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탈출
![]() | |
---|---|
다른 이름 | 여성 생식기 탈출 |
![]() | |
진료과 | 여성의학과 ![]() |
증상 | 골발장기탈출 |
위험 인자 | 임신, 분만, 만성적 복강내압 증가 |
자궁탈출(子宮脫出, Uterine Prolapse, pelvic organ prolapse, prolapse of the uterus (womb))은 골반장기탈출의 일종이다. 여성 생식기 탈출(Female genital prolapse), 또는 간단히 자궁탈(子宮脫)이라고도 한다.
자궁탈출의 위험 요인에는 임신, 분만, 만성적 복강내압 증가(예: 리프팅, 기침, 염좌, 결합조직 질환[1][2], 근육 약화의 위험)가 있다.[3] 치료는 보수적일 수도 있고 수술을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의 증후와 선호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치료[편집]
치료는 보수적으로, 기계적으로, 수술적으로 진행된다. 보수적 치료에는 행동 교정, 근육 강화 운동(케겔 체조 등)이 포함된다.[4] 페서리(pessary)라는 기구는 자궁을 들어올려서 지탱해주는 기계적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5][6] 수술적 선택사항들은 여러 개가 있으며[7] 복강경 자궁고정술[8], 자궁탈출교정술(Sacrohysteropexy)[9][10], 맨체스터 수술과 같은 자궁 스페어링(sparing) 기법이라든지 자궁적출술이 포함될 수 있다.[11]
각주[편집]
- ↑ Carley, Michael (May 2000).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with Marfan or Ehlers-Danlos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82: 1021–1023. doi:10.1067/mob.2000.105410.
- ↑ Mastoroudes, H (December 2012). “Prolapse and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benign joint hypermobility syndrome”.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20: 187–192. doi:10.1111/1471-0528.12082.
- ↑ DeLancey, John (February 2007). “Comparison of Levator Ani Muscle Defects and Func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Pelvic Organ Prolapse”. 《Obstetrics & Gynecology》 109: 295–302. doi:10.1097/01.AOG.0000250901.57095.ba.
- ↑ Hagen, Suzanne (2011년 12월 7일). “Conserva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The Cochrane Library》 (12): CD003882. doi:10.1002/14651858.CD003882.pub4. PMID 22161382.
- ↑ Bugge, Carol (2013년 2월 28일). “Pessaries (mechanical devices) for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Cochrane Library》. doi:10.1002/14651858.CD004010.pub3.
- ↑ Cundiff, Geoffrey (April 2007). “The PESSRI study: symptom relief outcomes of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of the ring and Gellhorn pessari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96: 405.e1–405.e8. doi:10.1016/j.ajog.2007.02.018.
- ↑ Maher, Christopher (2013년 4월 30일). “Surgical manage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The Cochrane Library》 4: CD004014. doi:10.1002/14651858.CD004014.pub5. PMID 23633316.
- ↑ Rahmanou, Philip (January 2013). “Laparoscopic hysteropexy: 1- to 4-year follow-up of women postoperatively”.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5: 131–138. doi:10.1007/s00192-013-2209-5.
- ↑ Price N, Slack A, Jackson S (2010). “Laparoscopic hysteropexy: the initial results of a uterine suspension procedure for uterovaginal prolapse”. 《BJOG》 117: 62–68. doi:10.1111/j.1471-0528.2009.02396.
- ↑ Rosati, Maurizio (August 2014). “A review on the role of laparoscopic sacrocervicopexy”. 《Current Opinions in Obstetrics & Gynecology》 26: 281–289. doi:10.1097/GCO.0000000000000079.
- ↑ Surgical correction of uterine prolapse: cervical amputation with uterosacral ligament plication versus vaginal hysterectomy with high uterosacral ligament plication Archived 2011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By de Boer T, Milani F, Kluivers K, Withagen M, Vierhout M. Part of ICS 2009 Scientific Programme, Thursday 1 October 2009 Archived 2011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
- (영어) Illustrated description of Manchester Operation at atlasofpelvicsurgery.com
- (영어) The Pelvic Clinic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