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sjbbot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28일 (월) 19:26 판 (→‎참조 문헌: 치환됨: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using AWB)
호남선
호남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대전조차장역
(대전광역시 대덕구)
종점목포역
(전라남도 목포시)
역 수48
개통일1914년 1월 11일
소유자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52.5 km
궤간1,435 mm
선로 수2 (전 구간)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호남본선(湖南本線)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대전조차장역전라남도 목포시목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 철도 노선이다. 일반적으로는 호남본선만을 가리켜 ‘호남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정식 명칭은 호남본선이며, 노선 번호는 204이다[1].

역사

광무 연간의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수원에서 천안, 대전을 거쳐 영남으로 향하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 제국 측에 넘어가 독자적인 간선 철도 부설에 실패한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주관하에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호남선이 1914년 전구간 개통된다.

1910년 1월에 대전과 연산 간 24.3의 공사 구간을 비롯하여 8개 공사 구간을 설정하였다. 군산과 강경 간 31.2리의 공사 구간을 1911년 3월에 착공하여 1912년 3월 6일 완공하였고,[2] 김제와 이리 간 11.1리의 철길을 1911년 12월에 착공, 1912년 10월 1일에 완공 개통하였다.[3] 1914년 1월 11일 전북 정읍과 전남 광주송정 간 35.5리의 공사 구간,[4]을 끝으로 대전과 목포 간 호남선 철도 부설 공사를 완료하였다. 호남선 공사의 궤도 연장거리는 198.3리이며, 그 사이에 터널 9개소, 교량이 193개소, 구교가 286개소인데, 경부선과 연결역인 대전역을 개축 확장한 것 외에 27개소의 역사를 설치하였다.[5] 조선총독부한일 병합 후 단기간에 호남선 철로를 완공하였는데 김제평야 등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당시 호남선은 대전역에서 경부선 김천, 부산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익산 구간이 1978년[6], 익산~정읍 구간은 1985년, 정읍~장성 구간은 1987년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서야 광주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송정리(현재의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송정리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한편, 익산~목포 구간은 복선화와 함께 선형개량도 시행되었는데, 특히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선형개량은 상당히 큰 폭으로 이루어졌다.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7]되어 경부선경부고속선과 직결 운행하는 고속열차가 호남선에도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동시에 기점이 대전역에서 대전조차장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특히 서대전에서 논산에 이르는 선형이 불량한 구간에서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광주역까지 2시간 50분, 목포역까지 3시간 1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단 1시간 40분 만에 동대구역에 도착하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어 지역 차별이라는 소리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불만은 호남고속선 건설추진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2000년 5월 15일에 착공하였던 장항선장항-군산-대야 구간이 완공, 연장됨에 따라 2008년 1월 1일부터 용산역을 출발하여 장항을 경유하는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의 일부는 서대전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2일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역 목록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전 열차 통과.

역명 K ITX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대전조차장 대전북연결선
경부본선
- 0.0 대전광역시 대덕구
서대전 대전선 5.7 5.7 중구
가수원 6.1 11.8 서구
흑석리 5.5 17.3
원정 - 20.7
계룡 8.1 25.4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 - 28.0
개태사 9.3 34.7 논산시
연산 4.9 39.6
부황 4.9 44.5
논산 6.3 50.8
채화 - 56.5
채운 강경선 6.7 57.5
강경 3.2 60.7
용동 6.0 66.7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 5.1 71.8
다산 - 75.4
황등 9.4 81.2
익산 전라선
장항선
6.7 87.9
부용 미운행 구간 7.4 95.3 김제시
와룡 3.2 98.5
김제 7.1 105.6
감곡 6.8 112.4 정읍시
신태인 5.5 117.9
초강 5.6 123.5
정읍 7.9 131.4
천원 미운행 구간 6.0 137.4
노령 4.2 141.6
백양사 7.0 148.6 전라남도 장성군
신흥리 - 154.3
안평 장성화물선 11.5 160.1
장성 3.7 163.8
옥정 - 169.6
임곡 10.9 174.7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 6.5 181.2
북송정 북송정삼각선, 광주선 2.8 184.0
광주송정 경전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
1.7 185.7
노안 9.3 195.0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 6.5 201.5
영산포 - 203.2
다시 7.4 208.9
고막원 3.2 212.1
함평 6.8 218.9 함평군
무안 7.6 226.5 무안군
몽탄 3.8 230.3
명산 - 236.5
일로 대불선 9.6 239.9
임성리 5.3 245.2 목포시
동목포 - 249.9
목포 삼학도선 7.3 252.5

지선 노선

호남선에는 총 6개의 지선이 있었으나 현재 5개의 지선만 운영중다. 여기서는 각 노선을 나열하였으며, 노선명 뒤의 괄호 안에는 해당 노선의 거리와 거리표 기준의 노선 번호를 기입하였다.

참조 문헌

  1.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918호 《한국철도거리표》, 국토해양부. / 관할 부처인 대한민국 국토해양부와 운영 주체인 한국철도공사의 정식 명칭은 호남본선이고 ‘호남선’은 호남본선과 그 지선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2. “1912년 3월 6일부터 호남선 내강경과 군산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明治45年3月6日ヨリ湖南線ノ內江景群山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其ノ哩程左ノ通但シ咸悅及地境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29호, 1912년 2월 6일.
  3. “1912년 10월 1일부터 내이리와 김제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大正元年10月1日ヨリ湖南線ノ內裡里金堤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通但シ芙蓉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30호, 1912년 9월 12일
  4. “1914년 1월 11일부터 호남선 정읍과 광주송정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大正3年1月11日ヨリ湖南線井邑松汀里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如シ但シ四街里及林谷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421호, 1913년 12월 26일
  5. 익산의 교통통신.
  6. 당시에는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거쳐 익산에 이르는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대전선구간인 대전역-서대전역구간이 호남선이었는데, 현재의 대전선 구간은 복선화가 되지 않았다.
  7. 개통식은 2004년 3월 24일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