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2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지하철 2호선에서 넘어옴)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08편성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14편성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정지선: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종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정지선: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역 수51
개통일1980년 10월 31일(신설동~종합운동장)
1982년 12월 23일(종합운동장~교대)
1983년 9월 16일(을지로입구~성수)
1983년 12월 17일(교대~서울대입구)
1984년 5월 22일(서울대입구~을지로입구)
1992년 5월 22일(신도림~양천구청)
1996년 2월 29일(양천구청~신정네거리)
1996년 3월 20일(신정네거리~까치산)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시청~시청 본선: 49.1 km
성수~신설동 성수지선: 5.4 km
신도림~까치산 신정지선: 6.0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시청 - 시청, 성수 - 신설동, 도림천 - 신정네거리)
전철화가공전차선·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Nippon Signal ATS,ATS-P
(2022년 종료)[1]
LZB/ATP/ATO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LZB/ATP/ATO 구간 80km/h
서울 지하철 2호선
km
0.0
201 시청
0.7
202 을지로입구
1.5
203 을지로3가
2.1
204 을지로4가
3.1
205 동대문역사문화공원
4.0
206 신당
4.9
207 상왕십리
5.7
208 왕십리
6.7
209 한양대
7.8
210 뚝섬
8.6
0.0
211 성수
2.3
211-1 용답/군자차량사업소
3.3
211-2 신답
4.2
211-3 용두
5.4
211-4 신설동
연결선
9.8
212 건대입구
11.4
213 구의
12.3
214 강변
(한강, 잠실철교)
14.1
215 잠실나루
15.1
216 잠실
16.3
217 잠실새내
17.5
218 종합운동장
18.5
219 삼성
19.8
220 선릉
21.0
221 역삼
21.8
222 강남
23.0
223 교대
23.7
224 서초
25.4
225 방배
27.0
226 사당
28.7
227 낙성대
29.7
228 서울대입구
30.7
229 봉천
31.8
230 신림
33.6
231 신대방
34.7
232 구로디지털단지
35.8
233 대림
37.6
0.0
234 신도림
1.0
234-1 도림천
2.7
234-2 양천구청
4.6
234-3 신정네거리
연결선
6.0
234-4 까치산
38.8
235 문래
39.7
236 영등포구청
40.8
237 당산
(한강, 당산철교)
42.8
238 합정
43.9
239 홍대입구
45.2
240 신촌
46.0
241 이대
46.9
242 아현
47.7
243 충정로
48.8
201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2號線) 혹은 수도권 전철 2호선(首都圈 電鐵 2號線)은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서울 주요 지역을 순환한 을지로순환선, 성수역신설동역을 잇는 성수지선[내용주 1], 신도림역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운행 계통은 을지로순환선을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환내선순환, 외선순환과 성수지선, 신정지선을 왕복하는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이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담당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개요[편집]

플랩식 행선 안내기, LED 행선 안내기 도입 이전까지 1기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는 2010년까지 남아 있었으며 2005년에 일부 역사에 새로운 행선 안내기가 설치됐지만, 사업자의 계약 문제로 얼마 뒤 철거되었고, 2010년 새 사업자가 선정되어 행선 안내기가 LCD 방식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모두 철거되었다.

구자춘 전 서울시장의 3핵도시 구상[내용주 2]에 따라 1972년의 계획[내용주 3]을 파기하고 계획한 노선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서울 도심과 부도심을 이으며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각 노선을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오전 8시 ~ 오전 9시, 교대 - 강남 구간은 아침 출근 시간대를 기준으로 대한민국 철도 노선 중 최고의 혼잡률인 225%의 혼잡률을 보였다. 2호선의 전동차 정원은 1576명[내용주 4] 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가장 혼잡한 시간대에는 한 편의 전동차가 평균 3514.5명의 인원을 수송하였음을 보여준다.

