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니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드리히 니체
학자 정보
사망 1900년 8월 25일(1900-08-25)(55세)
독일 제국, 바이마르,
시대 19세기 철학
지역 서양 철학
영향
영향 받은 인물 아도르노, 바타유, 장 보드리야르, 벤야민, 앨런 블룸, 부버, 버틀러, 카뮈, 들뢰즈, 데리다, 허버트 드레이퍼스, 푸코, 하이데거, 무함마드 이크발, 야스퍼스, 카우프만, 코제프, Onfray, Rand, 로바키제, 조지 산타야나, 사르트르, 스트라우스, 슈펭글러, 윌리엄스, 비트겐슈타인, 삽페
영향 준 인물 아리스토텔레스,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도스토옙스키, 루소, 쇼펜하우어, 소크라테스, 스피노자, 스피어, 스탕달, 볼테르, 바그너
서명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년 10월 15일 ~ 1900년 8월 25일)는 19세기 독일 철학자이며 음악가이자 시인이다. 그는 종교, 도덕 및 당대의 문화, 철학, 그리고 과학에 대한 비평을 썼고, 특유의 문체를 사용했으며 경구(aphorism)에 대한 자신의 기호(嗜好)를 드러내었다. 니체의 영향력은 철학과 철학을 넘어서는 다른 영역에도 실질적으로 남아있는데, 특히 실존주의포스트모더니즘에서 그러하다.

니체는 철학으로 자신의 분야를 바꾸기 전에 이미 철학자로서 자신의 일을 시작했다. 24세에 그는 바젤 대학에서 고전 철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지만, 꾸준한 강연 활동을 다니기도 했다. 그러나 보불전쟁 이후 편두통과 안질환을 비롯한 각종 질병에 시달려, 살아있는 동안 계속 그를 괴롭혔던 건강상의 문제와 철학적 신념에 따라 1879년에 대학교수직을 그만두었고 강연활동도 접었다. 이후 저술 활동에 매달렸으나 1889년 무렵부터 그는 심각한 정신질환의 증세를 보였으며, 1900년에 사망할 때까지 어머니와 여동생의 돌봄을 받으며 살았다.

그는 기독교와 이상주의의 도덕을 '약자의 도덕', '노예의 도덕', '데카당스'라고 배격하고, '초인' '영원 회귀'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일종의 형이상학을 수립하여 뒤에 생의 철학이나 실존 철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즐거운 지식》에서는 신의 죽음을 선언하였다. 니체는 플라톤 철학과 기독교도덕주의를 뒤집었으며, 기독교를 비판하여 유럽을 비판, 키에르케고르와 더불어 실존주의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일부 지식인들의 계몽주의라는 세속주의의 승리가 가져온 결과 역시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니체는 자유주의, 힘의 논리 등의 마키아벨리즘, 권위주의, 반유대주의 등에 강력히 비판, 반대하였지만 뒷날 그의 이름은 그가 혐오하던 파시스트들에게 이용되기도 했다. 니체의 문체와 진리의 대상 및 가치에 대한 그의 근본적인 질문은 중요한 해석의 문제를 제기했고,현상학과 분석철학 모두에서 방대한 2차 문헌들이 생겨났다.

생애

출생과 학업 (1844 – 1868)

니체 1861년 모습

출생

니체는 1844년 10월 15일 예전의 프로이센 (독일)의 작센 지방의 소읍인 뢰켄(Röcken)에서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프러시아의 왕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게서 빌려온 것으로, 빌헬름 4세는 니체가 태어나던 날에 나이가 49세를 넘었었다(니체는 훗날 그의 이름에서 가운데에 있던 "빌헬름"을 빼 버렸다.[1]) 니체의 아버지인 카를 빌헬름 루트비히 니체(1813-1849)는 루터교회 목사이자 전직 교사이었고, 프란치스카 욀러(1826~1897)와 1843년에 결혼하였다. 그의 여동생인 엘리자베스 니체는 1846년에 태어났고, 뒤를 이어 남동생인 루드비히 요셉이 1848년에 태어났다. 니체의 아버지는 뇌 질환으로 1849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어린 남동생은 1850년에 죽었다. 그 후 가족은 나움부르크로 이사를 갔고, 그곳에서 니체의 할머니와 어머니 프란치스카, 아버지의 결혼하지 않은 두 자매, 두 하녀들과 함께 살며 어린시절을 보냈다. 니체의 할머니가 1856년에 세상을 하직하자, 가족은 그들의 집으로 이사했다.

학교

1861년 니체는 소년학교에 출석했고 그 다음에는 그가 구스타브 크루크와 빌헬름 핀터와 친구가 되었던 곳인 사립학교에 다녔다. 두 친구는 모두 명망있는 가문 출신이었다. 1854년 그는 나움부르크에 있는 돔 김나지움에 다니기 시작했으나, 그의 특출한 재능은 음악언어에서 발휘되기 시작했다. 그 후 국제적으로 유명한 슐포르타에 동료들처럼 입학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그의 학업을 1858년부터 1864년까지 계속했다. 그는 파울 도이쎈, 칼 폰 게르도르프와 친구가 되었다. 또한 그는 시를 짓고 음악을 작곡하는 데 시간을 들였다. 슐포르타에서 니체는 특히 고대 그리스로마문학에 대해서 중요한 입문 과정을 이수할 수 있었다. 그 동안에 그는 살면서 처음으로, 조그만 시골 마을의 기독교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가족의 삶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었다.

1864년 졸업을 한 후에 니체는 신학과 고대 철학을 본 대학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짧은 기간 동안, 그는 도이쎈과 함께 대학생 학우회(Burschenschaft Frankonia)의 구성원이 되었다. 한 학기 후에 어머니의 분노에도 불구하고 그는 신학 공부를 중단했고, 자신의 신앙도 상실하였다.[2] 그것은 아마도 그가 1835~1836년에 다비드 슈트라우스가 쓴 《예수의 생애》(Das Leben Jesu)란 책에서 그가 담당한 부분을 읽어나가던 중에, 그 책의 내용이 젊은 니체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생긴 일이었을 것이다.[3] 그 후 니체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츨 교수 밑에서 철학을 공부하는 데 집중하였고, 이듬해에 그는 리츨을 따라 라이프치히 대학으로 옮겼다. 거기서 그는 에르빈 로데와 친구가 되었다. 이 무렵 니체의 첫 철학 저서의 출판이 곧 이루어지게 된다.

철학공부와 군복무

1865년에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글들을 알게 되었고, 그는 1866년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랑게의 책, 《유물론의 역사와 그 현재적 의미에 대한 비판》(Geschichte des Materialismus und Kritik seiner Bedeutung in der Gegenwart)을 읽었다. 그는 두 사람의 저서 모두와 자극적인 만남을 가질 수 있었다. 그들의 저서는 니체가 그의 지평을, 철학을 넘어서는 영역까지 확장하도록 격려했으며, 그의 학업을 지속하게 하는 자극제가 되었다. 1867년 니체는 군에 자원하여 1867년 10월 군에 입대하였다.

