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볏과일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은볏과일박쥐속에서 넘어옴)

검은볏과일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박쥐목
아목: 음박쥐아목
과: 큰박쥐과
아과: 짧은코과일박쥐아과
또는 큰박쥐아과
속: 검은볏과일박쥐속
(Chironax)
K. Andersen, 1912
종: 검은볏과일박쥐
(C. melanocephalus)
학명
Chironax melanocephalus
(Temminck, 1825)
아종
  • 본문 참조
검은볏과일박쥐의 분포

검은볏과일박쥐의 분포 지역
  C. m. melanocephalus
  C. m. dyasae
  C. m. tumulus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검은볏과일박쥐(Chironax melanocephalus)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2] 검은볏과일박쥐속(Chironax)의 유일종이다.[3]

특징[편집]

작은 박쥐로 몸통 길이가 60~78mm이고 전완장이 41.3~47.5mm이다. 발 길이가 9.2~10mm이고, 귀 길이가 9~13mm, 몸무게가 최대 20g이다.[4][5] 털이 짧고 무성하며 보슬보슬하다. 등 쪽 털은 짙은 회색부터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며 머리는 거무스레하다. 반면에 배 쪽은 밝은 갈색빛 회색을 띤다.

생태[편집]

나무 잎 사이 또는 얕은 동굴 속에 2~8마리씩 작은 무리를 지어 은신한다. 먹이로 무화과나무속 종을 먹는다. 1월과 4월 사이에 말레이반도와 3월과 4월 사이에 술라웨시섬에서 새끼를 밴 암컷이 관찰된다.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태국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약 600m 이하의 저지대와 구릉 지대, 산악 지대 숲에서 서식한다.

아종[편집]

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6]

각주[편집]

  1. Tsang, S.M., Hutson, A.M., Kingston, T. & Suyanto, A. 2020. Chironax melanocephal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4670A22037874. https://dx.doi.org/10.2305/IUCN.UK.2020-3.RLTS.T4670A22037874.en. Downloaded on 28 January 2021.
  2. Simmons, N.B. (2005). “SPECIES Chironax melanocephalu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Hall LS, Gordon G. Grigg, Craig Moritz, Besar Ketol, Isa Sait, Wahab Marni and M.T. Abdullah. 2004. Biogeography of fruit bats in Southeast Asia. Sarawak Museum Journal LX(81):191-284.
  4. Charles M. Francis, A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0-691-13551-9.
  5. Wim Bergmans and FG Rozendaal, Notes on collections of Fruit Bats from Sulawesi and some off-lying Islands (Mammalia, Megachiroptera), in Zool. Verh. Leiden , vol. 248, 1988.
  6. Maharadatunkamsi, Morphological variation in Chironax melanocephalus (Chiroptera: Pteropodidae) from Indonesia and description of new subspecies, in Treubia, vol. 39, 2012, pp. 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