운영[편집]

운행[편집]

외선·내선 순환[편집]

서류 상의 기준점은 시청역이나, 운영 및 열차 운행에 있어서는 성수역신도림역이 기준점이 된다. 내선 순환은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행 계통이며, 외선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 이전에는 노선의 별칭을 따라 이 운행 계통을 을지로 순환선으로 불렀으나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차량기지 인근에 위치한 성수역 혹은 신도림역을 출발하여 본선을 몇 바퀴를 돈 뒤 다시 성수역 또는 신도림역에서 운행을 마치는 형태로 운행된다. 이외에도 막차 시간대에는 을지로입구역, 서울대입구역, 삼성역, 홍대입구역 종착 열차가 있으며 이들은 해당 역의 주박선에서 주박을 하고, 다음 날 새벽에 첫차로 운행 후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순환선 전 구간을 한 바퀴 운행하는 데 걸리는 표준 시간은 1시간 27분 (87분) ~ 1시간 30분 (90분)이나 출·퇴근 시간 등에는 지연으로 인하여 다소 늦어질 수 있다. 10량 75개 편성이며 운행 시에는 앞쪽 운전실에 기관사,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근무하는 2인 승무제를 시행하며 이는 1호선, 3호선, 4호선 (코레일 포함)과 같다.

1996년 12월 31일부터 1999년 11월 22일까지 당산철교가 재시공으로 사용이 중지되었을 때 내선 순환은 당산역까지, 외선 순환은 홍대입구역이나 합정역까지만 운행된 적이 있었다.[내용주 5]

성수지선[편집]

성수 - 신설동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 운행 계통이다. 2호선이 1980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으로 신설동 - 성수 - 종합운동장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래로 1982년 12월 23일 2단계 개통으로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이 연장 개통될 당시까지만 해도 본선 구간의 일부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1983년 9월 16일 성수 - 을지로입구 3단계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을지로입구 - 종합운동장 구간이 본선이 되고, 신설동 - 성수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동일한 운행 계통을 구축하게 되었다. 성수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들은 성수지선을 통하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기지에서 출고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역시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에서 종착 후 신설동역 구내의 1호선 및 2호선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2호선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 (지하 3층)을 통과한 후,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이 때문에 종종 성수지선 전동차가 용답역 또는 신답역에 1분 이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3] 성수지선은 4량 5개편성이며 신정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량이 짧아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신정지선[편집]

신도림~까치산 구간을 운행한 지선 운행 계통이다. 신도림역신정차량사업소 사이의 입출고선을 연장한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까치산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또한, 까치산역 인근에 5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어서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당시 5호선 전동차7·8호선 전동차고덕차량기지방화차량기지로 운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 신도림역에서 도림천역구간이 단선이기 때문에 선행열차가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으로 들어가거나, 도림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간 경우, 후속열차는 선행열차가 되돌아 나올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략 10분)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또한 도림천역양천구청역 사이에 있는 신정차량사업소와의 연결선을 통하여 열차가 입출고하기 때문에 지선 열차가 양천구청역이나 도림천역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신정지선은 6량 4개편성이며 성수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 량수가 적어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차량[편집]

군자차량사업소, 신정차량사업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출고 시에는 각 차량기지와 연결된 지선을 이용한다.

역사[편집]

2단계 개통 기념 승차권

역 목록[편집]

