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말베올라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로말베올라타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쌍편모생물
계: 크로말베올라타
(Chromalveolata)
Cavalier-Smith, 1998

유색피하낭류 또는 크로말베올라타(Chromalveolata)는 진핵생물에 속하는 계의 하나로, 1998년 토머스 캐벌리어스미스가 그가 1981년 제안했던 크로미스타(Chromista)의 개정안으로 제안한 것이다. 2006년 기준으로 이는 진핵생물의 여섯 개 하위 분류군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1] 크로말베올라타가 단계통군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2]

생물군 및 분류[편집]

2006년 기준으로, 크로말베올라타는 진핵생물의 6개 주요 생물군 중의 하나로 흔히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3] 논란이 뜨거우며, 처음에 제안되었던 단계통적 특징은 나타나지 않는다.[1][2]

그러나 섬모충류물곰팡이류와 같은 일부 생물군들은 광합성 능력을 잃어버렸으며, 대부분 독립영양을 한다. 모든 광합성 크로말베올라타는 엽록소 ac를 사용하며, 다수는 보조색소를 사용한다.

크로말베올라타는 유사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 단백질을 공유한다.[4]

크로말베올라타는 어떤 공식적인 분류도 주어져 있지 않지만, “계”(kingdom)의 하나로 간주될 수도 있다.

SA/SAR[편집]

엄밀히 말하면, 최근의 발현염기서열단편 분석을 통해, 리자리아군은 피하낭류부등편모조류군을 포함하는 SAR 대형군이라 불리는 생물군으로 제안되고 있다.[5][6]

"SAR"는 3개의 주요 그룹("S"는 "Stramenopiles" 또는 부등편모조류(Heterokontophyta), "A"는 피하낭류(Alveolata), 그리고 "R"은 리자리아(Rhizaria)를 가리킨다.)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의 계통 분류는 "S"와 "A"가 "R" 보다는 서로 좀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하나의 축소된 크로말베올라타 군(하크로비아(Hacrobia)를 제외한)으로 분류한다.

참고 문헌[편집]

  1. Laura Wegener Parfrey, Erika Barbero, Elyse Lasser, Micah Dunthorn, Debashish Bhattacharya, David J Patterson, and Laura A Katz (2006 December). “Evaluating Support for the Current Classification of Eukaryotic Diversity”. 《PLoS Genet.》 2 (12): e220. doi:10.1371/journal.pgen.0020220. PMID 17194223. 
  2. Harper, J. T., Waanders, E. & Keeling, P. J. 2005. On the monophyly of chromalveolates using a six-protein phylogeny of eukaryotes. Int. J. System. Evol. Microbiol., 55, 487-496. [1] Archived 2008년 12월 17일 - 웨이백 머신
  3. Laura Wegener Parfrey, Erika Barbero, Elyse Lasser, Micah Dunthorn, Debashish Bhattacharya, David J Patterson, and Laura A Katz (2006년 12월). “Evaluating Support for the Current Classification of Eukaryotic Diversity”. 《PLoS Genet.》 2 (12): e220. doi:10.1371/journal.pgen.0020220. PMID 17194223. 
  4. Takishita K, Yamaguchi H, Maruyama T, Inagaki Y (2009). “A hypothesis for the evolution of nuclear-encoded, plastid-targete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s in "chromalveolate" members”. 《PLoS ONE》 4 (3): e4737. doi:10.1371/journal.pone.0004737. PMC 2649427. PMID 19270733. 
  5. Fabien Burki, Kamran Shalchian-Tabrizi, Marianne Minge, Åsmund Skjæveland, Sergey I. Nikolaev, Kjetill S. Jakobsen, Jan Pawlowski (2007). “Phylogenomics Reshuffles the Eukaryotic Supergroups”. 《PLoS ONE》 2 (8): e790. doi:10.1371/journal.pone.0000790. 
  6. Kim, E; Graham, Le (2008년 7월). “EEF2 analysis challenges the monophyly of Archaeplastida and Chromalveolata.” (Free full text). 《PLoS ONE》 3 (7): e2621. doi:10.1371/journal.pone.0002621. PMC 2440802. PMID 1861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