그는 나움부르크에서 프로이센 포병으로 한 해 동안 복무하였다. 그러나 1868년 3월에 그는 말을 타다가 사고를 당해서, 가슴을 심하게 다쳤고 후송되었으나 군복무를 지속할 수 없었다.

바그너와의 만남

그 결과 니체는 장기간의 병가를 받고 그의 관심을 다시 그의 학업에 둘 수 있었고, 1868년 10월 라이프치히대학에서 공부를 계속했다. 그동안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접하였고, 고전문학자 에르빈 로데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학업을 끝낸 후 그 다음 해에 바그너와 처음으로 만났다.

바젤 대학교에서의 교수 생활 (1869–1879)

1869년 모습

바젤대학교 고전문헌학 교수

24살에 리츨의 도움으로, 스위스 바젤 대학교고전문헌학 교수에 취임하였다. 바젤 대학교에 들어선 이후, 그는 프로이센의 국적을 포기했으며, 죽는 순간까지도 공식적인 시민권이 없었다고 한다.[4] 하지만 그는 1870년에서 1871년까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활동했는데, 카우프만은 그가 군의관 활동 당시 매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어떤 이들은 니체가 미친 까닭이 매독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다시 바젤 대학교로 돌아오면서 그는 독일제국의 성립과 비스마르크의 등장을 보았다.

1871년 니체와 친구들-에르빈 로데, 칼 폰 게르도르프, 니체

강연

그는 대학교에서 취임 강의로 “호메로스와 고전문헌학”(Homer und die klassische Philologie) 을 연설했다. 그는 신학과 교수인 프란츠 오버베크와 어울렸으며, 그와 평생동안 친구로 지냈다. 당시 러시아 철학자였던 아프리칸 스피르,[5] 니체가 자주 강의를 들었던 동료 역사학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등도 니체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그는 여러 강연회에 연사로 다니며 강연활동을 하기도 했다.

바그너와의 만남과 결별

니체는 이미 1868년부터 음악가 리하르트 바그너와 만나기 시작했었는데, 그의 부인과 그에게 매우 감탄하곤 했다. 또한 바젤에 있을 당시 바그너는 니체와 매우 긴밀한 관계에 있었으며, 바이로이트 축제 극장에 초대하기도 했다. 이후 바그너의 뛰어난 제자의 한사람으로도 인정받았지만, 바그너가 점차 기독교화되고 〈파르지팔 Parsifal〉에서처럼 기독교적인 도덕주의 모티브를 많이 이용하고, 국수주의와 반유대주의에 빠지자 그와 결별했다.

박사학위

186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시험과 논문없이 출판된 저술들만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는 1872년에 《비극의 탄생》을 썼다. 하지만 리츨과 같은 니체의 동료들은 이 책에 대해 별로 열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저술

1873년1876년 사이에는 《반시대적 고찰》을 썼는데, 총 4편으로 《다비드 슈트라우스, 고백자와 저술가》, 《삶에 대한 역사의 공과》,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로 나뉜다. 네 편의 에세이는 쇼펜하우어바그너가 주장하는 대로, 독일 문화의 발전 노선에 도전하는 문화 비평의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1873년이 시작할 무렵, 니체는 또한 고대 그리스 비극에 나타난 철학 같이 사후에 출간된 기록을 점차로 모으고 있었다. 이 시기 동안 바그너와 그의 동료들 사이에서, 니체는 말비다 폰 메이센부르크와 한스 폰 뷔로우를 만났고, 1876년에 그에게 영향을 주어 그의 초기 저작에 나타난 비관주의를 해소시킨, 파울 리와 우정을 나누었다. 그러나 그는 1876년에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진부한 공연과 대중의 천박함에 혐오감을 느끼고 실망했기 때문에, 결국에는 바그너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

1878년 니체는 그 특유의 경구가 가득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을 출판하였다. 또한 니체는 쇼펜하우어와 바그너의 철학에서 이탈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즈음에 혼인을 하려 애쓰기도 했다. 1879년, 건강이 더욱 악화되면서 니체는 바젤 대학교의 교수직을 사임했다. 사실 그는 어릴 적부터 병치레가 잦았는데, 가끔 두통이나 복통을 겪기도 했다. 1868년에 낙마사고와, 1870년에 걸린 병 때문에 니체의 건강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보이며, 실제 바젤 대학교에서 휴가를 많이 갖기도 했다.

퇴직

1879년 이후 건강상의 악화와 자유로운 철학의 정립을 위해 35세에 바젤대학교를 퇴직하고,조용히 산 속으로 들어가 요양과 집필에 전념했다.

독립 철학자 생활 (1879–1888)과 죽음

35세에 바젤 대학교에서 퇴직한 이후 그는 강연도 그만두고, 병든 몸이 적응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유럽 각지[6]를 돌아다니면서 집필생활에 몰두하였다. 1881년, 프랑스튀니지를 점령했을 때, 튀니지로 여행하기로 마음먹는다. 하지만 이내 그 계획을 접고 만다.(건강에 대한 문제로 여행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7] 1889년 1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졸도한 후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생애의 마지막 10년을 보냈다. 니체는 정신병 발작을 일으킨 후 완전히 정신 상실자가 되었고, 이때부터 어머니와 함께 예나에서 거주했다. 어머니가 죽자 누이동생 엘리자베트가 니체를 바이마르로 옮겼고, 니체는 1900년 8월 25일 바이마르에서 죽었다. 니체가 죽자 엘리자베트는 고향 뢰켄의 아버지 묘 옆에 니체를 안장했다.[8]

철학

프리드리히 니체 (맨 오른쪽) 맨 왼쪽의 여자는 살로메

도덕비평

니체는 도덕을 주인의 도덕과 노예의 도덕으로 구분지었다. 니체에 따르면, 주인의 도덕은 지배가 계급의 도덕이며 이는 구체적으로 미래에 대한 확신과 미래에 대한 보증 그리고 창조력 등으로 구성된다. 노예의 도덕은 주인의 도덕과 달리 자연스럽지 않은 도덕이며, 노예들이 지배계급에 대해 품는 원한감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달리 말해서, 니체가 말하는 주인의 도덕은 단순히 자기 자신에게 '좋은지'(독일어 Gut) 혹은 '나쁜지'(독일어 Schlecht)를 구분짓는 자연스런 도덕이다. 그와 달리 노예의 도덕은 '선함'(독일어 Gut)'과 '악함'(독일어 Böse)을 기준으로 하며, 이는 도덕적/ 정언적/ 형이상학적 의미를 갖는다. 다시 말해, 도예의 도덕은 비현실적이며 이상적이다.

강자에게 선이란, '자기 자신에게 좋은 것'이며, 자신에게 활력을 주고 자신을 고양시키는 것이다. 강자에게 악이란, 나약하고 소심하며 순종적인 것이다. 강자는 자신에게 좋은 것을 '선'이라고 부르며, 자신에게 나쁜 것을 '악'이라고 부른다. 이런 맥락에서 강자는, 자신과 반대되는 특성을 지닌 나약한 인간들을 '악'이라고 이름붙인다.


