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좌표: 북위 37° 53′ 08″ 동경 127° 43′ 49″ / 북위 37.88557° 동경 127.730186° / 37.88557; 127.730186
강원도청(江原道廳, Gangwon Provincial Office)은 강원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으로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1에 위치하고 있다. 도지사는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부지사는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나 별정직 1급상당 지방공무원 또는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도지사[편집]
산하 자치단체[편집]
- 춘천시청
- 원주시청
- 강릉시청
- 동해시청
- 태백시청
- 속초시청
- 삼척시청
|
- 홍천군청
- 횡성군청
- 영월군청
- 평창군청
- 정선군청
- 철원군청
- 화천군청
- 양구군청
- 인제군청
- 고성군청
- 양양군청
|
강원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16]
총계 |
1,425명
|
정무직 계
|
1명
|
|
도지사 |
1명
|
|
일반직 계
|
1,170명
|
|
1급 이하 2급 이상 |
1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317명[17]
|
|
6급 이하 |
847명[18]
|
|
전문경력관 |
5명
|
|
별정직 계
|
6명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3명
|
|
6급 상당 이하 |
2명
|
|
연구직 계
|
3명
|
|
연구사 |
3명
|
|
소방공무원 계
|
245명
|
|
소방정 |
5명
|
|
소방령 이하 |
240명[19]
|
2018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0.3% 증가한 4조 7278억 2600만 원이며, 구체적인 세입·세출은 다음과 같다.[3]
- 세입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지방세수입 |
1조 150억 원 |
+6.8%
|
세외수입 |
920억 3950만 7000원 |
-25.0%
|
지방교부세 |
9540억 원 |
+14.4%
|
보조금 |
2조 3564억 2553만 9000원 |
-3.9%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3103억 6095만 4000원 |
-12.3%
|
|
- 세출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분야 |
부문
|
일반공공행정 |
3582억 8705만 9000원 |
-6.1%
|
|
입법및선거관리 |
200억 7990만 3000원 |
+175.2%
|
|
지방행정·재정지원 |
2667억 1558만 원 |
-6.2%
|
|
일반행정 |
714억 9157만 6000원 |
-5.6%
|
공공질서및안전 |
2277억 4212만 3000원 |
-16.0%
|
|
경찰 |
4억 2830만 원 |
+51.2%
|
|
재난방재·민방위 |
671억 4989만 9000원 |
-15.3%
|
|
소방 |
1601억 6392만 4000원 |
-16.3%
|
교육 |
2575억 1817만 원 |
+14.3%
|
|
유아및초중등교육 |
2392억 1697만 8000원 |
+15.2%
|
|
고등교육 |
183억 119만 2000원 |
+3.9%
|
문화및관광 |
2365억 1076만 7000원 |
-59.1%
|
|
문화예술 |
563억 3775만 5000원 |
-11.7%
|
|
관광 |
625억 7326만 1000원 |
-32.7%
|
|
체육 |
912억 357만 4000원 |
-76.8%
|
|
문화재 |
259억 9167만 7000원 |
-3.0%
|
|
문화및관광일반 |
4억 450만 원 |
-81.8%
|
환경보호 |
2868억 551만 7000원 |
+4.7%
|
|
상하수도·수질 |
2250억 4768만 8000원 |
-3.4%
|
|
폐기물 |
341억 9708만 7000원 |
+55.3%
|
|
대기 |
35억 3236만 원 |
+412.9%
|
|
자연 |
150억 6031만 7000원 |
+40.2%
|
|
환경보호일반 |
89억 6806만 5000원 |
+16.6%
|
사회복지 |
1조 6379억 414만 6000원 |
+18.7%
|
|
기초생활보장 |
4559억 3118만 6000원 |
+4.1%
|
|
취약계층지원 |
1390억 9314만 5000원 |
+19.5%
|
|
보육·가족및여성 |
3516억 3583만 8000원 |
+18.6%
|
|
노인·청소년 |
5592억 8799만 3000원 |
+24.5%
|
|
노동 |
