월사
29.6
회룡 의정부 경전철
31.2
의정부
32.4
가능
33.7
녹양
35.3
양주
37.5
마전신호장
40.9
덕계
43.5
덕정
49.1
지행
50.1
동두천중앙
51.5
보산
동두천천
53.1
동두천
55.5
소요산
61.3
청산
62.7
한탄강
64.6
전곡
73.3
연천
77.3
신망리
84.3
대광리
88.7
신탄리
94.3
백마고지
98.0
철원
103.0
월정리
113.0
가곡
국철

경원선(京元線)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한때 원산역까지 이어져 있었으나 한반도 분단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노선의 휴전선 이북 구간을 함경선과 합하여 강원선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관할하는 경원선은 대한민국 내의 구간인 용산 ~ 백마고지까지이다.

현재 용산역에서 회기역까지는 강릉선 고속열차ITX-청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하고, 왕십리역에서 청량리역까지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운행하며, 회기역에서 연천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고 있다. 연천역 이북 구간은 현재 영업운전을 하고 있지 않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또한 전 구간이 평화생명관광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이었으나 복선 전철화 공사와 더불어 아프리카돼지열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그리고 열차 노후화 등으로 인해 2023년 12월 28일에 운행을 종료했다.

연혁[편집]

경원선 검불랑 철도제방 공사 현장

일제강점기 시절[편집]

해방이후 단선비전철시절[편집]

전철화 시대[편집]

운영[편집]

경원선에는 다음 운행 계통이 존재한다.

운행계통도

1 : 경의·중앙선 운행계통
2 : 한국고속철도 운행계통
3 : 인천 - 소요산/동두천 완행
4 : 신창/천안 - 광운대 완행
5 : 동두천 - 인천행 경원선급행
6 : ITX-청춘
7 : 수인·분당선
8 : 경춘선
9 : 일반 여객열차

K111 이촌
K113 한남
K114 옥수
K115 응봉
중앙선 계통
120 석계
118 월계
117 녹천
116 창동
115 방학
114 도봉
109 가능
108 녹양
107 양주
106 덕계
105 덕정
104 지행
102 보산
100-1 청산
100-2 전곡
100-3 연천

수도권 전철 1호선[편집]

회기 ~ 소요산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며 2005년 12월 15일 이전까지는 용산 ~ 성북 구간을 반복 운행하는 계통도 있었으나,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유 운행 계통으로 변경되었다. 수도권 전철 운행 구간은 대부분 1호선 또는 중앙선으로 안내되며, 실제로 경원선으로 표기되는 구간은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지 않는 구간이다. 2023년 12월 16일소요산 ~ 연천 구간이 개통한다.

경인선 인천역까지 운행하는 급행열차도 있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며,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11분 정도이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단, 동두천~광운대 구간은 인천역급행 행선을 달고 광운대이후로는 인천행으로 행선을 달고 운행한다.

역 번호[편집]

당시 이 운행 계통은 1호선의 일부처럼 취급되었기 때문에 이 운행 계통만을 위한 역 번호가 따로 부여되지 않았다. 그래서 1호선 본선 계통과 겹치는 역들은 1호선에서 쓰던 역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였다[내용주 6].

이 운행 계통만 다니던, 이촌역에서부터 지상 청량리역까지의 역에는 K로 시작하는 역 번호를 부여하였는데, 이것은 Korean National Railroad(국철)를 의미한다. K 다음에 오는 숫자는, 지상 청량리역에서부터 용산역까지 거슬러 올라가면서 붙이되, 회기역의 당시 역 번호에서 1씩 더해 나갔다. 예를 들어 회기역은 당시 124가 할당되었으므로, 다음 역인 지상 청량리역은 K125, 그 다음 역인 왕십리역은 K126이 할당되는 식이었다. 사실 경원선은 용산이 시점이기 때문에 만약 이 운행 계통이 별도 노선이었다면 번호를 별도로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계통은 1호선 본선과 운행 구간이 겹치기 때문에, 1호선 본선 계통 구간의 역 번호 연계해서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용산-덕소선 개통 이후에는 K1으로 시작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번호 부여 방식이 바뀌었다. 1호선과 별개로 K1로 시작하는 역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던 용산역과 회기역에도 그 번호가 부여되었고, 역 번호를 1씩 더해가는 방향이 반대로 변경되었다. 새로운 규칙에 따라서 기존에 K1으로 시작하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던 이촌~지상 청량리역의 번호도 전면 개정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ITX-청춘[편집]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ITX-청춘이 운행한다.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각역 정차이며, ITX-청춘용산역, 옥수역, 왕십리역, 청량리역에서 정차한다. 한편 청량리역회기역 사이의 구간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인입선과의 평면교차 문제로 인하여, 평화열차 등 일부 특별 열차를 제외하고는 정기 여객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열차는 평일 출퇴근시간에 한해 양방면으로 왕복 4회 운행되며, 회기 - 청량리 - 왕십리 - 옥수 - 이촌 - 용산에 정차한다.

