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있으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만히 있으라"세월호 침몰 사고를 기억하기 위해, 용혜인의 제안으로 일어난 침묵행진을 중심으로 한 사회운동이다. 침묵행진의 참가자들은 마스크를 쓰고 "가만히 있으라"라는 말이 쓰인 손팻말과 국화를 들고 행진하였는데, "가만히 있으라"라는 이름은 이 손팻말에서 비롯되었다.

배경[편집]

2014년 4월 16일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했다. 탑승자 476명 중 생존자를 제외한 사망자와 실종자가 304명에 이르렀다. 사건의 직간접적 원인으로 여러가지가 지목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선장 등 승무원들의 "가만히 있어라"라는 안내방송이었다. 탑승자들은 "가만히 있어라"라는 말을 방송으로 들었다고 증언했다.[1]

세월호 침몰 사고의 책임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는 도중, 4월 30일 용혜인은 도심 추모 침묵행진을 제안하면서 "이 나라에 계속 이어져온 참사의 전통에서, 이번에 달라진 것이라고는 정부의 태도 뿐이고, 이 참사는 군부독재 시절 이후 일어난 대형 참사 중에서 유일하게 대통령이 사과하지 않은 사건"이라며 "가만히 있기는 너무 꺼림칙하다"고 행진을 제안한 이유를 밝혔다.[2]

용혜인은 "'가만히 있으라'는 말은 이 말을 믿고 따른 많은 사람들을 죽게 만든 바로 그 한마디"라며 "'이번엔 가만히 있지 말자, 문제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보자'라는 취지에서 침묵시위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3]

확산[편집]

용혜인씨가 4월 29일 제안한 침묵행진에, 30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청와대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보고 약 50명의 사람이 함께했다. 검은색 옷을 갖춰 입은 사람들 사이로 교복을 입은 여학생도 있었다. 침묵행진 경로는 홍대입구역, 명동, 시청역이었는데 명동으로 가기 전 행진은 80여 명으로 불어나있었다. 그리고 행진 말미에는 누적 약 250여명의 사람들이 참가하였다. 이 날 이후 용 씨는 5월 3일 침묵행진을 다시 제안했다.[4][5]

5월 10일에는 세월호 희생자 합동분향소가 있는 경기 안산에서 용씨가 제안하는 세번째 침묵행진이 진행됐으며, 5월 15일 고려대에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글이 적힌 흰색 종이와 국화 한 송이를 들고 흰색 마스크를 쓴 채 약 30분간 학교 안을 돌며 침묵행진이 있었다.[6]

또 "가만히 있으라" 페이스북 페이지[7]를 통해 침묵행진 및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소식들이 계속 공유되었다.

논란[편집]

침묵행진을 처음 제안한 용혜인은 침묵시위가 끝난 뒤 한 남성이 카메라를 들고 자신을 촬영하기도 하고 순찰차 한 대가 자신의 주변을 돌면서유심히 쳐다보고 간 일도 있었다고 주장했다.[8]

5월 17일 저녁 청계광장에서 세월호 침몰 희생자 추모 촛불집회를 개최하고 나서 광화문 일대에서 침묵행진을 하다가 경찰에 의하여 연행되었으며.[9] 이날 연행자 수는 95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침묵행진 제안자 용씨 역시 연행되었다.[10]

5월 27일 대한변호사협회는 "지난 18일 '가만히 있으라' 침묵행진에 참가했다 연행된 여성들에게 자살방지를 운운하며 속옷 탈의를 강요한 것과 강제연행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집회의 자유)을 침해한 불법행위"라고 질타했다.[11]

반응[편집]

5월 18일 "가만히 있으라" 침묵행진 도중 경찰이 참가자 100여명을 연행하자 대학가를 중심으로 이를 비판하는 대자보가 붙었다.[12]

6월 10일에는 삼청동주민센터 앞에서 "가만히 있으라" 세월호 추모 침묵행진 대학생 등 시민 200여명이 모여 종로구 경복궁 사거리 인근에서 청와대 만민공동회를 진행했다.[13]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