약자의 도덕은 강자의 도덕과 정반대이다. 강자는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선'을 상정하지만, 약자는 먼저 '악'을 생각해낸다. 약자에게 '악'이란 자신을 지배하는 주인이다. 약자는 타인에게 지배당한다. 왜냐하면 그는 스스로를 지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자기 자신에게 명령하지 못하는 자는, 타인의 명령을 듣게 된다.-

그리하여 약자는 '자신을 억압하는 강자'를 우선적으로 '악'으로 상정한 이후에, 그와 반대되는 특성을 지닌 '자기 자신(약자)'를 '선'으로 상정한다. 그리하여 약자의 도덕에서는 '주인에게 복수하지 못하는 무력감'이, '자발적인 용서'로 둔갑하게 된다. 다시 말해, 노예의 도덕에서는 노예의 무력감이 미덕으로 코스프레한다. 나약한 인간이 생각하는 '악'이란, 강자의 특성인데, 구체적으로는 미래를 확증하는 강한 의지, 도전정신, 활력 등이다.

주인의 도덕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에서 출발하지만, 노예의 도덕은 타인에 대한 원한에서 비롯된다.

기독교 비판

니체는 기독교의 기원을 까발리면서 기독교적 가치들을 공격한다. 

니체는 기독교의 기원을 자신의 몇몇 서적에서 암시하곤 한다. 예를 들면 <우상의 황혼> 서문에서, 니체는 기독교를 가리켜, "기독교는 대중을 위한 플라톤 사상에 불과하다"라고 서술한다. <도덕의 계보>에서는 노예도덕(기독교)의 기원을 파헤쳐보려 시도하기도 한다. 처음에 니체는 스스로를 문헌학자로 인식하면서 위조된 서적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 다음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날조된 가치들(기독교적 가치들)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한다.

니체에 따르면 진정한 기독교인은 예수 단 한명에 불과한데, 그는 심리적 상태로서의 천국(붓다가 말한 열반 개념과 유사)을 설했다. 다시 말해, 니체에 따르면 예수는 저편세계(천국, 저승, 이데아계, 이상세계, 노동자 천국 등)를 말하지 않았으며, 지금-여기에서의 구원을 말했다. 
그런데 바울이 등장해서 제도적 기독교를 만들었고 모든 것을 망쳐버렸다. 니체가 보기에 사도 바울은 저편세계라는 개념을 도입한 '복수의 사도'이며 -무엇에 대한 복수인가? 삶 그 자체에 대한 복수-, '간질병 환자'이기도 하다 ("내 몸에 있는 사탄의 가시로 인하여" -고린도 전서(?)-, "환상을 보았는데, ..." -사도행전-)  
뿐만 아니라 기독교를 이론적으로 공고히 한 최고의 교부, 아우구스티누스를 냉정하게 비판한다. 

"기독교는 자신의 모범을 플라톤의 조잡한 모방으로부터 주조해내었다." -니체-

니체에 따르면 기독교란 노예민족인 유대인들이 만들어낸 도덕체계인데, 원한감정으로 점철되어 있다.

"유대인은 항상 화내는 자신의 선지자들을 보고 그 모습에서부터 분노하는 신을 만들어내었다." "유대인에 비하면 우리 가운데 가장 화를 잘 내는 유럽인조차도 얼간이에 불과하다."

노예의 가치가 지배민족인 로마인의 가치를 뒤엎었다.

"유럽은 커다란 동물원이었다. 이제 유럽은 커다란 정신병원이 되어버렸다." -<도덕의 계보>-

힘에의 의지와 초인 사상 (Wille zur Macht und Übermensch)

니체는 존재가 자신의 존립과 완성을 위해 힘을 내기를 의지하는 것을 힘,권력에의 의지라고 하였다. 여기서 니체는 인간의 힘에의 의지는 일종의 '무의식'으로도 보았는데, 상황에 따라 일관적이지 않고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숨기는 것은 인간이 살아남기 위한 힘에의 의지로 보았다. 또한, 진리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도 힘에의 의지로 보았는데, 이는 인간은 진리를 통해 변화무쌍한 자연을 예측가능하게 만들어 변화무쌍한 자연에 대응하고자 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니체는 도덕을 지배자들이 민중, 피지배자를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봤다. 니체는 강요된 도덕, 노예의 도덕에 머무러지 말고 인간 본연의 모습을 찾고,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발현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그는 이런 이상적인 사람을 '초인' 또는 '초인간'(Übermensch)이라고 불렀는데, 이 초인이 인류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인종차별주의자였던 그의 여동생 엘리자베스에게 다르게 해석되어 정치적으로 악용되기도 하였다.

니체는 인간이 초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3가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비유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는 낙타의 모습이다. 낙타는 순종적이다. 타자의 짐을 잔뜩 싣고 뜨거운 사막을 건너면서 불평한마디 하지 않는다. 언제나 친절하다. 그러나 낙타는 수동적이다. 그리하여 낙타는 사자가 되어야 한다. 사자는 공격할 줄 안다. 자율적인 행동을 한다. 이빨을 드러내고 으르렁거릴 줄 안다.그러나 사자는 용감하나 지혜가 없고 자유롭지만 온전하지 못하다. 이윽고 사자는 어린아이가 된다. 아이는 언제나 해맑고 기발하며 한없이 자유롭다.가치 창조가 가능한 존재다. 이 창조적 어린아이야말로 니체가 말한 초인간의 한 전형이다.

허무주의 (Nihilism)

니체는 전근대적 문명의 유지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였으며, 답은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사회는 나날이 안정적으로 변하고 문명은 더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더욱 권태로워진다. 점점더 말초적인 쾌락을 원하고 문화는 타락해간다. 니체는 이러한 현상이 허무주의(니힐리즘)을 불러온다고 말했다. 또한 니힐리즘과 동시에 냉소주의, 반도덕주의적인 현상도 나타날 것을 예고하였다. 니체는 당시의 유럽 사회가 이미 수명이 다한 낡은 봉건주의잔재와 기독교적 가치관, 도덕주의, 위선적 엄숙주의적 가치관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목표를 잃고 방황한다고 보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사회는 필연적으로 허무주의냉소주의로 흐르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그는 새로운 사회를 요구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초인 중심의 사회였다. 그는 2000년 동안 세계를 지배해온 기독교사상과 도덕주의에 의해 지배되어온 유럽 문명의 몰락과 니힐리즘, 냉소주의의 출현, 확산을 예고하였다.

신은 죽었다

니체가 말한 은 죽었다의 깊은 의미는 그의 철학사상 전반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드러난다. 니체는 소위 '망치의 철학자'로 일컬어지듯 합리적 근대성마저 해체하고 완전히 새로운 철학을 제시했다. 데카르트 이후 근대성은 이성에 다름 아니다.이성은 중세의 막강한 절대 신성을 부정하면서 탄생했다. 또한 종교도덕의 이름으로 과학 문명을 부정하는 것 역시 극복의 대상으로 지적했다.