강릉선 KTX[편집]

서울 ~ 청량리 구간을 운행한다.

폐지된 운영 계통[편집]

왕십리 경유 운행 계통 (폐지)[편집]

1978년 경원선 개통 당시 기념 승차권

1978년 12월 9일부터 용산 - 경원선 - 성북 구간을 경유하는 운행 계통이 존재하였다. 주로 용산 - 왕십리 - 성북 간을 운행하였는데, 종종 용산 - 경원선 - 청량리 간만 운행하는 열차도 있었다. 이들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였으며 급행 열차는 없었다. 이 당시 용산 - 지상 청량리 구간만 운행했던 열차가 있었던 이유는, 당시에는 경원선과 중앙선 선로 사이에 평면 교차가 이루어져 서로의 운행 스케줄을 간섭하였기 때문이었고 신호 때문에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되어 더군다나 신호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충돌의 위험이 있었다. 청량리-덕소 구간의 복선 전철 공사가 완공되면 왕십리 경유 운행 계통을 폐지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내용주 7]

한편 특이하게 창동역을 출발하여 성북, 왕십리를 거쳐 용산까지 가는 열차도 있었다. 이 열차는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토요일 아침마다 1회씩만 운행되었다. 이 열차 역시 가는 길에 있는 모든 역에 정차하였으며, 반대 방향으로 가는 열차[내용주 8]는 존재하지 않았다.

2000년 당시 ‘지하철 안내체계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수도권 전철 1 · 3 · 4호선이 운행 기관과 상관 없이 노선 안내명과 노선색이 통일되었다. 이 때 왕십리 경유 경원선 운행 계통은 명시적이지는 않았으나 1호선의 일부분처럼 간주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운행 계통도 1호선의 다른 구간과 동일하게 남색()이 상징색이었다[32][내용주 9]. 또한 1호선 본선 계통[내용주 10]과 겹치는 역[내용주 11]에는 이 운행 계통을 위한 역 번호가 따로 부여되지 않았다. 그리고 노선도에서 환승역 기호를 본선 계통과 분기·합류하는 역인 용산과 회기에만 표시하였다[내용주 12]. 이 점은 경인선 계통과 경부선 계통이 만나는 구로역과 동일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차량도 공유하였기 때문에 차내에 부착하는 개별 노선도에 이 구간도 함께 그려졌다.

그러다가 2005년 12월 16일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회기~덕소 구간이 개통하면서 이와 동시에 용산-회기 구간은 노선 자체 회사 방식으로 변경되어 1호선의 운행 계통에서 완전히 별개로 분리, 용산~왕십리~덕소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내용주 13]. 이와 동시에 새로운 상징색이 부여되었고, 각 역의 번호가 변경되었다.[내용주 14] 다만 노선 분리 초기에는 아직 1호선과 열차를 공유하였던 관계로 차내에 부착하는 개별 노선도에는 두 노선이 함께 그려졌었다.

2000년 지하철 안내체계 개선 사업 이후에도 이 운행 계통[내용주 15] 이나 용산~왕십리~회기 구간을 가리키는 안내 명칭을 명확히 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운영 기관이나 상황에 따라서 경원선이나 국철 등으로 불렸다.

2005년 12월 16일부터는 용산~왕십리~덕소 구간을 운행하게 되면서 1호선과 별개로 분리되었으나 안내 명칭은 여전히 확정되지 못하였다. 이 노선이 한국철도공사의 영업 거리표상 경원선과 중앙선을 모두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임시로 용산-덕소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내용주 16]. 이후 추가로 역이 개통되면서 운행 계통 내에서 중앙선 구간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2007년 12월 27일부터 안내 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용산선과 직결하면서 현재의 경의중앙선이 됐다.

폐지된 일반열차[편집]

과거에는 중앙선을 경유하는 일반열차들이 서울역에서 출발해 용산역에서 경원선에 진입해 청량리역에서 중앙선으로 갔다. 지금은 강릉선 KTX와 관광열차인 평화열차를 빼면 그러한 정기열차는 없다.

