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휴스턴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어룡 화석. 옆의 고생물학자는 로버트 T. 바커 박사.

화석(化石)은 지질 시대에 살았던 고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지질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나, 발자국등의 흔적으로서 생물체의 구조나 생활환경을 알아 볼 수 있는 물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

  1. 생물체가 운반되어 퇴적물 속에 파묻힌다.
  2. 파묻힌 유해가 지하수에 의해 녹아 없어진다.
  3. 유해가 녹아 없어진 빈 공간에 진흙등의 물질이 채워진다.
  4. 채워진 물질이 굳는다.
  5. 지층이 큰 힘을 받아 솟아오른다.
  6. 지층이 깎여 화석이 지표에 나타난다.

화석의 생성 조건

  1. 생물의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2. 생물체에 뼈나 껍데기와 같은 단단한 부분이 있어야 한다.
  3. 생물체의 유해가 썩기 전에 빨리 퇴적물에 묻혀 보존되어야 한다.
  4. 지각 변동을 받지 않아야 한다.

화석의 종류

  • 표준화석: 생존 기간이 짧고 진화 속도가 빠르며 넓은 지역에 걸쳐 산출되는 화석으로, 지층의 생성 시기를 알려준다.
예) 삼엽충, 푸줄리나, 암모나이트, 공룡, 매머드, 화폐석
  • 시상화석: 생존 기간이 길고, 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좁은 범위에 걸쳐 산출하는 화석으로, 지층이 생성될 당시의 환경을 잘 알려준다.
예) 산호(수심이 얕고, 물이 맑고, 온난한 바다), 고사리(온난 습윤한 늪지대)

나라별 화석

한국

한국의 퇴적층은 고생대 전기(조선누층군), 고생대 후기(평안 누층군), 중생대 전기(대동누층군), 중생대 후기(경상누층군), 신생대(퇴적분지에 따라 다양) 등이 고루 분포하고 있으나, 고생대의 실루리아기데본기 지층은 회동층을 제외하면 찾아볼 수 없다.

조선누층군은 분포 지역과 암상에 따라 여러 층군으로 나뉘데 그 가운데에서 태백 층군영월 층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 있다. 태백 층군의 두무골층, 막골층은 주로 석회암으로 되어 있는데 많은 화석이 산출된다. 또 그 상부의 직운산층은 셰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역시 많은 화석이 발견된다. 주로 삼엽충, 완족동물 등의 화석이 잘 나온다. 영월 층군에서는 마차리층이 화석 산출로 유명하다.

평안누층군은 조선누층군 위에 평행 부정합면을 경계로 놓여있으며, 장성층에서 석탄이 발견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되어 있다. 고생대 후기의 식물화석이 많이 발견된다.

경상누층군은 경상도를 중심으로 하여 전남 남해안까지 분포한다. 조선누층군이나 평안누층군 또는 대동누층군과는 달리 큰 조산운동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평행한 층리를 잘 볼 수 있다. 육상의 호수에서 퇴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상누층군은 공룡화석으로 유명하다. 고성, 해남 등지에서 많은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고, 비록 일부이기는 하지만, 공룡의 뼈 화석도 산발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경상누층군이 퇴적되었던 백악기 당시에는 전 세계적으로 쥐라기의 특징적인 대형 공룡들이 쇠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곳에서는 큰 공룡들이 무리지어 살았음을 밀집된 발자국화석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다. 공룡 말고도 중생대 악어의 두개골이 최근 발견되었으며, 익룡의 걸음걸이와 이륙 방법을 유추할 수 있는 발자국 화석도 최근 이 곳에서 발견되었다. 영화 쥐라기공원이 나오기 전까지 대부분의 공룡 복원은 꼬리를 끄는 모습으로 복원되어 왔으나, 경상누층군에서 발견된 많은 공룡 발자국 중에서 꼬리를 끈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강력한 증거가 되어 이 견해는 수정되었고, '쥐라기공원'에서 보는 바와 같이 꼬리를 바싹 들고 좌우로 흔들며 보행했다는 쪽으로 견해가 모아지고 있다.

1995년에는 북한에서 시조새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표본은 암시장에 나왔으나 학계에서 입수하기 전에 일본의 아마추어 수집가에게 넘어갔기 때문에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같이 보기

틀:Link FA 틀:Link 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