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저우시
약자: 赣B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장궁 구 |
면적 | 39,380km2 |
인구 (2007년) 인구밀도 |
8,770,000명 223/km2 |
지역전화 | 797 |
우편번호 | 341000 |
시차 | UTC+8 |
웹사이트: www.ganzhou.gov.cn |
간저우(한국어: 감주[1], 중국어: 赣州, 병음: Gànzhōu)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江西省)의 지급시이다. 행정 중심은 장궁 구(章貢區)이다.
역사[편집]
송나라 이전[편집]
BC201년에 전한 고조는 현재의 간저우 땅에 현을 설치하고 해당 현을 예장군의 속현으로 두었다. 초기에 이 지역의 한족 정착민과 행정 당국은 소수였고 주로 감강(贛江) 분지에 제한적으로 거주했다. 감강은 포양호(鄱陽湖:파양호)를 거쳐 흐르는 장강(長江)의 지류로 농경을 위한 관개 뿐만 아니라 북쪽과의 통신로를 제공하였다. 후한말 여릉군이 분리되면서 여릉군에 속했다가 서진초 남강군이 분리되면서 시 대부분이 남강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부터 당나라까지 연혁은 남강군참조.
송나라[편집]
강남서로의 속주가 되었고 남안군에 속한 난캉 구, , 다위 현, 상유 현일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을 통치했다. 상급주로 군명은 남강군이고 소신군절도(昭信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107년(북송 휘종 대관 원년), 군의 급이 望급으로 조정되었다. 북송대부터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토착 부족민들은 더 깊은 산지로 내몰렸다. 정강의 변이후 이주민 수는 극적으로 증가했다.
건염 연간 관내에 안무사가 설치되었으나 1145년(남송 고종 소흥 15년) 폐지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272,432호, 702,127명이 살았고 10현을 거느렸다.[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감현 | 贛縣 | 간저우 시 | 望 | 합호은장(蛤湖銀場)이 존재한다. |
건화현 | 虔化縣 | 간저우 시 닝두 현 | 望 | 1152년(소흥 22년) 영도현(寧都縣)으로 개명되었다. 납을 채굴하는 보적(寶積)장이 있다. |
흥국현 | 興國縣 | 간저우 시 싱궈 현 | 望 | 태평흥국 연간에 감현의 7개 향을 분리 신설했다. |
신풍현 | 信豐縣 | 간저우 시 신펑 현 | 望 | |
무도현 | 雩都縣 | 간저우 시 위두 현 | 望 | |
회창현 | 會昌縣 | 간저우 시 후이창 현 | 望 | 태평흥국 연간에 무도현의 6개향과 구주진(九州鎭)으로 신설했다. 은이 채굴된다. |
서금현 | 瑞金縣 | 간저우 시 루이진 시 | 望 | 은광석이 채굴되는 구룡(九龍)장이 있다. |
석성현 | 石城縣 | 간저우 시 스청 현 | 緊 | |
안원현 | 安遠縣 | 간저우 시 안위안 현 | 上 | |
용남현 | 龍南縣 | 간저우 시 룽난 현 | 中 | 1121년(선화 3년), 건남현(虔南縣)으로 개명했다. 1153년(소흥 23년), 용남현으로 복구했다. |
1800년대 후반에 간저우는 남부의 조약항으로 개방된 곳 중 하나로 외국 회사들을 위한 작은 기반이 되었다. 1929년과 1934년 사이에 간저우는 중국 공산당의 기반 중 하나인 장시 소비에트의 일부를 형성하였다.
지리[편집]
간저우는 장시성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남쪽의 대도시이다. 서쪽으로 후난성, 남쪽으로 광둥성, 동쪽으로 푸젠성과 접하고 북쪽으로 지안, 푸저우와 접한다. 이 지역의 70%이상이 숲으로 덮여있고 83%이상이 산지이다. 감강의 주요 지류들이 도시의 중심부에서 합류해서 간저우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기후[편집]
간저우는 온난 습윤 기후로 동아시아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여름은 길고 무더우며 겨울은 짧고 온화하며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23.6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422.4mm이다.