사람들은 최고의 가치와 이상 목표를 잃고, 몰개성화·획일화되어가며 개성을 상실하지만 이미 세계의 통일을 기할 수 없게 되었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왜소화(矮小化) 되고 소극적이며 노예화하여 대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개인의 자유의지 보다는 대중의 목소리, 집단의 힘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근대의 극복을 위해 그는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고, 맹목적 도덕주의는 위선이라 생각했다. 피안적, 추상적인 것, 정신적인 것을 대신하여 차안적(此岸的)·지상적인 것을, 현실적인 것을 지향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즉 힘에의 의지를 본질로 하는 생을 주장하는 니힐리즘과 합리주의, 개인주의의 실현을 통해 부조리를 해소하고, 모든 것의 가치전환을 시도하려 하였다.

"그러니까, 신의 죽음은 17,18세기에 이미 끝난 문제였다. 아니,어쩜 2500년 전 철학의 시작과 함께 끝난 것인지도 모른다.탈레스등의 자연철학은 유물론이 아니던가."

이것이 중세 암흑기에 잠복해 있다 르네상스기에 부활해서 신은 다시 부정되고 과학혁명과 더불어 '신의 죽음'은 기정사실화 되고만다. 따라서 근대,근대성은 신의 죽음으로 신본주의가 가고 인본주의 즉 인간이성의 시대를 연 것이다. 그런데 니체는 느닷없이 이미 죽은 신을 또 죽었다고 외치지 않을 수 없었다. 철학자인 니체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여기에는 3가지 정도의 이유가 있다고 봐야한다.

1〉프랑스혁명의 성공으로 성직자는 대부분 축출되고 신은 정교분리와 함께 사라져갔지만 사회적으로 민중속에는 여전히 종교적 습속과 문화,양식이 잔존해 있었기에 니체는 이의 철폐를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다.물론 정치적으로도 종교는 가장 용이한 통치수단으로 계속 기능했다. 이는 니체가 보기에 기독교가 계속해서 힘센 강자(주인)의 도덕을 부정하고 순종, 겸손 등 소극적인 것을 미덕으로 하는 약한 자(노예)의 도덕을 강조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병들고 약한 자를 사랑해야 한다는 기독교는 그의 철학에 있어 적대적이었다. 게다가 그가 보기에 기독교는 약하고 저열한 것들의 기준에 맞추어 인류를 타락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말로 기독교를 비판했으며, 강한 자의 도덕을 갖춘 초인이 사회를 이끌어 가야 한다고 보았다.철학적으로는 논쟁거리도 안 되는 신의 위상이 정치,사회를 옭아매고 세상을 기만하기까지 하는 현실에 니체는 분노했던 것이다.

2〉 근대사회는 신의 사망선고를 내리는 것으로 시작했지만,갑자기 신이 없는 인간의 삶은 공허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동시에 인간의 오만은 하늘을 찌르고도 남았다.그래서 인간 이성은 신격화되고 신의 자리를 차지하고 만다.이성이 신으로 둔갑하는 순간이다. 신성은 완전성이고 그를 대신한 이성도 역시 완전성을 고집하고 강변한다.이성의 산물도 다 완전무결해서 일반 민중은 다시 이성의 노예로 전락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바로 법과 제도라는 것에. 그런데 과연 이것이 완벽할 수있을까.어림도 없는 일이다.이성이 완벽할 수 없는 것이니 악법이 생길 수밖에 없고 그럼에도 대중은 법에 대한 무조건적 복종을 강요받게 되니,니체의 신의 사망 선언은 근대성,즉 신이 되어버린 부조리한 이성신의 죽음을 말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인간이성이 결코 신이 될 수 없는데 신 노릇을 해 왔기에 니체는 과감히 이성의 사망을 선고했다. 이성에는 과학성도 있는 데,과학의 폐해는 오늘날 그 정도의 심각성이 입증됐고 니체는 이마저도 비판함으로써 선견지명을 드러냈다. 이후,푸코는 지식,이성과 권력의 관계를 더 세밀히 규명해 니체를 높이 추앙했는데,이미 이성은 정치권력의 가장 충실한 종이 되었다.이런 이성을 해체하지 않고는 새로운 철학과 도덕은 기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

3〉 근대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지금도 미신과 맹신이 지배하지만 니체시대에도 미신이 판을 쳤다.마르크스가 이미 물신이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물질과 돈이 신을 대신해서 세상을 지배한다고 비판했지만,니체도 여러가지 잡신,미신,물신이 좌지우지하는 사회를 봐줄 수가 없었다.이의 부정도 당연히 포함된다.- 이상,니체가 말한 신의 죽음은 다양한 뜻을 지니고 있다고 여겨지며,오늘날 철학에서 니체가 인정을 받는 것은 아직도 이성의 시대임을 자칭하면서도 참된 이성은 사라지고 여전히 비과학성과 악법 및 미신,맹신,인격신이 지배하는 것에 지탄하고 세상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의 발로가 아닐까 하지만,반대로 니체를 곡해해서 허무주의와 극단적 상대주의로 흐르는 면이 없지 않다.니체는 잘못 된 근대적 이성을 파괴만 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성의 복원을 갈구한 낙천적인 미래의 창조자였다는 것을 놓쳐서는 안 되는 이유다.[9]

