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쇠채
![]() | |
---|---|
![]() 검은쇠채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치커리아과 |
족: | 치커리족 |
아족: | 쇠채아족 |
속: | 쇠채속 |
종: | 검은쇠채 |
학명 | |
'Scorzonera hispanica' | |
L.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검은쇠채(학명: Scorzonera hispanica 스코르조네라 히스파니카[*])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이다.[2] 원산지는 서남아시아와 캅카스, 유럽 및 북아프리카에 이르는 지역이며,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도 도입되어 귀화식물로 자란다.[3][4] 유럽에서 뿌리채소로 재배된다.
종내 분류군[편집]
- S. h. subsp. asphodeloides (Wallr.) Arcang.
- S. h. subsp. coronopifolia (Desf.) Rouy
- S. h. subsp. crispatula (DC.) Nyman
- S. h. subsp. neapolitana (Grande) Greuter
- S. h. subsp. trachysperma (Fiori) Maire & Weiller
사진[편집]
검은쇠채 밭
각주[편집]
- ↑ “Scorzonera hispanica L.”.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2월 11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2: 791. 1753.
- ↑ “Scorzonera hispanica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Scorzonera hispanica 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2년 3월 20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국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그리스의 식물상
- 네덜란드의 식물상
- 노르웨이의 식물상
- 독일의 식물상
- 러시아의 식물상
- 루마니아의 식물상
- 리비아의 식물상
- 모로코의 식물상
- 몬테네그로의 식물상
- 몰도바의 식물상
- 미국의 식물상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식물상
-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
- 불가리아의 식물상
- 뿌리채소
- 세르비아의 식물상
- 스웨덴의 식물상
- 스위스의 식물상
- 스페인의 식물상
- 슬로바키아의 식물상
- 슬로베니아의 식물상
- 아제르바이잔의 식물상
- 알바니아의 식물상
- 알제리의 식물상
- 영국의 식물상
- 오스트리아의 식물상
- 우크라이나의 식물상
- 이탈리아의 식물상
- 조지아의 식물상
- 체코의 식물상
- 쇠채아족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코소보의 식물상
- 크로아티아의 식물상
- 튀르키예의 식물상
- 튀니지의 식물상
- 포르투갈의 식물상
- 폴란드의 식물상
- 푸에르토리코의 식물상
- 프랑스의 식물상
- 헝가리의 식물상
- 1753년 기재된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