642억 984만 4000원 |
+197.6%
|
|
보훈 |
9억 6310만 원 |
+35.4%
|
|
주택 |
456억 1409만 7000원 |
+6.9%
|
|
사회복지일반 |
211억 6894만 3000원 |
+41.5%
|
보건 |
949억 2656만 6000원 |
+24.5%
|
|
보건의료 |
903억 35만 7000원 |
+27.9%
|
|
식품의약안전 |
46억 2620만 9000원 |
-17.7%
|
농림해양수산 |
4949억 6752만 7000원 |
-1.2%
|
|
농업·농촌 |
3091억 547만 9000원 |
+1.5%
|
|
임업·산촌 |
1371억 9691만 4000원 |
-3.7%
|
|
해양수산·어촌 |
486억 6513만 4000원 |
-9.7%
|
산업·중소기업 |
1772억 9551만 원 |
+48.7%
|
|
산업금융지원 |
193억 700만 원 |
+18.2%
|
|
산업기술지원 |
80억 9870만 원 |
+19.4%
|
|
무역및투자유치 |
115억 9955만 원 |
+41.6%
|
|
산업진흥·고도화 |
937억 3618만 7000원 |
+103.0%
|
|
에너지및자원개발 |
445억 5407만 3000원 |
+6.8%
|
수송및교통 |
1850억 7067만 5000원 |
-2.2%
|
|
도로 |
1532억 135만 원 |
-10.3%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318억 6932만 5000원 |
+73.1%
|
국토및지역개발 |
2542억 6043만 1000원 |
-2.4%
|
|
수자원 |
935억 5680만 원 |
-13.4%
|
|
지역및도시 |
1607억 363만 1000원 |
+5.5%
|
과학기술 |
21억 5900만 원 |
+0.6%
|
|
과학기술연구지원
|
예비비 |
626억 1394만 8000원 |
+25,8%
|
|
예비비
|
기타 |
4517억 6456만 1000원 |
+11.9%
|
|
기타
|
|
같이 보기[편집]
- ↑ 국가직 제외.
- ↑ 가 나 강원도 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 ↑ 가 나 강원도청 - 세입세출예산서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 가 나 지방부이사관 또는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 2017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소방준감으로 보한다.
- ↑ 2018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2019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조례 제4161호 「강원도 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부칙제4조 및 조례 제4161호 「강원도 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부칙제2조
- ↑ 한시정원 41명 포함.
- ↑ 한시정원 1명 포함.
- ↑ 한시정원 8명 포함.
외부 링크[편집]
|
---|
|
본청 소속 |
|
---|
산하 기초자치단체 |
- 춘천시청
- 원주시청
- 강릉시청
- 동해시청
- 태백시청
- 속초시청
- 삼척시청
- 홍천군청
- 횡성군청
- 영월군청
- 평창군청
- 정선군청
- 철원군청
- 화천군청
- 양구군청
- 인제군청
- 고성군청
- 양양군청
|
---|
산하 공직유관단체 | |
---|
- 강원도지사는 차관급 지방공무원이다.
- 강원도 행정부지사는 행정안전부 파견 형식의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으로, 기획조정실장은 행정안전부 파견 형식의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으로 보한다.
- 강원도농업기술원장[1]은 농촌진흥청 파견 형식의 고위공무원 나급(2급 상당)으로 보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의결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
|
---|
|
본부 소속 |
|
---|
산하 공공기관 | |
---|
소관기관 |
|
---|
- 이북5도위원회의 각 도지사(5인) 및 경찰위원회 상임위원(1인)은 차관급으로 임명된다.
- 전직대통령 비서관 3인 중 1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 2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 비서관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으로 보한다.[2]
- 정부전산백업센터[3]가 2021년까지 충청남도 공주시에 설립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