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보이기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는 시도무형문화재 중에서 경상남도 내에 있는 무형문화재를 의미한다.
지정 목록
[편집]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 |
(固城五廣大) |
1964년 1월 1일 지정, 1964년 12월 24일 해제,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로 승격 |
[1] | |||
2호 | 용호놀이 (龍虎놀이) |
경남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18-52 | 1991년 12월 27일 지정 | [2] | ||
3호 | 한량무 (閑良舞)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 | 1979년 5월 2일 지정 | [3] | ||
(固城農謠) |
1979년 5월 2일 지정, 1985년 12월 1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84-가호로 승격 |
[4] | ||||
5호 | 문창제놀이 (文昌祭놀이)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호로265번길 40 | 1980년 12월 26일 지정 | [5] | ||
6호 | 마산농청놀이 (馬山農廳놀이)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138 (중앙동1가) | 1983년 8월 6일 지정 | [6] | ||
7호 | 감내게줄당기기 (감내게줄당기기) |
경남 밀양시 내이동 421 | 1983년 8월 6일 지정 | [7] | ||
8호 | 판소리(고법) (판소리(鼓法)) |
경남 사천시 벌리동 주공APT 103-210 | 1985년 1월 23일 지정 | [8] | ||
9호 | 판소리(수궁가) (판소리(水宮歌)) |
경남 사천시 사천읍 정의리 391 | 1985년 1월 23일 지정 | [9] | ||
10호 | 장도장(은장도) (粧刀匠(銀粧刀))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76 진주시장도장전수교육관 | 1987년 5월 19일 지정 | [10] | ||
11호 | 숭선전제례 (崇善殿祭禮) |
경남 김해시 가락로 293번길 26 | 숭선전 | 1990년 12월 20일 지정 | [11] | |
12호 | ![]() |
진주포구락무 (晋州抛毬樂舞)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 | 1991년 12월 23일 지정 | [12] | |
13호 | 함안화천농악 (咸安化川農樂) |
경남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 175 | 1991년 12월 23일 지정 | [13] | ||
14호 | 징장 (鉦匠) |
경남 거창군 정장리 100-1 | 1993년 1월 8일 지정 | [14] | ||
(金屬匠(粧刀,煙管)) |
1993년 12월 27일 지정, 1997년 10월 9일 해제 |
[15] | ||||
16호 | 밀양법흥상원놀이 (密陽法興上元놀이) |
경남 밀양시 단장면 법흥리 63 | 1993년 12월 27일 지정 | [16] | ||
17호 | 거창삼베일소리 (居昌삼베일소리) |
경남 거창군 송정리 230 | 1995년 5월 2일 지정 | [17] | ||
18호 | 연관장 (煙管匠) |
경남 진주시 문산읍 삼문리 1148 | 1995년 5월 2일 지정 | [18] | ||
19호 | 가야진용신제 (伽倻津龍神祭) |
경남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 1997년 1월 30일 지정 | [19] | ||
20호 | 의령큰줄땡기기 (宜寧큰줄땡기기) |
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24길 31-1 | 1997년 1월 30일 지정 | [20] | ||
21호 | 진주교방굿거리춤 (晋州敎坊굿거리춤)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 | 1997년 1월 30일 지정 | [21] | ||
22호 | 불모산영산재 (佛母山靈山齋) |
경남 창원시 교방동 489 | 2002년 2월 9일 지정 | [22] | ||
23호 | 웅상농청장원놀이 (웅상농청장원놀이) |
경남 양산시 웅상읍 명곡마을 | 2002년 4월 4일 지정 | [23] | ||
24호 | 소목장(통영소반) (小木匠(統營小盤)) |
경남 통영시 도천동 155 | 2002년 4월 4일 지정 | [24] | ||
25호 | 신관용류가야금산조 (申寬龍流伽倻琴散調)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 | 2002년 8월 14일 지정 | [25] | ||
26호 | 남해선구줄끗기 (南海仙區줄끗기) |
경남 남해군 남면 선구마을 | 2003년 6월 12일 지정 | [26] | ||
27호 | ![]() |
진주오광대 (晉州五廣大) |
경남 진주시 판문동 산171-1 | 2003년 6월 12일 지정 | [27] | |
28호 | 사천마도갈방아소리 (泗川馬島갈방아소리) |
경남 사천시 | 2004년 3월 18일 지정 | [28] | ||
29호 | 소목장 (小木匠) |
경남 진주시 명석면 광제산로26번길 7 | 2004년 10월 21일 지정 | [29] | ||
30호 | 거창일소리 (거창일소리) |
경남 거창군 거창읍 | 2004년 10월 21일 지정 | [30] | ||
31호 | 두석장 (豆錫匠) |
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76 진주시두석장전수교육관 | 2005년 1월 13일 지정 | [31] | ||
32호 | 매듭장 (매듭장) |
경남 창원시 | 2007년 1월 11일 지정 | [32] | ||
33호 | 함안낙화놀이 (咸安 落火놀이) |
경남 함안군 | 2008년 10월 30일 지정 | [33] | ||
34호 | 영제시조 (嶺制時調) |
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 16길 6 | 보유자: 이종록 | 2010년 11월 11일 지정 | [34] | |
35호 | 함양 송순주 (咸陽 松筍酒) |
경남 함양군 | 박흥선 | 2012년 3월 8일 지정 | [35] | |
36호 | 거창삼베길쌈 (居昌삼베길쌈) |
경남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93-40 | 2013년 1월 3일 지정 | [36] | ||
37호 | 김해오광대 (金海五廣大) |
경남 김해시 분성로 225(외동, 김해문화원내) | 김해오광대보존회 | 2015년 3월 5일 지정 | [37] | |
38호 | 마산성신대제 (馬山星神大祭)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63 | 마산성신대제보존회 | 2016년 5월 4일 지정 | [38] | |
39호 | 함안농요 (咸安農謠) |
경남 함안군 | 2016년 9월 1일 지정 | [39] | ||
40호 | 거창상여디딜방아액막이소리 | 경남 거창군 | 2016년 12월 15일 지정 | [40] | ||
41호 | 불모산영산재 (佛母山靈山齋)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220 (교방동, 백운사) | 불모산 영산재 보존회 | 2016년 12월 15일 지정 | [41] | |
42호 | 염색장 (쪽물장) |
경남 김해시 | 2017년 10월 12일 지정 | [42] | ||
43호 | 광려산숯일소리 | 경남 창원시 | 2017년 12월 21일 지정 | [43] | ||
44호 | 함양방짜유기장 | 경남 함양군 | 2017년 12월 21일 지정 | [44] | ||
45호 | 작약산예수재 | 경남 밀양시 초동면 오방길 31-56 | 작약산예수제보존회 | 2019년 8월 1일 지정 | [45] | |
47호 | 합천대평군물농악 | 경남 합천군 초계면 동부로1240 | (사)합천대평군물농악보존회 | 2023년 6월 29일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