본선 (을지로순환선)[편집]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 로마자 한자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5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206 편성 2017년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2018년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2019년 운행 중
215 편성 2007년 운행 중
216 편성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9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31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32 편성 2019년 운행 중
233 편성 운행 중
234 편성 운행 중
235 편성 운행 중
236 편성 운행 중
237 편성 운행 중
238 편성 운행 중
239 편성 2018년 운행 중
240 편성 운행 중
241 편성 운행 중
242 편성 운행 중
245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 2022년 운행 중
247 편성 운행 중
248 편성 운행 중
256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 2005년 운행 중
258 편성 2007년 운행 중
259 편성 운행 중
260 편성 운행 중
261 편성 2008년 운행 중
262 편성 운행 중
263 편성 운행 중
264 편성 운행 중
265 편성 운행 중
266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68 편성 운행 중
269 편성 운행 중
270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73 편성 2019년 운행 중
274 편성 운행 중
275 편성 2020년 운행 중
276 편성 운행 중
277 편성 운행 중
278 편성 운행 중
279 편성 운행 중
280 편성 운행 중
281 편성 운행 중
282 편성 운행 중
283 편성 운행 중
284 편성 운행 중
285 편성 2018년 운행 중
286 편성 운행 중
287 편성 운행 중
288 편성 운행 중
289 편성 운행 중
290 편성 운행 중
291 편성 운행 중
292 편성 운행 중
293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5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206 편성 2017년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2018년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2019년 운행 중
215 편성 2007년 운행 중
216 편성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9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31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32 편성 2019년 운행 중
233 편성 운행 중
234 편성 운행 중
235 편성 운행 중
236 편성 운행 중
237 편성 운행 중
238 편성 운행 중
239 편성 2018년 운행 중
240 편성 운행 중
241 편성 운행 중
242 편성 운행 중
245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 2022년 운행 중
247 편성 운행 중
248 편성 운행 중
256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 2005년 운행 중
258 편성 2007년 운행 중
259 편성 운행 중
260 편성 운행 중
261 편성 2008년 운행 중
262 편성 운행 중
263 편성 운행 중
264 편성 운행 중
265 편성 운행 중
266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68 편성 운행 중
269 편성 운행 중
270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73 편성 2019년 운행 중
274 편성 운행 중
275 편성 2020년 운행 중
276 편성 운행 중
277 편성 운행 중
278 편성 운행 중
279 편성 운행 중
280 편성 운행 중
281 편성 운행 중
282 편성 운행 중
283 편성 운행 중
284 편성 운행 중
285 편성 2018년 운행 중
286 편성 운행 중
287 편성 운행 중
288 편성 운행 중
289 편성 운행 중
290 편성 운행 중
291 편성 운행 중
292 편성 운행 중
293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5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206 편성 2017년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2018년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2019년 운행 중
215 편성 2007년 운행 중
216 편성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9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31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32 편성 2019년 운행 중
233 편성 운행 중
234 편성 운행 중
235 편성 운행 중
236 편성 운행 중
237 편성 운행 중
238 편성 운행 중
239 편성 2018년 운행 중
240 편성 운행 중
241 편성 운행 중
242 편성 운행 중
245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 2022년 운행 중
247 편성 운행 중
248 편성 운행 중
256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 2005년 운행 중
258 편성 2007년 운행 중
259 편성 운행 중
260 편성 운행 중
261 편성 2008년 운행 중
262 편성 운행 중
263 편성 운행 중
264 편성 운행 중
265 편성 운행 중
266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68 편성 운행 중
269 편성 운행 중
270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73 편성 2019년 운행 중
274 편성 운행 중
275 편성 2020년 운행 중
276 편성 운행 중
277 편성 운행 중
278 편성 운행 중
279 편성 운행 중
280 편성 운행 중
281 편성 운행 중
282 편성 운행 중
283 편성 운행 중
284 편성 운행 중
285 편성 2018년 운행 중
286 편성 운행 중
287 편성 운행 중
288 편성 운행 중
289 편성 운행 중
290 편성 운행 중
291 편성 운행 중
292 편성 운행 중
293 편성 2020년 운행 중

성수지선[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211 성수 Seongsu 聖水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0.0 0.0 서울특별시 성동구
211-1 용답 Yongdap 龍踏 2.3 2.3
211-2 신답 Sindap 新踏 1.0 3.3
211-3 용두(동대문구청) Yongdu
(Dongdaemun-gu Office)
龍頭(東大門區廳) 0.9 4.2 동대문구
211-4 신설동 Sinseol-dong 新設洞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1.2 5.4