Ganzhou (1971−200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27.7 (81.9) |
29.5 (85.1) |
32.2 (90.0) |
35.1 (95.2) |
36.5 (97.7) |
38.4 (101.1) |
40.0 (104.0) |
41.2 (106.2) |
38.8 (101.8) |
36.6 (97.9) |
32.8 (91.0) |
29.1 (84.4) |
41.2 (106.2) |
평균 최고 기온 °C (°F) | 12.3 (54.1) |
13.6 (56.5) |
17.6 (63.7) |
23.9 (75.0) |
28.1 (82.6) |
31.5 (88.7) |
34.3 (93.7) |
33.8 (92.8) |
30.4 (86.7) |
25.9 (78.6) |
20.2 (68.4) |
15.2 (59.4) |
23.9 (75.0) |
일 평균 기온 °C (°F) | 8.2 (46.8) |
9.8 (49.6) |
13.6 (56.5) |
19.6 (67.3) |
23.8 (74.8) |
27.1 (80.8) |
29.4 (84.9) |
28.8 (83.8) |
25.8 (78.4) |
21.2 (70.2) |
15.4 (59.7) |
10.3 (50.5) |
19.4 (66.9) |
평균 최저 기온 °C (°F) | 5.4 (41.7) |
7.1 (44.8) |
10.8 (51.4) |
16.5 (61.7) |
20.6 (69.1) |
23.9 (75.0) |
25.7 (78.3) |
25.3 (77.5) |
22.5 (72.5) |
17.7 (63.9) |
11.9 (53.4) |
6.8 (44.2) |
16.2 (61.1) |
최저 기온 기록 °C (°F) | −6 (21) |
−4.4 (24.1) |
−0.3 (31.5) |
4.2 (39.6) |
11.1 (52.0) |
15.6 (60.1) |
19.1 (66.4) |
19.7 (67.5) |
13.1 (55.6) |
5.2 (41.4) |
−0.4 (31.3) |
−3.8 (25.2) |
−6 (21)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65.1 (2.56) |
113.1 (4.45) |
181.2 (7.13) |
195.4 (7.69) |
233.3 (9.19) |
180.2 (7.09) |
115.8 (4.56) |
134.6 (5.30) |
90.3 (3.56) |
66.0 (2.60) |
48.0 (1.89) |
38.2 (1.50) |
1,461.2 (57.52)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2.4 | 15.1 | 18.8 | 18.0 | 18.4 | 15.5 | 12.0 | 13.2 | 9.9 | 8.2 | 7.9 | 7.7 | 157.1 |
평균 상대 습도 (%) | 76 | 79 | 82 | 80 | 80 | 78 | 72 | 74 | 75 | 73 | 72 | 71 | 76.0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87.8 | 73.5 | 72.3 | 100.5 | 137.8 | 173.1 | 261.0 | 235.8 | 182.1 | 165.2 | 147.1 | 142.1 | 1,778.3 |
가능 일조율 | 27 | 23 | 20 | 26 | 33 | 42 | 62 | 58 | 49 | 46 | 45 | 44 | 40 |
출처: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3] |
주민[편집]
인구의 99%가 한족이고 41개의 소수민족(주로 서족, 후이족, 야오족에 속하는 71200명이 거주한다. 간저우는 장시성에서 가장 큰 하카 지역 사회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 지역은 장궁 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하카어를 사용한다. 장궁 구는 남서 만다린을 사용하여 "언어의 섬"으로 여겨진다.
행정 구역[편집]
3개 시할구, 1개 현급시, 14개 현을 관할한다.
- 루이진 시(瑞金市)
- 신펑 현(信丰县)
- 다위 현(大余县)
- 상유 현(上犹县)
- 충이 현(崇义县)
- 안위안 현(安远县)
- 룽난 현(龙南县)
- 딩난 현(定南县)
- 취안난 현(全南县)
- 닝두 현(宁都县)
- 위두 현(于都县)
- 싱궈 현(兴国县)
- 후이창 현(会昌县)
- 쉰우 현(寻乌县)
- 스청 현(石城县)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