바이마르의 니체 도서관

예술 이론

비극의 탄생

니체 미학의 고대적 발판. 음악 정신에서 태어난 비극의 탄생의 결정적 새로움은 한 편으로는 그리스 인들에게서 발견되는 "디오니소스적 현상"에 대한 이해이고, 다른 한 편으로는 "소크라테스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었다. 이 책에서 무엇보다도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통한 "비극의 탄생"과 "소크라테스적인 것"을 통한 "비극의 죽음"에 니체의 마음이 쏠렸다. 니체에게 소크라테스는 기독교 종교의 예비자를 구현하고 있었으며, 그에 반해서 디오니소스는 "반(反)그리스도"이고 "예술가 신"이다. 니체는 비극의 탄생에서 "선악을 넘어선" 염세주의와 비도덕적인 디오니소스 신의 "예술-종교"를 통해서, 간단하게 말해서 현존재가 예술적 현상으로서만 정당화되어서 나타나는 "예술가-형이상학"을 통해서 소크라테스에 의해서 구현된 현존재에 대한 도덕적 해석에 반대했다. 소크라테스는 아폴로적 명징성과 유쾌함, "지식의 빛"과 자아 인식의 인간적 구현이다. 그에 반해서 디오니소스는 "바쿠스적 소동과 춤"의 "어두운 심연", "사랑의 도취에서 생긴 자아망각"을 대표한다.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니체 미학의 두 가지 근본적 범주이다. 헤라클레이토스적 의미에서 조화롭게 대립된 두 예술 충동의 "접합"의 결과물이 니체에게는 단지 아테네 비극의 탄생만이 아니라, 예술 전체의 탄생이다. 첫 작품에서도 비극적-디오니소스적 상태인 "미학적 상태"의 특징과 아폴로적인 것이 지닌 소크라테스주의와의 친근성은 이미 후기 니체의 저서에서 점점 강하게 드러나는 아폴로적인 것에 대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우세를 인식하도록 만든다. 그 점과 연관된 디오니소스적 특성이 니체 미학이 지닌 독특한 새로움이다. 그것은 대립된 개념이고, 그것을 통해서 초기 니체는 반 고전주의적 미학의 전령이 되고 후기 니체는 영원 회귀의 반(反)기독교적 예술-종교의 선생님이 된다. 니체에게는 예술 신의 전형이 된 "아폴로적 디오니소스"는 디오니소스 자그레우스이다. 그의 정신으로부터 비극이 탄생했다. 그는 비극의 탄생 속에서만이 아니라 비극적 후기 철학의 핵심 인물이다. 거인족에 의해서 갈가리 찢긴 디오니소스가 아폴로에 의해서 다시 맞추어지는 이야기가 들어있는 오르페우스교의 자그레우스 신화는 니체에게는 비극의 신비적 가르침이다. 그는 비극적 신화 그 자체이다. 이런 토양 속에서만 니체의 미래 미학이 성장하고, 젊은 니체의 예술가-형이상학이 자라난 것은 아니다. 신들의 황혼을 쓰는 후기 니체, 디오니소스의 최후의 제자도 결국 이 토대 위에 다시 서게 된다. 니체는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누스, 크로이처와 라살을 통해서 오르페우스교 자그레우스 신화를 알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아폴로적-디오니소스적"이라는 유명한 대립 쌍이 결코 니체가 만들어낸 말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한다. 니체는 크로이처, 라살, 미슐레 그리고 포이어바흐 등등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소화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자신의 독자적 미학 이론을 만들어냈다. 음악의 디오니소스적 정신에서 태어난 "비극의 탄생"이라는 환영 속에서 결정적인 것은 예술가, 예술 수용자 그리고 예술 작품의 분리를 해체하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이 화해한 축제를 기리는" 그리스 디오니소스 축제의 모습 속에는 생산자와 소비자 혹은 생산자와 생산품의 분리가 들어설 자리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스 음악극의 탄생 시기에 대한 중요한 근본 경험으로부터 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면서 니체는 하나의 발전을 미리 보게 된다. 그러한 발전은 전래의 "예술 작품의 예술", 즉 개인적 예술가들의 예술 작품으로부터 바그너가 생각한 의미에서의 "종합예술"인 "축제극"으로 사람들을 이끌고, 바그너에 대해서 점점 거리감을 갖게 되는 것과 동시에 최종적 단계에서 세상을 보편적 예술 작품으로 보는 미학적 관찰로 이끈다. 바이로이트의 "축제극"에서 진정한 종합 예술작품인 "세계극"이 생겨난다. 더 이상 예술 작품은 하나의 세계가 아니다, 오히려 세계가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관찰된다. "모든 것이 유희다", "모든 것이 예술이다". "정오", 아폴로적 디오니소스가 현현하는 순간에는 모든 것이 아름답고 선한 것으로 드러난다. 완벽하게 되고 미학적으로 정당화된 세계는 스스로를 잉태하는 예술작품으로 나타난다.

차라투스트라

미학적 현현으로서의 영원 회귀. "영원 회귀"라는 생각은 차라투스트라의 기본 생각이고 니체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생각"이다. 영원한 회귀는 오직 순간으로부터만 이해될 수 있다. "목표 없는 시간"이라는 무시무시한 순간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삶의 본래의 임무를 경험한다. 영원한 회귀의 신적인 순간은 미학적, 즉 비극적-디오니소스적 상태의 순간이다. 이 상태는 현존재에 대한 긍정(아모르 파티)이 이루어지는 최상의 상태이고, 그 상태 속에서 허무주의, 인간과 모든 현존재의 과잉이 극복된다. 비극적-디오니소스적 상태는 가장 작고 보잘것없는 것의 회귀일지라도 영원 회귀에 대한 생각이 받아들여지는 상태이다. 최상의 세계 완성의 순간, 니체가 에머슨의 말을 빌어서 말하는 것처럼, 세상이 완벽하게 되는 "갑작스런 영원"의 신적 순간, 웃는 신 디오니소스가 춤을 추면서 우리 몸을 관통해 지나가는 디오니소스적 순간은 세상을 미학적 현상으로 영원히 정당화하는 순간이다. 이런 경험, "완벽한 정오"의 가장 고요한 시간에 일어나는 밝은 대낮의 "신비스러운 직관"으로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의 기본 생각이기도 한 자신의 철학하기의 원래 목적과 기본 경험을 분명하게 말한다. 미(美) 속에서 모순들은 억제된다. 그것은 서로 모순 되는 것을 지배하는 힘의 최고 표식이다. 갑작스런 영원 회귀의 순간인 미의 디오니소스적 순간 속에서 지나간 것과 미래의 것의 충동과 공존의 경험이 현재의 순간에서 이루어진다. 영원이 시간이 되고, 시간이 영원이 된다. 이 순간에 시간은 갑작스런 영원의 정오-순간으로 지양된다. 차라투스트라는 초인의 지위에서부터 회귀를 가르친다. 초인은 "위대한 회귀의 년도"에 세상의 심연을 보고 견디어 낸 순간에 자신을 넘어서고, 비극적-디오니소스적 상태에서 자아를 잊어버리는 초개인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이다. 초인은 "영원의 샘물" 속으로 순간의 번갯불을 던지는 사람이다. 초인은 그림자가 가장 짧아지는 순간에 영원 회귀의 "정오의 심연" 속으로 떨어지는 번갯불이다. 영원 회귀의 순간은 아폴로적 디오니소스, 즉 비도덕적인 예술가 신 디오니소스 자그레우스가 미학적으로 현현하는 순간이다. 니체의 예술가 복음을 따르자면 종교가 아니라, 예술이 삶의 "형이상학적 활동"이다. 예술, 가장 "커다란 삶의 자극"이 영원 회귀 철학의 기관이다. 니체의 영원 회귀의 기본 이론은 예술의 형이상학이고, 반(反)그리스도적 예술-종교이고, "예술가-형이상학"이다.

