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용신

최용신(崔容信, 1909년 8월 12일 ~ 1935년 1월 23일)은 일제 강점기감리교 전도사이자 교육자이며 경기도 화성군 샘골(현재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에서 봉사한 농촌운동가이다. 소설가 심훈의 대표작인 《상록수》의 모델이 되었다.

생애

학업

1909년 함경남도 덕원군 현면 두남리에서 태어났다. 두남리는 개신교(프로테스탄트)의 영향으로 여성이 학문을 하는 것에 대해 너그러웠으므로 열 살 때인 1918년 두남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20년 이화학당, 배화학당과 더불어 유명한 개신교 학교인 원산루씨고등여학교로 전학하였다. 당시 최용신은 가난으로 을 먹지 못하는 결식학생이었지만, 1924년 가장 좋은 성적으로 학교를 졸업했다. 누씨 여자보통학교 졸업후에 용신은 누씨 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는데, 성서교사인 전희균 목사가 "성서과목에서 매번 만점을 맞는 학생"이라고 기억할 만큼 공부를 열심히 했다.

농촌활동

독실한 감리교 신자였던 최용신은 민중을 섬기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하여 농촌운동에 뜻을 두었다. 1929년 여자협성신학교(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재학 중 강원도 포항 옥마동황해도 수안군 원곡면 용현리에서 농촌운동을 했다. 안타깝게도 두 번의 농촌운동은 적응을 하지 못해서 그만두고 말았지만, 농촌운동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깨달은 경험이다. 1931년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의 파견교사로 샘골에서 농촌운동을 시작했다. 감리교 전도사인 그는 지역 교회 건물을 빌려서 성서, 수예, 한글, 집안 살림, 재봉 등 실용성이 있는 과목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농민들의 존중을 받았다. 당시 최용신의 농촌운동은 농민들의 의식을 바꾸었다.가난과 무식함때문에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농사일을 거들게 하던 학부모들이 최용신의 영향으로 배움의 가치를 존중하게 된 것이다. 1932년 강습소 인가를 겨우 받자, 농민들이 자녀들의 배움을 위해 몇 년이나 걸려서 모은 귀한 300원 중 150원으로 건축을 시작하였다. 덕분에 1933년 1월 15일 강습소 낙성식을 가질 수 있었다. 당시 일제는 재학생 110명 중 50명을 강제로 수업을 못 받게 하여 야학을 약하게 만들려는 탄압을 했으나, 최용신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학문을 가르침으로써 이를 극복해냈다.

일본유학과 죽음

1934년에는 일본 감리교에서 세운 고베여자신학교(神戸女子神学教) 사회사업과에서 유학을 했으나 과로로 인해 불과 3개월 만에 각기병 등 여러 가지 이 나서 더 이상 공부하지 못했다. 결국 조선으로 돌아가야 했으며, 과로와 장중첩증(장이 꼬이는 병)으로 1935년 강습소를 부탁한다는 말을 남긴 채 죽었다. 당시 최용신 선생은 건강이 너무 나빠서 일어서지도 못하였으나 그녀가 학교에 돌아왔다는 사실만으로도 학생들은 위로를 받았다.

그녀는 유언을 통해 자신이 가르치던 천곡학당에 묻어달라 유언하였다. 그녀가 죽은 뒤에 그의 여동생 최용경이 와서 언니의 자리를 대신하기도 했다. 최용신의 묘소는 화성군 샘골에 위치해 있다. 후일 그의 약혼자였던 김학준 역시 사후 최용신의 옆에 안장되었다. 작가 심훈은 그녀를 모델로 삼아 소설 상록수를 쓰기도 했다.

기념

최용신은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으며, 2007년 10월 안산 상록구에 최용신 기념관이 세워졌다. 또 안산시청으로 통하는 광덕로와 만나는 사리사거리[1]에서 기념관 근처[2]를 거쳐 수인산업도로와 연결된 북고개삼거리까지의 도로가 최용신의 업적을 기념하여 용신로라고 명명되었다.

참고 자료

주석 및 참고 문헌

  1. 매송 나들목서안산 나들목으로 통하는 해안로와 직결된다.
  2. 기념관 자체는 용신로와 교차되는 샘골로에 접해 있으며 용신로로부터는 250m 가량 떨어져 있다.

바깥 고리

틀:2005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