신정지선[18][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234 신도림 Sindorim 新道林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234-1 도림천 Dorimcheon 道林川 1.0 1.0
234-2 양천구청 Yangcheon-gu Office 陽川區廳 1.7 2.7 양천구
234-3 신정네거리 Sinjeongnegeori 新亭네거리 1.9 4.6
234-4 까치산 Kkachisan 까치山 수도권 전철 5호선 1.4 6.0 강서구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호선 승차 1,403,567 1,413,009 1,437,622 1,424,944 1,441,774 1,442,947 1,451,283 1,469,567 1,512,167 1,528,825 [19]
하차 1,416,658 1,423,710 1,450,264 1,443,145 1,454,650 1,460,827 1,469,856 1,485,699 1,523,518 1,543,184
승하차 2,820,225 2,836,719 2,887,886 2,868,089 2,896,424 2,903,773 2,921,141 2,955,266 3,035,686 3,072,009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호선 승차 1,517,375 1,547,394 1,546,746 1,554,070 1,579,409 1,554,434 1,541,893 1,522,393 1,530,910 1,540,008
하차 1,540,316 1,567,239 1,560,470 1,572,506 1,596,836 1,571,347 1,561,308 1,542,570 1,553,302 1,562,804
승하차 3,057,691 3,114,633 3,107,214 3,126,576 3,176,245 3,125,781 3,103,201 3,064,963 3,084,212 3,102,812
노선 2020년
2호선 승차 1,093,425
하차 1,103,185
승하차 2,196,610

역 추가 설치 계획[편집]

신정교역 신설 계획[편집]

목동신시가지 14단지 입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도림천역양천구청역 사이에 신정교역(가칭)을 신설할 계획에 있다.

각주[편집]

내용주
  1. 지금의 을지로순환선의 형태가 완성되기 이전까지는 본선이었다.
  2. 기존의 도심권, 강남권, 영등포권을 말한다.
  3. 제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9.54 km (19711974년 건설)
    제2호선 영등포왕십리 35.5 km (19741985년 건설)
    제3호선 미아동 ∼ 퇴계로 경유 ∼ 불광동 21.5 km (19771979년 건설)
    제4호선 강남 포이동 ∼ 율곡로 경유 ∼ 대림동 34.5 km (1979년1985년 건설)
    제5호선 연희동종로 ∼ 천호동 ( ~ 광주대단지) 32 km (19781985년 건설)
  4. 순환선 기준.
  5. 당시 당산역 - 합정역 구간은 셔틀버스를 투입하여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였다.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가 재개통되어 순환선 전체 구간으로 환원되고 각기 외선순환, 내선순환 반복 운행으로 돌아갔다.
참조주
  1. 성수지선만 2024년 종료예정
  2. 오진희 (2013년 3월 15일). “지난해 서울지하철 24억명 이용..2호선 강남역 가장 붐벼”. 아시아경제.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3. 김범석 (2010년 11월 16일). “신설동 지하 유령역, 스크린서 깨어날까”. 동아일보. 2011년 4월 28일에 확인함. 
  4. 서울특별시고시 제181호 , 1980년 5월 28일.
  5. 서울특별시고시 제309호, 1980년 8월 28일.
  6. 서울특별시고시 제505호, 1982년 12월 9일.
  7.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1983년 6월 30일.
  8. 서울특별시고시 제541호, 1983년 10월 17일.
  9. 地下鐵(지하철)Ⅱ 教大(교대)앞~서울大入口(대입구)구간 개통 서울大(대)~乙支路(을지로)입구 49분 걸려 새벽 5시~밤 11시 51분까지 운행, 동아일보, 1983년 12월 17일 작성.
  10. 서울특별시고시 제295호, 1984년 5월 18일.
  11. 서울특별시고시 제128호, 1985년 2월 28일.
  12.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1985년 10월 16일.
  13.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2009년 10월 29일.
  14.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193호, 2010년 5월 27일.
  15.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 2014년 12월 18일.
  16. 서울특별시, 편집. (2016년 12월 15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6-401호 '도시철도 역명 개정 확정 고시' (PDF), 《서울시보》 (3385), 22쪽, 2019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7.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2019년 12월 26일.
  18. 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노선도 추진되고 있다.
  19.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