예술로써의 권력 의지

사람들이 "권력 의지"라는 마술적 공식을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애를 쓴지도 이미 100년이 훨씬 더 지났다. 1901년 부분적으로는 오늘날에도 규범적인, 세기적인 니체 유고의 편집 본이 권력 의지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사람들은 이 책을 오랫동안 니체의 주요 저작으로 잘못 간주했다. 오래 전에 표어가 되어버린 그리고 정치적으로 잘못 해석된 권력(쟁취) 의지 이론은 실제로는 결코 실행되지 못했던 니체의 계획을 표시한다. 그 계획은 니체의 미학 이론에도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쇼펜하우어와는 대조적으로 니체는 자유 의지를 "파국적인 철학자들의 고안물"로 비판하고 여러 번 "어떤 의지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되풀이해서 말한다. 다른 한 편으로 그는 권력 의지를 "세상의 정수", "존재의 가장 내밀한 본질"로 고찰한다. 그것은 권력 의지가 욕구가 없는 의지, 즉 원하는 자아가 없는 의지일 경우에만 서로 일치한다. 니체는 권력 의지라는 생각으로 분명 "나는 원한다."라는 문장에서 스스로를 표현하는 것처럼 (힘이 넘치는 초인)의 개인적 의지라는 생각을 뛰어넘는다. 이것은 특별히 차라투스트라의 첫 연설("세 가지 변신에 대해서")에서 분명해진다. 정신이 낙타가 되고 난 다음에, "너는 해야만 한다."는 명령이 낙타에게 내려진다. 정신이 사자가 되었을 때, 사자의 정신은 말한다. "나는 원한다."고. 하지만 궁극적으로 정신은 아이가 되어야만 한다. 이것이 정신의 세 번째이고 가장 심오한 변화이다, 그 변화 속에서 기독교적 도덕 "너는 해야만 한다."는 말 뿐만 아니라, 영웅적인 "나는 원한다."는 말도 아이의 순진함, 창조의 유희 속에서 "성스러운 긍정"을 얻기 위해서 극복되어져야만 한다. 초인은 "금발의 야수"가 아니라, 사자의 정신과 "나는 원한다."는 것을 극복하는 인간이다, 그의 정신은 아이가 된다. 3번째 정신의 변화 후에 생기는 욕구 없는 의지를 지니고, 자아를 잊어버린 주체의 고대적 모범은 헤라클레이토스 단편 B52에 나오는 유희하는 아이다. 이 단편에서 삶의 유희 혹은 세계-시간, 즉 아이온Aion은 유희하는 아이로 묘사된다. 그리고 헤라클레이토스의 유희하는 아이는 정신의 세 번째 변화 후에 생기는 니체의 유희하는 아이의 선행 인물이다. 즉 그 아이는 초인의 선행 인물인 것이다. 이 단편과 니체가 자신의 생각 속에 재해석한 것은 접합점으로 드러나고, 그 속에서 비극의 탄생을 쓴 초기 니체로부터 차라투스트라를 쓴 후기 니체로 이끌고 영원 회귀와 권력 의지라는 두 개의 어려운 생각을 결합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여러 개의 결합선이 모여 있다. 니체가 헤라클레이토스를 해석한 것 속에 나타나는 세계-시간의 “위대한 년도”인 아이온은 영원 회귀가 신적 형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세계-아이인 아이온이 벌이는 세계-놀이가 지닌 이름이 권력 의지이다. 아이온의 목적 없는 유희 속에서는 욕구 없는 의지가 지배하며, 아이온은 권력 의지의 신적 의인화이다. 권력 의지와 영원 회귀는 동일한 아이온의 서로 다른 두 얼굴이다. 한 편으로는 아폴로적 디오니소스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우스의 특징들을 지니고 있는 아이온이 니체의 비극적 후기 철학에서 예술로서의 영원 회귀와 권력 의지의 예술가-형이상학을 주관하는 신으로 합쳐진다.

미학사적 문맥

미학 이론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사실, 니체가 고전 문헌 학자였다는 사실은 고대의 밑바닥에서부터 그가 신랄하게 비판한 현대의 꼭대기로 곧장 도약을 하게 된 한 가지 원인일 수도 있다. 이 같은 도약은 특히 니체의 미학적 성찰을 두드러지게 만들었다. 니체의 말을 따르면 우리는 그리스인들로부터 먼저 우리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다. 비극의 탄생에서 그는 모든 예술이 내적으로 그리스인들에게 의존되어 있는 상태를 강조한다. 그는 예술과 관련된 분야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그리스인들을 "우리 문하의 최고의 스승"으로 칭찬한다. 기독교 신은 죽었고 그와 함께 형이상학도 죽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형이상학 이전의 시대에서, 즉 비극적 그리스인들의 시대에 있던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으로 되돌아가야만 한다. 니체의 철학적 고생물학은 고대 토양의 점진적 재획득,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산재된 사유들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니체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에서 그보다 앞서 살았던 헤겔처럼 단순하게 임시적인 것을 본 것이 아니라, 니체보다 나중에 살았던 하이데거처럼 모범적인 것을 보았다. 니체의 퇴행은 다름아니라 진보이다. 니체는 플라톤 이전-형이상학 이전의 철학으로 자신이 되돌아간 것을 미래 미학으로 도약을 하기 위한 도움닫기로 이해를 한다("미래의 시간은 나의 것이 될 것이다"). 그는 비극 책이 쓰이던 시기에 미래의 미학이 바그너의 작품 속에서 미리 구현된 것으로 보았다. 그와 반대로 그는 나중에 자신이 꿈꾸었던 비극의 탄생을 바그너 음악 정신에서 태어난 사산(死産)으로 인식을 해야만 했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신전을 발굴한 것과 헤라클레이토스의 비극적 철학의 재생을 위한 니체의 의지는 포스트모더니즘 미학 이론의 서곡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별히 초기 형이상학 시기의 헤라클레이토스의 통찰력에 기반을 두고 있는 미학적 "세계-유희"로서의 "삶의 유희", 대립되는 것의 조화와 추한 것 속에도 존재하는 미의 편재성에 대해서 느낀 경험을 통해서 니체는 후기형이상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의 위대한 선조가 되었다. 그것으로써 니체가 동시적으로 보여주는 소크라테스 이전과 이후의 특징Nachvorsokratismus은 동시에 존재하는 모더니즘 이전과 이후의 특징Vorpostmodernismus이기도 하다.

평가

생전에는 학계로부터 철저히 무시당했으며 종교계도덕주의자들로부터 혹독한 비판을 받았으며 사회를 타락시킨다는 악의성 비방과 음해에 시달렸으나, 사망 이후 유럽의 철학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철학자의 한 사람으로 인정되고 있다.

니체의 사상은 매우 파격적이고 충격적이기 때문에 엄청난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실제 그를 평하는 데 있어서도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리는 때도 많은데, 일부 기독교 신자들은 맹렬한 비판을 하며, 어떤 철학자들은 니체를 천재적인 철학자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그가 현대 철학사(특히 포스트모더니즘)에 끼친 영향이 절대적이었다는 것이다. 니체는 프로이트마르크스 등과 함께 현대 철학을 뒤흔든 철학자로 인정받는다.

흔히 니체를 나치즘과 반유대주의, 인종차별주의의 시초라고 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이런 말이 나온 것은 인종차별주의자였던 여동생 엘리자베스가 니체의 저서들을 왜곡했기 때문이다.[10] 엘리자베스는 흩어졌던 그의 저서들을 모아 일종의 보관서까지 열었으며, 미쳐 있던 니체에게 흰 사제복을 입혀 전시하기도 했다. 게다가 엘리자베스는 히틀러에게 '니체의 초인이란 당신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1961년 《니체》를 출간한 이후 달리 평가되어 오늘날 니체에 대한 오해는 거의 해결되었다. 그리고 실제 니체는 오히려 자국인 독일을 매우 싫어했고 민족주의 또한 매우 혐오했다고 한다.[11]