교외선 일반열차도 경원선을 운행했으나 용산-성북 구간 전철화 공사가 준공되기 몇 달 전인 1978년 4월 용산-성북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으며[33], 이후 1호선 연장에 따라 서울-능곡-의정부로 단축되어 교외선 정기열차 경원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통근열차 (폐지)[편집]

소요산역 ~ 연천역 전철화 공사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운임은 전 구간 1,000원으로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평화열차 (폐지)[편집]

관광열차로, 서울 ~ 연천 구간을 운행하며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해 평화열차로 운행 하였으나 수요저조로 폐지되었다.

차량[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차량[편집]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량·ITX-청춘 차량[편집]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소재지
용산선 효창공원역 방면
K110 용산 Yongsan 龍山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0.0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각선 (분기) - - 용산삼각선 0.8 0.8
K111 이촌 Ichon 二村 수도권 전철 4호선 1.9 1.9
K112 서빙고 Seobinggo 西氷庫 1.7 3.6
K113 한남 Hannam 漢南 1.9 5.5
K114 옥수 Oksu 玉水 수도권 전철 3호선 1.6 7.1 성동구
K115 응봉 Eungbong 鷹峰 1.8 8.9
K116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4 10.3
K117
124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중앙선
2.4 12.7 동대문구
K118
123
회기 Hoegi 回基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일부)
1.4 14.1
122 외대앞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外大앞 0.8 14.9
121 신이문 Sinimun 新里門 0.8 15.7
120 석계 Seokgye 石溪 서울 지하철 6호선 1.4 17.1 노원구
119 광운대 Kwangwoon Univ. 光云大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일 일부) 1.1 18.2
118 월계 Wolgye 月溪 1.1 19.3
117 녹천 Nokcheon 鹿川 1.4 20.7 도봉구
116 창동 Chang-dong 倉洞 수도권 전철 4호선 1.0 21.7
115 방학 Banghak 放鶴 1.7 23.4
114 도봉 Dobong 道峰 1.3 24.7
113 도봉산 Dobongsan 道峰山 서울 지하철 7호선 1.2 25.9
112 망월사 Mangwolsa 望月寺 2.3 28.2 경기도 의정부시
111 회룡 Hoeryong 回龍 의정부 경전철 1.4 29.6
110 의정부 Uijeongbu 議政府 1.6 31.2
109 가능 Ganeung 佳陵 1.2 32.4
108 녹양 Nogyang 綠楊 1.3 33.7
107 양주 Yangju 楊州 1.6 35.3 양주시
106 덕계 Deokgye 德溪 5.3 40.6
105 덕정 Deokjeong 德亭 2.9 43.5
104 지행 Jihaeng 紙杏 5.6 49.1 동두천시
103 동두천중앙 Dongducheonjungang 東豆川中央 1.0 50.1
102 보산 Bosan 保山 1.4 51.5
101 동두천 Dongducheon 東豆川 1.6 53.1
100 소요산 Soyosan 逍遙山 2.4 55.5
100-1 청산 Cheongsan 靑山 5.8 61.3 연천군
100-2 전곡 Jeongok 全谷 3.3 64.6
100-3 연천 Yeoncheon 漣川 8.7 73.3
신망리 Sinmang-ri 新望里 4.0 77.3
대광리 Daegwang-ri 大光里 7.0 84.3
신탄리 Sintan-ri 新炭里 4.4 88.7
백마고지 Baengmagoji 白馬高地 5.6 94.3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경원선의 교통량[편집]

열차 통과량[편집]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원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전동차 화물열차 운행총계
용산 - 청량리 163 18 18 89 3 128
청량리 - 광운대 225 0 0 194 0 194
광운대 - 동두천 171 0 0 131 1 132
동두천 - 소요산 113 0 0 38 1 39
소요산 - 신탄리 37 0 0 0 0 0
신탄리 - 백마고지 62 0 0 0 0 0

이용객 변동[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4]
통일(통근) 6,015,331 5,663,596 5,153,944 5,097,217 4,933,900 4,742,926 4,260,072 1,618,584 1,441,134 1,192,954 1,073,734 613,262 649,885 1,007,497 684,267 520,001
무궁화 755,293 1,118,063 1,004,947 999,162 1,788,736 1,939,840 2,790,575 2,989,909 3,020,890 2,623,383 2,354,179 1,283,509 1,427,508 1,679,700 1,751,059 1,729,358
새마을 5 2 0 378 10 7 110,846 8,281 256 2,855 3,859 75,837 80,850 110,707 141,283 208,948
건설 32,931 30,680 46,150 45,220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878,619 894,045 784,857 821,481
합계 7,682,179 7,706,386 6,989,898 6,963,458 6,722,646 6,682,773 7,161,493 4,616,774 4,462,280 3,819,192 3,431,772 1,972,608 2,158,243 2,797,904 2,576,609 2,458,307

향후 전망[편집]

  • 동두천역에서 연천역까지 (20.8 km, 5개역) 구간을 전철화할 예정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구간이 연장되어 2023년 12월 16일에 개통했다. 당초 복선 전철화가 계획되었으나, 복선 노반 단선전철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동두천역 이북 구간은 계속 단선이기 때문에 모든 동두천 시종착 열차가 소요산역 시종착으로 변경되지 않으며, 소요산 시종착 열차도 유지된다.

