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평옹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평옹주
和平翁主
조선 영조의 옹주
이름
별호 화평귀주(和平貴主)
신상정보
출생일 1727년 4월 27일 (음력)
사망일 1748년 6월 24일(1748-06-24)(21세) (음력)
부친 영조
모친 영빈 이씨
배우자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
자녀 박상철(朴相喆 · 양자)
능묘 화평옹주 · 박명원 묘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리 산57-1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6월 16일(음력 4월 27일) ~ 1748년 7월 19일(음력 6월 24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영조의 셋째 딸이며 어머니는 영빈 이씨이다. 화순옹주, 화완옹주와 더불어 영조가 매우 총애하였다.

생애[편집]

탄생[편집]

1727년(영조 3년) 4월 27일, 영조(英祖)와 영빈 이씨(暎嬪 李氏)의 장녀로 태어났다.

1731년(영조 7년) 1월, 옹주가 마마를 앓자 영조가 모든 형벌의 집행을 중지하였다.[1] 같은해 7월, 화평옹주(和平翁主)에 봉해졌다.[2]

1735년(영조 11년), 영조는 화평옹주를 위하여 이현궁(梨峴宮)의 제택을 수리하였는데, 경복궁의 옛 궁궐의 소나무를 베어 쓰게 하니, 일을 담당하는 자들이 이를 빙자하여 이익을 도모하여 매매하는 일이 발생하였다.[3]

혼인[편집]

1738년(영조 14년), 예조참판 박사정(朴師正)의 아들인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과 혼인하였다. 박명원은 노론 북학파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8촌 형이기도 하다.

옹주는 평소 영조의 총애를 받아 그 의물이 매우 성대하였는데, 당시 화평옹주의 혼례를 주관하였던 효종의 부마이자 숙녕옹주의 남편인 금평위(錦平尉) 박필성(朴弼成)은 '영조의 장녀 화순옹주의 혼례때의 의물이 숙녕옹주 때보다 열 배나 더 풍성하였는데, 화평옹주의 혼례는 화순옹주보다 더욱 풍성하다'고 말하였다.[4]

영조가 화평옹주를 사랑하였기 때문에 사위인 박명원 또한 영조가 총애하였다.

혼례를 치른 후에도 남편 박명원과 함께 궐 안에서 생활하였으며 1742년(영조 18년) 출합하여 사저에 나가 거주하였다. 옹주가 출궁할 때 영조는 이현(梨峴)의 별궁을 하사하였는데 옹주가 사양하였다.

사망[편집]

1748년(영조 24년) 6월 24일, 22세의 나이로 요절하였고 영조가 그 죽음을 매우 슬퍼하였다.[5]

화평옹주의 아버지 영조의 어진
 
임금이 화평옹주(和平翁主)의 집에 행행하였다.
옹주는 곧 임금의 둘째 딸로 영빈 이씨(暎嬪 李氏)의 소생이었다.
임금이 매우 사랑하였는데,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에게 하가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병이 위독했으므로, 가인(家人)을 시켜 아뢰기를,
“병이 위독하여 다시 천안(天顔)을 모실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하자,
임금이 갑자기 행행하였다.
일이 갑작스러운 데에서 나왔으므로 백관이 미처 다 모이지 못한 탓으로
여위(輿衛)가 미비하여 의장(儀仗)을 이룰 수가 없었다.
옹주가 곧 이어 졸하자 임금이 매우 슬퍼하였으며,
빈소에 임어하여서는 통곡하면서 슬픔을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날씨가 매우 무더웠는데 밤새도록 환궁하지 않자,
대신과 여러 신하들, 정원(政院)이 누차 접견하게 해줄 것을 청하였으나,
인대(引對)를 허락하지 않고 앉아서 밤을 새웠다.
염습할 때 친림(親臨)하였으며, 일등으로 호상(護喪)하라고 명하였다.
 
— 《영조실록》 67권,
영조 24년(1748년 청 건륭(乾隆) 13년) 6월 24일(정축)


영조는 화평옹주의 염습에 친림하였으며, 대간의 간청도 무시하고 옹주의 저택에 남아 슬퍼하다가 4일만에 경덕궁으로 환어하였다. 화평옹주의 죽음을 슬퍼함이 지나치다고 신하들이 간하자, 노하여 그들을 파직시켰으며, 화평옹주의 장례에 쓰이는 의물을 국장에 버금가게 성대히 치르게 하여 분묘를 만드는 데만도 수 개월이 소요되었다.[6]

영조는 화평옹주가 죽은 수년 후에도 가끔씩 화평옹주의 저택에 들러 박명원을 만나보고 돌아갔다.[7][8]

화평옹주의 무덤은 경기도 파주군 주내면(파주시 파주읍)에 있다. 1790년(정조 14년)에 영조의 친필로 비문을 쓴 묘비가 세워졌다.