수용

니체 자신은 자신의 저서에 대한 반응을 갈망했지만 허사였다. 정신착란에 걸리기 직전에 현재까지도 그치지 않고 지속되는 니체 수용이 시작되었다. "시인 철학자", 그에게는 철학이 학문 이론보다는 삶의 지혜와 더 많은 관련을 지닌 것이었다, 저서의 철학적인 내용을 통해서뿐만 아니고, 부분적으로는 시적 예언자적 양식을 통해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삶의 양식을 통해서도 니체는 하이데거와 야스퍼스, 샤르트르 그리고 카뮈 같은 철학자들, 프로이트와 융과 같은 심리학자, 슈펭글러와 슈타이너와 같은 비밀스런 종교의 스승, 벤, 게오르게, 지드, 헤세, 호프만슈탈, 말로, 하인리히 만과 토마스 만, 모르겐슈타인, 무질, 오닐, 릴케, 쇼, 예이츠 등등의 시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20세기-예를 들면 조형 예술에서 "발견한 대상"(뒤샹)의 경우에 드러나는 "작품의 부재"와 같은 현상으로 특징지어지는-가 시작되기 직전에 니체는 현재의 대부분의 미학 이론 보다 20세기 예술 정신을 생각으로 포착하고 드러내는 것에 더 많은 기여를 했다. 쉽게 오해할 수 있는 “초인”과 “권력의지”라는 핵심 개념과 도발적인 문장 때문에 보이믈러의 해석에 나타나는 것처럼 최초의 나치로 쉽게 오해받았던 니체가 특별히 동구권에서는 오랫동안 파시즘의 예비자와 "파시즘 미학의 선구자"로 배척을 받고 난 이후에, 그는 현재 그 곳에서, 특히 구동독 지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니체의 전 저작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편집한 콜리와 몬티나리의 대단한 작업은 오래 전부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우리 시대에까지도 지속되는 (특히 바티모의 경우에 관찰할 수 있는) 지적 반향의 표시이다. "세계의 유희에 대한 미학적 기본 지각"을 지닌 니체의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의 "예술가-형이상학"의 수용은 프랑스에서는 오늘날까지 중단되지 않은 채 유지되고 있다(데리다, 들뢰즈, 푸고 참조). 카우프만의 니체 연구 이후로 미국에서도 니체에 대한 연구는 강화되었다(단토와 로티 참조). 동아시아에서 니체는 하이데거와 더불어 현재 가장 많이 수용된 독일 철학자이다. 기존 종교에 적대적이고 공격적이었던 니체가 현재까지도 인정을 받는 것은 개인주의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니체의 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던 '초인'의 개념이 개인이 갖추어야 할 하나의 이상이 되면서 니체 철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헀다고 볼 수 있다.

저작

니체의 초기 저작은 《비극의 탄생》이며, 중기저작으로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서광》, 《즐거운 학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있으며, 정신병 발병 직전인 1888년에는 《우상의 황혼》, 《반그리스도》, 《도덕의 계보》, 《이 사람을 보라》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 1872년 : 《비극의 탄생》(Die Geburt der Tragödie)
  • 1873~6년 : 《반시대적 고찰》(Unzeitgemässe Betrachtungen)
    • 1873년 : 1부 〈다비드 슈트라우스, 고백자와 저술가〉(David Strauss: der Bekenner und der Schriftsteller)
    • 1874년 : 2부 〈삶에 대한 역사의 공과〉(Vom Nutzen und Nachtheil der Historie für das Leben)
    • 1874년 : 3부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Schopenhauer als Erzieher)
    • 1876년 : 4부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in Bayreuth)
    • 1878~9년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Menschliches, Allzumenschliches)
  • 1881년 : 《아침놀》(Morgenröte)
  • 1882년 : 《즐거운 학문》(Die fröhliche Wissenschaft)
  • 1883~5년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
    • 1883년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 2부
    • 1884년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3부
    • 1885년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4부 (비공개 출판)
  • 1886년 : 《선악의 저편》(Jenseits von Gut und Böse); 《비극의 탄생》,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아침놀》 개정판 서문
  • 1887년 : 《즐거운 학문》 개정판 서문; 《도덕의 계보》(Zur Genealogie der Moral)
  • 1888년 : 《바그너의 경우》(Der Fall Wagner), 《우상의 황혼》(Götzen-Dämmerung), 《안티크리스트》(Der Antichrist),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 《디오니소스 송가》(Dionysos-Dithyramben), 《니체 대 바그너》(Nietzsche contra Wagner)

니체 저작의 판본

니체가 쓰러진 뒤

1889년 1월 이탈리아 토리노의 길거리를 산책하던 중 갑작스럽게 쓰러졌다. 일설에는 이 무렵 그가 정신적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한다.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1888 ~ 89년 해가 바뀔 무렵 정신적 암흑에 빠졌다. 그의 저작들은 정본이라 할 만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부분적으로 예전 저작들은 여러 출판사에서 여러 판본으로 나와 있었으나, 두 저작은 — 니체가 잘못된 곳들을 지적한 가운데 — 인쇄작업이 진행 중이었고, 아울러 인쇄되지 않은 자료들이 다양한 마무리 수준 상태로 존재했다. 이 인쇄되지 않은 자료는 프란츠 오버베크([[Franz Overbeck|Franz Overbeck]])가 하인리히 쾨젤리츠([[Heinrich Köselitz|Heinrich Köselitz]])(페터 가스트(Peter Gast))와 협의하여 처음으로 수집했다. 이들은 또한 니체의 최종 출판업자인 콘스탄틴 게오르크 나우만(Constantin Georg Naumann)과 함께 계속적인 출판작업을 두고 논의했다. 그리고 1890년 말에 처음으로 파라과이에서 귀향한 니체의 누이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Elisabeth Förster-Nietzsche|Elisabeth Förster-Nietzsche]])가 가족을 대표하여 논의에 참견했다. 그간에 니체 저술의 판매고가 올랐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되겠다. 1892년 초에 처음으로 전집판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이 전집판은 나우만 출판사에서 간행되었으며, 쾨젤리츠가 이를 담당했다.

사후

니체는 도구적 이성주의, 자유주의, 반유대주의를 부정하였고, 파시즘,자본주의,공산주의,전체주의 등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니체는 사후 게오르크 헤겔과 함께 아돌프 히틀러파시즘의 상징적 존재로 악용되었다. 니체의 이름이 아돌프 히틀러파시즘과 연결된 것은 그의 사후 그의 누이 엘리자베드 때문이었다. 엘리자베드는 대표적인 쇼비니스트이자 광적인 국수주의자이며 반유대주의자였던 베른하르트 푀르스터와 결혼하였다. 그러나 1889년 푀르스터가 자살한 뒤 니체를 푀르스터의 이미지로 개조하려 했고, 이무렵 니체는 극도의 심신쇄약에 시달릴 무렵이었다. 니체 사후 엘리자베드는 니체를 푀르스터의 이미지로 개조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와 한편으로 니체의 작품들을 무자비하게 통제하고 파괴하려 하였다.[12] 그러다가 히틀러가 니체의 저작에 관심을 보이고, 시중에서 니체의 사상이 유행하게 되자 탐욕에 사로잡혔던 그의 누이는 니체의 버려진 글들을 모아 〈권력에의 의지 Der Wille zur Macht〉(1901) 등을 출간했다. 엘리자베드는 히틀러의 열렬한 지지자이기도 했는데, 히틀러의 니체 추종 보다는 히틀러에 대한 그녀의 열렬한 지지 때문에 대중은 니체를 히틀러와 연결짓게 되었다.

