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벼운리을에서 넘어옴)

리을
정보
자명리을
훈몽자회梨乙
자원혀의 모양 (반혓소리, 이체자)
종류닿소리
획수3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l (어두 초성, 종성)
r (어중, 종성일 때 초성 ㅎ 앞)
ll (ㄹㄹ 연속, /ㄹㄹ/로 발음 되는 ㄹㄴ과 ㄴㄹ)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r (초성)
l (종성)
ll (ㄹㄹ 연속)
발음
어두치경 설측 접근음[ l ]
어중치경 탄음[ ɾ ]
어말권설 설측 접근음[ ɭ ]
이음어두 구개음화: 치경구개 설측 접근음 [ ȴ ]
획순

(리을)은 한글의 자음 중 넷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어두초성에서는 치경 설측 접근음[l]으로 소리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선 치경 탄음[ɾ]으로 소리나며 음절 마지막에는 권설 설측 접근음[ɭ]으로 소리난다. , , , , , 앞에서는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ȴ]으로 구개음화한다. 한국어 고유어 낱말대한민국 표준어 한자어에서는 단어 맨 앞에 ㄹ이 오지 않는다.

일제강점기 이전 한국어에서 두음 법칙이 나타남으로써 낱말 어두의 ㄹ이 ㄴ, ㅇ으로 대부분 바뀌었으나,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인위적으로 이를 없앤 반면 대한민국은 맞춤법에 반영하였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ㄹ이 나타내는 소리는 반혓소리이며, 그 제자 원리는 혀 모습을 본뜬 것이나 그 모양을 달리 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고 했다.

ㄹ 불규칙 활용[편집]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는 모두 ㄹ 불규칙 활용을 한다(ㄹ 탈락).

  • 갈다 → 갈아, 가니, 가오
  • 거칠다 → 거칠어, 거치니, 거치오
  • 날다 → 날아, 나니, 나오
  • 놀다 → 놀아, 노니, 노오
  • 살다 → 살아, 사니, 사오
  • 어질다 → 어질어, 어지니, 어지오
  • 줄다 → 줄어, 주니, 주오

조사 ‘-으로’는 받침 있는 체언에 붙이는 격 조사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에는 '으'를 생략하고 ‘-로’가 붙는다('으' 탈락).

  • 돌+(으)로 → 돌로
  • 말+(으)로 → 말로
  • 발+(으)로 → 발로

가벼운리을[편집]

가벼운리을(ᄛ, ퟝ)은 ㄹ 아래에 을 쌓은 한글 낱자로, 훈민정음 합자해에서 ㄹ의 두 가지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설명된 글자이다. 실제 사용된 예는 없으며, 순경음의 표기처럼 혀가 윗잇몸에 잠깐 닿아 나는 가벼운 반혓소리(반설경음)를 나타내는 데 ㄹ 아래에 ㅇ을 덧댈 수 있다고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半舌有軽重二音。然韻書字母唯一,且國語雖不分軽重,皆得成音。若欲備用,則依脣軽例,ㅇ連書ㄹ下,為半舌軽音,舌乍附上腭。

훈민정음 중 합자해

반설음에는 가볍고 무거운 두 소리가 있다. 운서 자모에는 오직 하나이고, 또 우리말에서는 비록 경중을 구분하지 않으나 다 말소리를 이룰 수 있다. 만일 갖춰 쓰고자 한다면, 순경음의 예를 따라, ㅇ을 ㄹ 아래에 이어 쓰면 혀가 윗잇몸에 잠깐 닿는 반설경음이 된다.

코드값[편집]

문자 정보
미리 보기
유니코드 이름 HANGUL CHOSEONG RIEUL HANGUL JONGSEONG RIEUL HANGUL LETTER RIEUL HALFWIDTH HANGUL LETTER RIEUL HANGUL CHOSEONG KAPYEOUNRIEUL HANGUL JONGSEONG KAPYEOUNRIEUL
인코딩 10진 16진 10진 16진 10진 16진 10진 16진 10진 16진 10진 16진
유니코드 4357 U+1105 4527 U+11AF 12601 U+3139 65449 U+FFA9 4379 U+111B 55261 U+D7DD
UTF-8 225 132 133 E1 84 85 225 134 175 E1 86 AF 227 132 185 E3 84 B9 239 190 169 EF BE A9 225 132 155 E1 84 9B 237 159 157 ED 9F 9D
수치 문자 참조 ᄅ ᄅ ᆯ ᆯ ㄹ ㄹ ᄅ ᄅ ᄛ ᄛ ퟝ ퟝ
한양 PUA 63384 F798 63627 F88B 63399 F7A7 63657 F8A9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