일화[편집]

  • 사도세자의 아내인 혜경궁 홍씨는 저서 《한중록》에서, 화평옹주는 홀로 아버지 영조의 사랑을 독차지 하는 것에 대해 마음 아파 하며 아버지에게 그러지 말아달라고 하였으나 영조가 듣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옹주는 사도세자의 허물을 감싸주고 영조와의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여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의 화를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하였으나, 화평옹주가 사망한 후에는 궁중에서 이러한 역할을 할 사람이 없어 부자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화평옹주가 계실 때에는 동생(사도세자)의 역성을 들어
일에 따라 부왕께 말씀을 올려 맺힌 것을 푼 일이 많았는데,
옹주가 돌아가신 후에는 위에서 과한 행동을 하시거나 자애가 부족하셔도
"참으시어 그리 마소서" 할 이 없으니,
점점 대조(영조)의 자애는 부족하고 경모궁(사도세자)께서는 두렵기가 날로 심하시니
자식 된 도리를 점점 못 차리시니라.
화평옹주가 계셨으면 부자간에 자애와 효도를 갖추게 하였을 것이니,
착하신 옹주 일찍 돌아가신 것이 어찌 국운(國運)과 무관하다 할 수 있겠는가?
지금 생각해도 애석하다.
— 《한중록》, 혜경궁 홍씨
  • 화평옹주의 3년상이 끝날 무렵 친조카인 의소세손이 태어났다. 《한중록》에 의하면 영조혜경궁 홍씨의 의소세손 출산을 도왔던 영빈 이씨에게 "죽은 딸은 잊고 손자 태어난 것만 좋아하느냐"고 하였다. 그런데 의소세손의 몸에 화평옹주의 몸과 같은 위치에 점이 있는 것을 보고는 놀라워했다고 한다.


가족 관계[편집]


화평옹주가 등장하는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영조실록》 29권, 영조 7년(1731년 청 옹정(雍正) 9년) 1월 12일 (병자)
    화평옹주가 마마를 앓으므로, 모든 형옥 처리는 중지하라 명하다
  2. 승정원일기》 727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년 청 옹정(雍正) 9년) 7월 20일 신해[신사]
    옹주를 화평옹주(和平翁主)로 삼는다고 전교하였다.
  3. 영조실록》 40권, 영조 11년(1735년 청 옹정(雍正) 13년) 5월 25일 (갑자)
    화평옹주의 제택 역사에서 발생한 문제를 의논하다
  4. 영조실록》 68권, 영조 24년(1748년 청 건륭(乾隆) 13년) 8월 2일 (갑신)
    처음 화평옹주가 하가(下嫁)할 때 금평위(錦平尉) 박필성(朴弼成)이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귀주(貴主, 옹주)들의 혼인을 매번 주관해왔다. 그런데 화순옹주(和順翁主)가 하가할 때의 의물이 내가 관주(館主)가 되었을 때에 견주어 보면 열 배나 더 풍성하였으며,

    이제 귀주(화평옹주)의 혼수(資裝)는 또 화순옹주에 견주어보면 더할 수 없이 풍성하였다." 하였다.

  5. 영조실록》 67권, 영조 24년(1748년 청 건륭(乾隆) 13년) 6월 24일(정축)
    화평옹주가 위독하여 옹주 집에 행행하다
  6. 영조실록》 68권, 영조 24년(1748년 청 건륭(乾隆) 13년) 8월 2일 (갑신)
    화평옹주를 장사지냈는데 의물의 성대함이 국장에 버금갈 정도였다
  7. 영조실록》 69권, 영조 25년(1749년 청 건륭(乾隆) 14년) 6월 23일 (기해)
    임금이 금성위 박명원의 집에 거둥하였는데 이 날이 화평옹주의 소상이다
    임금이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의 집에 거둥하였는데, 이 날이 화평옹주의 소상(小祥)이었다.

    임금이 그 대문에 이르러 남여(藍輿)에서 내려와 슬프게 눈물을 흘리며 배종(陪從)한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지금 사람들은 오륜(五倫)도 없는가? 모름지기 나에게 하루의 여가라도 허락하라." 하고,

    임금이 화평옹주를 생각하는 슬픔이 심하여 자주 그 집에 거둥하였으나, 여러 신하들이 감히 말하지 못하였다.

    임금이 하교하기를,

    "밤이 깊어 문을 닫았을 것이니 군병(軍兵)이 더러 끼니를 거르는 폐단이 있을 것이다.

    군문(軍門)으로 하여금 밥을 전달하도록 하고, 그 성(城) 밖에 있는 자에 대해서는 군문에서 밥을 먹인 뒤에 계달하도록 하라."

    하였다.

  8. 영조실록》 83권, 영조 31년(1755년 청 건륭(乾隆) 20년) 2월 1일 (을사)
    명선공주 · 명혜공주의 사당에 나갔다가 금성위의 집에 들르다
    임금이 명선공주(明善公主) · 명혜공주(明惠公主) 두 공주의 사당에 나아갔다가 지나는 길에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의 집에 들렀다.

    명선공주와 명혜공주는 바로 현종(顯宗)의 따님으로 출가하기 전에 일찍 죽었다.

    임금이 그 묘우(廟宇)가 황폐하고 쓸쓸하다고 여겨 직접 임어(臨御)하여 경계시켰다.

  9. 영조실록》 98권, 영조 37년(1761년 청 건륭(乾隆) 26년) 12월 28일 (임진)
    광주 부윤 박상철의 죽음을 애도하다
    영의정 홍봉한이 말하기를,

    "광주 부윤 박상철(朴相喆)이 젊은 나이에 애석하게 되었습니다."

    하니, 임금이 무릎을 치며 놀라 탄식하기를,

    "아침에 정원(政院)에서 광주(廣州)의 밀부(密符)를 거두어 들인 것을 내가 깨닫지 못하였다.

    내가 그의 외조부(外祖父)로서 이와 같이 잊었으니 이것이 무슨 정신인가? 애석하다.

    조정의 사이에서 조경(躁競, 마음을 조급하게 굴며 남과 권세를 다투는 것)하지를 않은 자는 이 한 사람 뿐이었으니 사정에 가리워서 말하는 것이 아니다."

    하고, 이어서 관(棺)의 재목을 가려서 주라고 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