각주[편집]

내용주
  1. 이북구간의 종착역은 전곡역이 되었고, 이남구간의 종착역은 동두천역이 되었다.
  2. 이 때 종착역은 성북역이었다.
  3. 단, 의정부역 구내의 임시역으로 취급하여 의정부역과 동일한 운임을 적용한다.
  4. 그러나 실제 개통된 구간은 가능~소요산 구간이다.
  5. 복선노반 단선전철 구간이다.
  6. 현재 1호선의 역 번호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에 개정되었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있다.
  7. 참고로 현재는 선로가 이설되어 해당 구간의 평면 교차 문제가 사라졌다.
  8. 용산 → 왕십리 → 광운대 → 창동으로 운행하는 열차를 말한다.
  9. 단, 본선 계통과 겹치지 않는 용산 - 왕십리 - 회기 구간은 노선도에서 구별하여 다른 노선보다 얇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10. 경인선·경부선 및 지하 구간을 이용하는 계통을 말한다.
  11. 창동~회기역 구간에 있는 모든 역과 용산역이다.
  12. 당시 청량리역은 1호선 본선 계통이 지나가는 지하 청량리역과, 왕십리 경유 경원선 계통이 지나가는 지상 청량리역 간 환승이 불가능했다.
  13. 현재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말한다.
  14. 용산역과 회기역에도 1호선과 별개로 역 번호를 부여하였다.
  15. 용산 ~ 왕십리 ~ 성북, 창동 → 성북 → 왕십리 → 용산이다.
  16. 참고로 다른 운영 기관에서는 종종 중앙선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17.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참조주
  1. 차량 및 열차만 운행
  2. 조선총독부 고시 제296호(1911.09.25)
  3. 조선총독부 고시 제291호(1912.07.20)
  4. 조선총독부 고시 제53호(1912.10.07)
  5. 조선총독부 고시 제176호(1913.06.11)
  6. 조선총독부 고시 제238호(1913.08.02)
  7. 조선총독부 고시 제277호(1913.09.05)
  8. 조선총독부 고시 제334호(1913.10.09)
  9. 조선총독부 고시 제90 & 91호(1914.03.28)
  10. 조선총독부 고시 제195호(1914.06.03)
  11. 조선총독부 고시 제287호(1914.07.29)
  12. 조선총독부 고시 제177호(1928.05.16)
  13. 조선총독부 고시 제298호(1928.08.10)
  14. 조선총독부 고시 제303호(1931.06.01)
  15. 조선총독부 고시 제374호(1931.07.21)
  16. 조선총독부 고시 제5호(1935.01.12)
  17. 조선총독부 고시 제638호(1936.11.18)
  18. 조선총독부 고시 제350호(1938.04.21)
  19. 조선총독부 고시 제482호(1938.06.13)
  20. 조선총독부 고시 제447호(1939.05.24)
  21. 조선총독부 고시 제847호(1941.06.12)
  22. 조선총독부 고시 제1488호(1942.11.26)
  23. “KC 제1216호 경원선 전철 준공(용산~성북)”. 《대한뉴스》. 1978년 12월 18일. 
  24. “제1377호 이런일 저런일”. 《대한뉴스》. 1982년 3월 26일. 
  25. 김경원 기자 (1987년 10월 6일). “의정부 북부역 준공으로 불편 덜었으나, 사고 위험 많아”. 《MBC뉴스데스크》. 
  26. 지환 기자 (2012년 11월 20일). “62년 만에 경원선 철원까지 복원”. 《YTN》. 
  27. “철원 백마고지역서 '경원선 남측구간' 기공식”. 《연합뉴스》. 2015년 8월 5일. 
  28.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조정 알림
  2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30. [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2020년 8월 19일.
  31. 일단 선로는 단선이며 역사는 복선이지만 향후 수요가 많아지면 복선으로 전환을 할 예정이다.
  32. 지하철 노선색깔은 어떻게 지정하였습니까 구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에서 작성한 FAQ
  33. 전동렬차 증설 15일부터 운행
  34.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