1930년 저작권 보호기간의 만료

1930년, 니체의 저작권 보호기간이 만료되었다.

작곡

니체는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13세 무렵부터 20세 무렵에 걸쳐 가곡과 피아노곡을 작곡했다. 그 후 작곡하는 일은 없게 되었지만, 바그너와의 만남을 통해 자극을 받고, 바젤 시절에 몇 개의 곡을 남겼다. 작풍은 전기 낭만파적으로, 슈베르트슈만을 연상케 한다. 그가 후에 전혀 작곡을 하지 않게 된 것은 본업으로 바쁘게 보냈다고 하는 이유 외에, 자신의 작품인 《맨프레드 명상곡》을 한스 폰 뷰로에게 혹평 받은 것이 이유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니체가 작곡가로서 인식되는 일은 전무하지만, 저명한 철학자가 작곡한 작품이라는 이유로 일부 연주가가 녹음하게 되었고, 서서히 그의 '작곡도 하는 철학자'로서의 측면이 밝혀지고 있다. 그의 작품은 모두 가곡이나 피아노곡이지만, 2인 연탄곡 작품 중에는 《맨프레드 명상곡(Manfred-Meditation)》 교향시 《에르마나리히(Ermanarich)》 등, 오케스트라를 염두에 두고 쓰여졌을 것이라 여겨지는 작품도 있다. 또, 오페라의 스케치를 남기고 있는데, 2007년에 지크프리트 마트스가 그의 스케치를 골자로 한 오페라 《코지마(Cosima)》를 작곡했다.

저서

  • 《반시대적 고찰》(1873~1876)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1883∼1885)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1878~1880)

같이 보기

관련 서적

  • 들어라 위대한 인간의 조용한 외침을 (청하, 1982)
  • 안티 크리스트 (이너북, 2005)
  • 어떻게 살 것인가 (해누리기획, 2005)
  • Friedrich Nietzsche - Selected Writings (Essential Thinkers) (Collector's Library, 2005)
  • 니체의 숲으로 가다:니체의 사랑과 고뇌, 그리고 인간과 삶에 대한 열정! (지훈, 2004)
  • 신은 죽었다 (휘닉스, 2004)
  • 아침놀 (책세상, 2004)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장희창 역, 민음사, 2004)
  • 언어의 기원에 관하여 외 (책세상, 2003)
  •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 (북스토리, 2003)
  • 니체의 고독한 방황 (범우사, 2002)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2)
  • 디오니소스 찬가 (민음사, 2000)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0)
  •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 선악의 피안 (민성사, 2000)
  • 니체 최후의 고백 (작가정신, 1999)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청하출판사, 1999)
  • 비극적 사유의 탄생 (문예출판사, 1997)
  • 비극의 탄생 (홍신문화사, 1996)
  • 비극의 탄생 (범우사, 1995)
  • 우상의 황혼 반 그리스도 (청하출판사, 1984)
  • 서광 (청하, 1983)
  • 도덕의 계보, 이 사람을 보라 (청하출판사, 1982)
  • 선악을 넘어서 (청하, 1982)

한국어로 된 참고 문헌

  • 고병권, 《니체의 위험한 책,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2003,그린비
  • 백승용: 니체 "우상의 황혼", 서울(서울대학교철학연구소) 2006.
  • 카를 뢰비트, 강학철 옮김: 헤겔에서 니체로. 마르크스와 키아케고어. 19세기 사상의 혁명적 결렬, 서울(민음사) 2006.
  • 정동호 외 지음: 오늘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 서울(책세상) 2006.
  • 김정현: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서울(책세상) 2006.
  • K. 야스퍼스, 이진오 옮김: 니체와 기독교, 서울(철학과현실사) 2006.
  •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서울(책세상) 2005.
  • 뤼디거 사프란스키, 정미라 옮김: 니체, 인생을 말하다, 서울(현실과과학) 2004.
  • 신경원: 니체, 데리다, 이리가레의 여성, 서울(소나무) 2004.
  • 에른스트 벨러, 박민수 옮김: 데리다-니체, 니체-데리다, 서울(책세상) 2004.
  • 뤼디거 자프란스키, 오윤희 옮김: 니체, 서울(문예출판사) 2003.
  • 박찬국: 해체와 창조의 철학자, 니체, 서울(동녘) 2001.
  • 김정현: 니체의 몸 철학, 서울(문학과현실사) 2000.
  • 게르하르트 슈베펜호이저, 홍기수 옮김: 니체의 도덕 철학, 울산(울산대학교출판부) 1999.
  • 질 들뢰즈, 이경신 옮김: 니체와 철학, 서울(민음사) 1998
  • 앨런 D. 슈리프트, 박규현 옮김: 니체와 해석의 문제, 서울(푸른숲) 1997.

주석

  1. Kaufmann, Walter, Nietzsche: Philosopher, Psychologist, Antichrist, p.22.
  2. a b Schaberg, William, The Nietzsche Can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p.32.
  3. a b Schaberg, William, The Nietzsche Can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p.32. 다비드 슈트라우스는 신학자이자 철학자로서 헤겔의 제자이었다. 그는 《예수의 생애》라는 책에서 예수 전승이 신화적으로 변형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 당시 슈트라우스의 책은 사회적으로 엄청난 지탄을 받았으며, 출간 이후 슈트라우스는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생을 마감해야 했다. 게르트 타이쎈, 아테네 메르츠, 《역사적 예수》, 손성현 옮김, 다산글방, 2001, 32쪽 참고: 《역사적 예수》- 옛 연구.
  4. Hecker, Hellmuth: "Nietzsches Staatsangehörigkeit als Rechtsfrage", Neue Juristische Wochenschrift, Jg. 40, 1987, nr. 23, p.1388~1391; and His, Eduard: "Friedrich Nietzsches Heimatlosigkeit", Basler Zeitschrift für Geschichte und Altertumskunde, vol.40, 1941, p.159~186. 도이쎈과 몬티나리를 포함한 일부 저자들은 니체가 스위스 시민권을 획득했었다는 잘못된 주장을 하기도 했다.
  5. ^ A biography of Spir.
  6. 주로 이탈리아 북부 ·프랑스 남부 지중해 근방에 장기간 요양하였다.
  7. ^ Stephan Güntzel, "Nietzsche's Geophilosophy", p.85 in: Journal of Nietzsche Studies 25 (Spring 2003),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Penn State), 2003-10-15; re-published on HyperNietzsche's website (English)/(German)
  8. 지만지 선과 악의 저편 책소개
  9. 고병권《니체의 위험한 책,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그린비,98쪽
  10. 슈테판의 시간여행, 막스 크루제 저
  11. 철학, 역사를 만나다.
  12. 그러나 일부 추종자들에 의해서 그의 작품들은 보존되었다.

참고 문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CC-BY-SA 3.0으로 배포한 책 소개글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깥 고리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GA 틀:Link GA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